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12
주차할 때는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은 후, 변속레버를 「P」(주차) 위치에 놓고 바퀴
에 고임목을 설치하십시오. 급경사 길에는 주차
하지 마십시오.
또한, 습기가 많고 통풍이 잘되지 않는 차고에 주
차하지 마십시오.
주차 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ONC023006ONC023006고임목고임목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는 우선 멈추
어 안전을 확인한 후, 가능한 저단기어를 사용
하여 변속하지 말고 신속히 빠져 나오십시오.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서 시동이 꺼졌
을 때는 주위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
아 차를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시키십시오.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
1VQB10201VQB1020
•차량에 임의로 배선을 사용 시에는 차량의 성
능 저하 및 손상을 유발하여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오디오 또는 도난 경보 장치, 원격 시동
장치, 카폰이나 무전기, 블랙박스, 하이패스
등의 용품 장착 시 임의로 배선을 사용 시에
는 차량의 손상 또는 화재의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실내 잡음, 이음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편의장비 추가 장착 시 임의배선 사용 금지
ODM022008ODM022008
Page 26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13
•본 차량은 어떤 식으로도 개조해서는 안됩니
다. 차량의 성능, 내구성,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조로 인한 문제 발생
시 보증수리를 받을 수 없습니다.
•출고시 차량에 설치되지 않은 전기장치(램프
류, 블랙박스, 전기기기 등)를 임의로 장착하
는 개조를 할 경우 차량의 이상작동, 배선손
상, 배터리 방전, 화재 등을 초래할 수 있으니
주의하십시오.
차량 개조 금지
•작업 시 잘못하면 배선의 합선이나 단선 등으
로 인해 잡음, 통풍 불량, 화재 발생 등의 원인
이 되니 주의하십시오.
•시트커버나 각종 비닐커버를 씌울 경우에는
배선이나 통풍구에 유의하십시오. 배선의 합
선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종 시트커버류 작업 시 유의
사이드 에어백 장착 차량의 경우, 시트커버
를 교체하거나 비닐커버 등을 장착하지 마
십시오.
에어백 작동을 저해하여 심각한 상해를 야
기할 수 있습니다.
경 고
꼭 필요한 사항이 있을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하십시오.
위험하지 않은 간단한 점검 및 정비 이외에는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
비를 받으십시오.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이용
1VQA10231VQA1023ODM022009ODM022009ORV025024HORV025024H
Page 27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14
차량에 최적인 자사 순정부품을 사용해야만 안전
하고, 최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순정부품은 자사의 신차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부품으로 엄격한 검사에 합격되어 그 품질
이 보증되고 있습니다.
순정부품 이외의 부품 사용은 차량의 고장을 유
발할 수 있습니다.
순정부품의 사용
OHYK024001OHYK024001
· 스티커· 스티커· 포장· 포장
· 홀로그램· 홀로그램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시동을 걸 때나, 여름
철에 에어컨 등을 가동시킬 때는 평상시 보다
엔진 회전수(rpm)가 높아, 이때 차량을 움직
일 경우에는 평상시보다 차량이 빠르게 움직
일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십시오.
•임의로 원격 시동 장치 등 전기, 전자장치를
설치하거나 무단으로 차량을 정비, 개조할 경
우에는 차량의 작동에 문제가 생겨 예기치 못
한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차내에서 전파를 사용하는 전화나 무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승객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
으며,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에 영향을 끼쳐 차
량이 오작동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잠시 차에서 떠나 있을 때라도 의외의 발진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시오.
•정차 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주
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으십시오.
•차량내에는 고가의 소지품이나 귀중품을 넣
어 두지 말고, 차량을 떠날때는 항상 모든 도
어와 테일게이트를 잠그십시오.
•차량 언더코팅을 위해 배기계 탈^부착시 진
동흡진기 (배기계 행거 고무류)의 정렬편차가
발생되면 진동이 증가 할 수 있습니다. 언더
코팅 후 진동흡진기 정렬상태를 반드시 확인
하십시오.
기타 주의사항
•차량 유리에 액세서리를 부착하면 운전에 방
해되거나, 흡착부가 렌즈의 역할을 하여 차량
내부 부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차량출동 시 액세서리가 분리되어 상처
를 입는 등 예기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
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의 경우라도, 수시로
차량을 바꿔가며 운전을 할 때는 차량간의 페
달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페달을 오조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가속 페달과 브레이
크 페달의 위치를 오른발로 확인하십시오.
•동력발생장치와 제동장치는 별개의 장치이므
로, 오조작 및 차량의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라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차량은 멈추게
되므로 침착하게 행동하십시오.
•차가 눈이나 진흙, 모래 등에 빠져 움직이지
못할 경우 차를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해 과도
하게 가속 페달을 밟으면 타이어가 슬립되어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타이어가 슬
립되는 상태에서 지속적인 가속 페달을 밟는
것은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이때에는
견인 등의 다른 방법으로 조치하십시오.
Page 28 of 405
안전 주의 사항
2-15
• 자동변속기 오일 교환 및 보충은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및 블루핸즈에 실시하십시오.
비규격 오일의 사용은 변속기 고장 및 성능의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자동변
속기의 품질은 보증이 불가능합니다.
•유리창에 썬팅을 할 경우(특히 금속성 썬팅
지) 하이패스 시스템(ETCS) 통신불량, 라디
오 수신불량, 전조등 자동 점등 장치 등이 오
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썬팅작업시 작업용
액이 전기, 전자기기에 흘러 들어 기기 오작
동 및 작동불량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 과도한 썬팅을 할 경우, 야간 주행이나 우천
주행시 시인성이 저하되어 예기치 못한 위험
을 초래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구입후 1년 이내의 신차의 경우 실내에 인체
에 해로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존재
할 수 있으므로 탑승시 항상 모든 창문을 열
고 충분히 환기를 시키십시오. 특히 날씨가
무덥거나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곳에 장시간
주차시 차량 내부 온도가 높아질 경우 두통이
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운전
중에는 가급적 외기모드로 선택하여 차량 안
쪽 공기를 환기시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VOCs : Volatile Organic Compounds
•최초 1,000km 전까지의 주행은 차량의 수명
과 성능을 좌우하므로 이 기간 동안은 과속,
급가속, 급제동 등을 삼가십시오.
•엔진 회전수를 디젤 차량일 경우 3,000rpm,
가솔린 차량일 경우 4,000rpm 이내로, 속도
는 최고 속도의 3/4 이하로 주행하십시오.
•속도에 알맞게 변속하십시오.
•장시간 엔진을 공회전시키지 마십시오.
•연비, 엔진 성능 및 엔진 오일 소모량은 길들
이기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약 6,000km
주행 후 안정됩니다.
신차 길들이기
1VQA30161VQA3016
Page 29 of 405

3
좌석 ...................................................................................................3-2
앞좌석 ................................................................................................. 3-5
뒷좌석 ............................................................................................... 3-13
안전벨트 ........................................................................................ 3-24
안전벨트 구속 장치 ....................................................................... 3-24
프리텐셔너 시트벨트 .................................................................... 3-30
안전벨트 사용 시 유의 사항 ....................................................... 3-32
안전벨트의 적절한 관리 .............................................................. 3-33
어린이 보호용 장치(보조 좌석) ................................................. 3-34
어린이 보호용 장치의 장착 ........................................................ 3-34
에어백(보조 구속 장치) .............................................................. 3-41
에어백 장치의 작동은 어떻게 되는가? ................................... 3-42
에어백 경고등 ................................................................................. 3-44
에어백 장치의 구성 및 기능 ....................................................... 3-44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 .............................................................. 3-47
운전석 에어백/무릎 에어백 ...................................................... 3-47
동승석 에어백 ................................................................................. 3-48
승객 구분 시스템 (OCS) .............................................................. 3-49
사이드 에어백 ................................................................................. 3-55
커튼 에어백 ..................................................................................... 3-56
충돌 시에 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았을까요?..................... 3-57
에어백 정비 ..................................................................................... 3-62
에어백 경고 라벨 ........................................................................... 3-64
안전 장치
3장 목차
Page 30 of 405
안전 장치
3-2
▶ 앞좌석
1. 전·후 위치 조절
2. 각도 조절
3. 높낮이 조절(운전석)
4. 허리지지대 조절(운전석)
5. 좌석 히터(열선)
6. 헤드레스트 조절
▶2열 좌석
7. 전·후 위치 조절
8. 각도 조절/좌석 접이
9. 3열 승^하차 레버
10. 헤드레스트 조절
11. 암레스트 조절
12. 좌석 히터(열선)
▶3열 좌석
13. 좌석 접이
14. 헤드레스트
좌석의 전·후, 각도, 높낮이 등을 조절하여 올바
른 운전 자세가 되도록 하십시오.
ONCESA3001ONCESA3001
좌석
00수동식수동식
00전동식전동식
Page 31 of 405

안전 장치
3-3
•좌석 밑이나 좌석과 중앙 콘솔 박스의 틈
새로 작은 물건 (라이터, 동전, 신용카드
등)이 들어가 물건을 꺼내야 할 경우, 좌
석의 기계 장치의 모서리 등에 의해 손
등의 신체 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건을 꺼낼 경우 장갑을 착용하여 신체
상해를 예방하십시오.
•앞좌석 밑에는 어떤 물건도 놓아두지 마
십시오. 물건이 움직이면서 좌석 고정 장
치와 부딪히거나, 좌석 밑에서 빠져 나올
수도 있습니다.
•운전자의 발 근처에 움직이는 물건이 있
으면, 브레이크 또는 가속 페달 작동시
간섭이 되어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어린이 혼자 차 안에 남겨 두지 마십시
오.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
습니다.
•주행 중에는 절대로 좌석을 조절하지 마
십시오. 주행 중 좌석을 조절하면 운전
능력을 잃게 되어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
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경 고
•조절 후에는 좌석이 확실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좌석을 조절할 때는 뒷좌석 탑승자에 유
의하십시오.
•안전벨트는 곧은 자세로 앉아 편안하게 착
용하고 골반 부분을 지나도록 하십시오.
•좌석 각도를 조절할 때는 등받이가 정상
적인 위치에 있도록 방해되는 물건을 제
거하십시오. 간섭이 되면, 등받이가 잠기
지 않아, 급정차나 충돌 사고 시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좌석 이동 시 보이게 되는 레일 부분 또
는 좌석 고정 장치에 신체가 다치지 않도
록 조심하십시오. 특히 어린이나 유아들
이 다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항상 등받이를 세워 정상적인 착석 위치
에서 주행하십시오.
•주행 중 좌석을 접은 채 앉지 마십시오.
충돌 시 안전벨트의 기능이 상실 또는 저
해되어 신체상해가 커질 수 있습니다.
경 고
•운전자는 차량을 제어하는데 방해가 되
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스티어링 휠로부터
가능한 뒤로 밀착하여 앉아야 합니다. 스
티어링 휠과 너무 가까우면 에어백이 작
동할 때 심각한 또는 치명적인 부상을 입
을 수 있습니다.
•라이터를 바닥이나 좌석 사이에 놓지 마
십시오. 좌석을 움직일 때 가스가 분출되
는 경우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방석을 사용할 경우 탑승자와 좌석과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충돌이나 급정차 시
엉덩이가 안전벨트의 아랫부분으로 미
끄러질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안전벨트
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해 심각한 부
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좌석 조절 시 좌석 밑이나 동작 부위에
손을 넣지 마십시오. 손가락 또는 손이
끼어 다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32 of 405
안전 장치
3-4
•좌석 등받이 각도를 지나치게 기울이면
탑승자의 엉덩이가 충돌이나 급정차 시
에 안전벨트의 아랫부분으로 빠져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탑승자는 안전
벨트에 의해 더 이상 고정되지 않고 안전
벨트가 복부나 목을 조여 심각한 부상이
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행 중에는 항상 등받이를 곧
바로 세운 편안한 위치에 놓으십시오.
•뒤로 눕혀진 등받이를 세울 때는 반드시
등받이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조절 레
버를 당겨 조절하십시오.
등받이는 뒤로 많이 기울어져 있을수록
앞으로 숙여지는 반발력이 더 큽니다.
등받이를 잡지 않은 상태에서 각도 조절
레버를 당기면 등받이의 반발력에 의해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경 고
•충돌사고 후에는 좌석이 손상될 수 있으
므로 반드시 점검하시고 손상된 좌석은
차를 다시 주행하기 전 반드시 교체하십
시오.
경미한 사고라도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
스 센터나 블루핸즈에서 차량좌석을 점
검 받으십시오.
경 고
프라임 나파 가죽(사양 적용시)은 내추럴한 가
죽 고유의 질감을 최대한 살린 고급가죽으로
가죽상에 모공, 상처, 혈관 자국 등이 있거나 사
용 시 눌림 자국, 주름이 생길 수 있으며 햇빛이
나 열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색상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소가죽 고유의 천연 특성
으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비 또는 물기에
젖었을 경우 마른 천으로 수분을 제거하고 그
늘에서 건조해야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
다.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으니 날카
로운 물체와의 마찰에 주의하고, 밝은 색상의
가죽은 오염 또는 청바지 물빠짐 등의 이염에
주의하십시오.
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