Page 17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4
•좌석, 스티어링 휠, 미러는 출발 전에 조절하
시고 주행 시는 절대로 조작하지 마십시오.
•내·외측의 미러를 조정하여,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십시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은 반드시
주행 전에 신체에 알맞게 조절하십시오.
•모든 게이지 및 경고등을 확인하십시오.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브레이크 경고등
이 꺼졌는지 점검하십시오.
•차 주위에 사람이나 물체 등이 없는지 확인하
십시오.
• 운전할 때 하이힐, 슬리퍼 등 운전하기
불편한 신발을 신지 마십시오. 가속 페
달, 브레이크 페달 등의 조작능력이 저하
되어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 주차 브레이크를 풀 때에는 차량이 움직
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확실히 밟으십시오.
경 고
올바른 운전자세
올바른 운전자세가 되도록 운전석과 스티어링 휠
을 조절하십시오.
바람직한 운전자세는 좌석에 깊숙이 앉아 브레이
크 페달을 끝까지 밟았을 때 무릎이 약간 굽혀지
고, 손목이 스티어링 휠의 가장 먼 곳에 닿아야 합
니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조절되는 차량
인 경우는 운전자의 귀 상단이 헤드레스트 중심
에 올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를 조절하십시오.
좌석, 스티어링 휠, 미러 조정은 출발 전에운전석 주변은 항상 깨끗이
•운전석 주변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십시오. 빈
깡통 등이 페달 밑으로 굴러 들어갈 경우 페달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바닥 매트는 페달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너무 두껍지 않으면서 바닥에 고정되
는 제품이어야 합니다.
•실내에는 화물을 좌석높이 이상으로 적재하
지 마십시오.
1JBA10031JBA1003OVF021101KOVF021101K
Page 18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5
0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 착용
모든 좌석의 탑승자들은 가까운 거리라도 주행전
에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1. 탑승자가 기대거나 구부리지 않고 좌석에 깊
게 걸쳐 앉아, 등을 등받이에 기대어 똑바로 앉
은 상태여야 합니다.
2. 안전벨트의 어깨띠 부분은 가슴 부위를 지나
도록 해야 합니다.
3. 안전벨트가 꼬이거나 짓눌린 상태에서 주행하
지 마십시오.
4. 안전벨트의 골반띠 부분이 부드럽게 골반 부
분을 지나도록 해야 합니다.
5. 안전벨트를 버클에 ‘찰칵’ 소리가 날 때까지 확
실하게 밀어 넣으십시오.
탑승자 전원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 3점식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없는 어린이의 경
우는 안전벨트를 직접 사용하지 말고 뒷좌석
에 어린이 전용 보조시트에 앉히십시오.
• 주행 중 어린이를 무릎에 앉히거나 팔로 안고
있지 마십시오. 경미한 충돌 사고라 할지라도
어린이를 놓칠 수 있습니다.
• 임신 중의 여성이나 환자는 급정차, 충돌 사고
등의 경우 복부 등에 강한 힘을 받을 수 있으므
로 의사와 상의하여 사용하십시오.
0기타 주의사항
1. 벨트의 어깨띠를 팔 밑으로 하거나 등뒤로 하
지 마십시오.
2. 안전벨트의 어깨띠가 목이나 얼굴을 지나지
않도록 하십시오.
3. 벨트 하나로 한번에 두 사람 이상이 함께 착
용하지 마십시오.
4.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좌석 등받이를 뒤
로 눕히면 만일의 경우, 안전벨트 아래로 신
체가 빠져나와 안전벨트에 목이 걸리거나 심
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안전벨트 착용
1O-BELT021O-BELT02O-BELT03-1O-BELT03-1OVF021102KOVF021102K
Page 19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6
0에어백은 보조 안전장치입니다.
에어백은 안전벨트에 의한 충격보호기능을 보조
하기 위해 개발된 보조안전장치의 하나입니다.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일지라도 반드시 안전벨트
를 착용해야 충돌이 발생한 경우 에어백이 제공
하는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안전벨트를 착
용하지 않으면 충돌이 발생한 경우 실명, 상해, 사
망 등의 신체적 불이익을 입을 수 있습니다.
에어백이 작동될 때는 탑승자의 상체와 에어백과
의 거리가 멀수록 안전하기 때문에 차량운행 전
운전자나 승객은 가능한 한 좌석을 뒤로 이동시
켜 앉으십시오.
에어백 관련 주의사항
▶차량운행 상태에서 탑승한 어린이는 안전
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사항을 지
키십시오.
•어린이는 항상 뒷좌석에 앉히십시오.
※ 동승석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은 동승석에 유
아용 보호장치를 설치하지 마십시오. 특히 차
량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설치 시 에어백
작동에 의해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
니다. (그림 참조)
• 약 10-15세 정도(신장에 따라 다름)의 어
린이를 동승석에 앉혀야 할 경우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시키고 가능한 한 좌석을
뒤쪽으로 밀어 에어백과 거리를 멀리하
도록 하십시오.
• 아이를 안고 타지 마십시오.
특히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서 동승석
탑승시 아이를 안고 탑승하면 더욱 위험
합니다.
• 유아 탑승 시에는 반드시 뒷좌석에 유아
용 보호장치를 장착하여 앉히십시오. 0유아/어린이의 에어백 관련 주의사항
OHM028008OHM028008ORB026002ORB026002
ORB026001ORB026001
Page 20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7
음주·과로 운전 금지주·정차 중 차내 수면 금지
장시간 주·정차할 때에는 반드시 시동을 끄
십시오.
무의식 중 변속레버를 움직이거나 가속 페
달을 밟아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가속 페달을 계속 밟고 있을 경우 오
버히트(과열), 엔진 및 배기관의 이상과열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식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장시간 주차 및
정차 중에 창문을 닫은 채로 차 안에 계시거
나 수면을 취하지 마십시오. 특히 시동을 걸
고 에어컨이나 히터를 켠 상태로 밀폐된 차
안에 오래 있을 경우 질식사의 위험성이 매
우 높아집니다.
경 고
어린이나 유아 및 임산부, 노약자는 동승석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동승석에는 절대
앉히지 마십시오. 또한 유아용 보조시트도
설치하여 운행하지 마십시오. 사고시 에어
백 팽창충격으로 안면부상 및 사망사고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경 고
OVF021103KOVF021103K
휴식을 취하지 않고 계속 운전하면 졸음이 오게
되어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장시간 운전 할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최소한 2시
간마다 휴식을 취하십시오.
OVF021104KOVF021104K
Page 21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8
•음주 운전은 절대로 하지 마십시오.
음주는 운전자의 판단, 시력과 근육 조절
을 저하시키고, 소량일지라도 운전자의
반사신경, 인식, 판단에 영향을 미칩니
다. 그렇기 때문에, 운전자 뿐만 아니라
승객, 상대차량 탑승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약물을 복용하고 운전하는 것은 복용한
약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음주운전 보다
도 위험할 수 있으므로 약물 복용 후에는
차량을 운행하지 마십시오.
경 고
•가연성 물질을 싣지 마십시오.
•여름철과 같이 차안의 온도가 급상승하는 경
우에는 밀폐된 차안에 가스라이터 등 인화성·
폭발성 물질을 두지 마십시오. 폭발할 수 있
습니다.
•향수와 같은 휘발성 물질을 차 안에 두지 마
십시오. 차 내부에 흘러내릴 경우, 내장부품
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인화성·폭발성·휘발성 물질 차내 방치 금지
ODM022001ODM022001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마십시오.
대단히 위험합니다. 특히, 어린이와 함께 탈 경우
는 항상 주의하십시오.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말 것
ODM022002ODM022002
Page 22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9
주행 중 휴대전화의 사용은 법으로 금지되
어 있습니다.
주행 중 운전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
은 매우 위험합니다.
휴대전화는 반드시 차량을 안전한 곳에 주·
정차시킨 후 사용하십시오.
경 고
주행 중에는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브레이크의 성능저하 및 스티어링 휠 조작이 불
가능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차내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오디오로 부터 잡
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오디오의 고장이
아닙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전화를 오디오에
서 될수 있는 한 멀리 하여 사용하십시오.
차내에서 휴대전화나 무전기 등을 사용할 경우는
별도의 외부안테나 또는 핸즈프리가 장착된 차량
은 핸즈프리를 사용하십시오. 무전기 자체의 내부
안테나를 사용하면 차량의 전기 장치에 영향을 주
어 안전운행에 나쁜 영향을 줄 수가 있습니다.
주행 중 엔진 정지 금지정차 또는 주차 중 휴대전화 사용 요령
ONC023007ONC023007OVF021108KOVF021108K
Page 23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10
어린이는 보호자와 함께 뒷좌석에 태워 안
전벨트나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하게 하
고, 실내에서는 뒷도어를 열 수 없도록 어린
이 보호용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십시오. 만
약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으면 급
제동 또는 충돌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매우
위험합니다.
경 고
ODM032059ODM032059
어린이는 적정 보호구 착용과 함께 뒷좌석에
•차로부터 떠날 때는 어린이와 함께 가십시오.
어린이만 차 안에 남겨둘 경우 차 내의 안전
과 관련된 장비를 만져 의외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차내가 고온으
로 올라가고 겨울철에는 추워지므로 대단히
위험합니다.
•키는 어린이 손에 닿지 않도록 항상 잘 관리
하시기 바랍니다. 운전장치를 만지는 등 의외
의 사고를 방지하십시오.
차 안에 어린이만 남겨두면 위험
•동승자에게도 주위를 환기시켜 도어를 열 때
안전사고가 발생치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차를 후진할 때는 미러에만 의존하지 말고 직
접 후방을 확인하십시오.
주위 안전 확인
1VQA10161VQA1016OVF021109KOVF021109K
Page 24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11
•주행 시에는 반드시 도어를 잠금 상태로 하십
시오. 주행 중 무심코 안쪽 도어 핸들을 만지
다 보면 도어가 열려 대단히 위험할 수 있습
니다.
•테일게이트를 열어놓은 상태로 주행하지 마
십시오.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등 대단
히 위험합니다.
•배기 가스가 차내로 유입된다고 생각되면, 창
문을 다 연 상태로 주행하시고, 즉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을 의뢰하십시오.
주행 시 도어·테일게이트는 잠금 상태로
•주·정차할 때 배기관 주변에 연소되기 쉬운
것이 가까이 있으면 화재의 위험이 있으니 마
른 낙엽이나 지푸라기, 종이, 오일, 타이어 등
이 있는 곳에는 주·정차시키지 마십시오.
•차량 뒷부분이 벽 등에 닿은 상태에서 고속
공회전을 하면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벽 등이
변색되거나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차량 후
단과의 거리를 충분히 유지하십시오.
주·정차 시 배기관 주변 화재 위험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되지 않은 장소에서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면 배기가스가 차안으
로 유입되어 중독될 위험이 있습니다.
•차량 점검시에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면 고온
의 배기가스가 나오므로 배기관 뒤에 연소 되
기 쉬운 물질을 놓지 않도록 하십시오.
밀폐된 공간에서 엔진 시동 후 차량 점검 금지
ODM022003ODM022003ODM022004ODM022004ODM022005ODM02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