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7 of 879

정기 점검
주간주행등 전구의 교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0
옆 방향지시등 전구의 교체 ..............................................7-40
제동등, 미등, 방향지시등, 후진등 전구의 교체 ................7-41
보조제동등 전구의 교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2
번호등 전구의 교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2
실내등 전구의 교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3
차체 손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4
외장 손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4
내장 손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48
7
Page 378 of 879
7-3
정기 점검
7
1. 냉각수 보조 탱크
2. 브레이크 액 탱크
3. 퓨즈 박스
4. 배터리 단자
5. 라디에이터 캡
6. 와셔액 탱크
OAE076001OAE076001
모터룸의 명칭
본 도안은 설명을 위한 샘플로, 차량에 따라 위치 및 형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Page 379 of 879
7-4
정기 점검
자동차는 시간이 경과하고 주행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그 기능이 저하됩니다.
당사에서 추천하는 정기 점검 주기표에 따라 점
검 정비하여 차량의 수명을 연장하고 주행중의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에서 벗어
나십시오. (「정기 점검 주기표」 참고)
점검 정비를 할때는 반드시 자사 순정부품을 사
용하시고 차량에 대한 특별한 지식과 장비를 갖
춘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
시하십시오.
만일, 순정부품을 사용하지 않거나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가 아닌 곳에서 점검 정
비하여 발생하는 클레임은 보증수리 기간이라도
보증수리를 받을 수 없으므로 주의하십시오. 자
세한 사항은 보증서를 참고하십시오.
또한, 자동차 관리법에 따라 자동차 소유자는 자
동차 신규등록일로 부터 해당 기간이 경과되면
반드시 점검 및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0운전자 의무 준수 사항
점검 정비
주 의
•잘못된 점검 정비는 고장의 원인이 됩니
다. 본 취급설명서에 기재된 점검 정비
방법은 비교적 운전자가 손쉽게 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그러나, 보증기간 내라도 운전자의 잘못
된 점검 정비로 인한 클레임은 보증수리
를 받을 수 없음에 유념하십시오.
기재된 점검 정비 방법이 어렵고 이해되
지 않으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
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물 또는 왁스 등 액체성 물질로 모터룸
을 청소할 경우 차량의 전기계통에 이상
을 초래하여 정상적인 차량운행이 불가
능할 수 있으므로 액체성 물질로 모터룸
을 청소하지 마십시오.
점검 정비를 할때는 반드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십
시오.
경 고
Page 380 of 879

7-5
정기 점검
7
0점검 정비 시 주의 사항
•경사가 없는 평탄한 장소에서 실시하십시오.
•시동 「OFF」 또는 「ACC」 상태에서 변속버튼
을 눌러 「P」(주차)를 선택한 후 주차 브레이크
를 작동시켜 놓으십시오.
•차량 시동 상태에서 점검을 해야 할 때가 아
니면 반드시 시동을 끄십시오.
•점검 정비는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실시하
십시오.
•차량 밑에서 작업할 때는 반드시 리프터를 사
용하십시오.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고 점검 정비하십
시오.
주 의
•배터리, 점화 케이블, 전기 배선에는 전
류가 흐르고 있다는 것에 유념하여 퓨즈,
메인퓨즈가 단선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모터룸 점검 또는 정비 시 부품 위에 무
거운 물건을 올려 놓거나 무리한 힘 또
는 충격을 가하지 마십시오.
•인공 심장 등 인공 장기 사용자는 차량
점검전 전자제어 장치가 의료장치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해서 의료 장치 제조사
와 확인하십시오. 전자제어 장치의 고압
전류에 의해 이상 작동이 발생할 수 있
습니다.
•차량을 점검할 때는 반드시 차량을 정지
시키고 시동 스위치를 「OFF」하여 전원
을 차단 후에 실시하십시오.
•잭으로 차량을 받친 상태에서 차량 밑으
로 들어가지 마십시오.
잭으로 부터 차량이 미끄러지면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근처에서는 불꽃을 멀리 하십시
오.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배터리의 「-」 단자를 연결할 때는 주의
하십시오.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
하거나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하
지 마십시오.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브레이크 액이 통과되는 브레이크 부품
이 탈거되거나 교체 되었다면 브레이크
부품 내 공기가 잔존하여 제동 성능이
저하 될 수 있으므로 올바른 브레이크
계통 공기 빼기를 수행하기 위해 반드
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
력사에 점검, 정비를 의뢰하십시오.
•배터리, 점화 케이블, 전기 배선을 만질
때는 미리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
십시오.
전류가 흐르고 있어 감전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381 of 879
7-6
정기 점검
일상 점검
일상 점검이란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람이 매일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행하는 점검을 말하며 이는 안전 운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점검이고 운전자의 의무이
기도 합니다. 반드시 실시하십시오.
점검항목점검내용
이상 유무 확인· 전일 운전시 이상이 있던 부분은 정상인가
모터룸을 열고
모터룸 내부· 시동이 용이하고 냉각수가 충분한가
· 누수는 없는가
감 속 기· 누유는 없는가
기 타· 브레이크액, 와셔액 등은 충분하고 누유는 없는가
차의 외관에서
완 충 스 프 링· 스프링의 연결부위에 손상, 균열이 없는가
바 퀴
· 타이어의 공기압은 적당한가
· 타이어의 이상마모 또는 손상은 없는가
· 휠너트(또는 볼트)의 조임은 충분하고 손상은 없는가
램 프· 점멸이 확실하고 파손되지 않았는가
등 록 번 호 표· 번호표가 파손되지 않았는가
Page 382 of 879
7-7
정기 점검
7
점검항목점검내용
운전석에 앉아서
배터리· 보조 배터리 충전량은 충분한가
· 구동용 배터리의 흔들림 유동이 없는가
스 티 어 링 휠· 흔들림, 유동이 없는가
· 조작이 용이한가
브 레 이 크
· 페달의 유격과 잔류간극이 적당한가
· 브레이크의 작동이 양호한가
·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량은 적당한가
감 속 기· 변속버튼의 조작이 용이한가, 심한 진동은 없는가
실외미러 / 실내미러· 비침 상태가 양호한가
경 음 기· 작동이 양호한가
와 이 퍼· 작동이 양호하고 와셔액은 충분한가
각 종 계 기 및 스위치· 작동이 양호한가
Page 383 of 879
7-8
정기 점검
정기 점검
차량을 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아닌 곳에서 사용했다면 통상 조건의 점검
주기를 따르십시오.
그러나 만약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사용했다면 가혹 조건의 점검 주기를 따
르십시오.
1.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주행했을 때
2. 모래, 먼지가 많은 지역을 주행했을 때
3. 32℃ 이상의 온도에서 교통체증이 심한 곳을 50%이상 주행했을 때
4. 험한 길(모래자갈길,눈길,비포장길)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5. 산길, 오르내리막길 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6. 경찰차, 택시, 상용차, 견인차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7. 잦은 정지와 출발을 반복으로 주행 할 경우
8. 소금, 부식물질 또는 한랭지역을 운행하는 경우
위와 같은 조건에서 차량을 운행했다면, 정기 점검 주기보다 더 자주 점검,
교체, 보충하여야 합니다.
0통상조건
다음의 통상조건 점검주기는 주행거리에 따른 주기를 기본으로 하였으나,
일부 부품은 주행거리와 함께 시간경과에 따라서도 점검 또는 교체해야 하
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거리/시간 병기 항목은 차량의 주행거리와 경과시간 중 먼저
도래하는 시점에 해당 부품의 점검이나 교체을 해야 하므로 주의하십시오.
Page 384 of 879
7-9
정기 점검
7
●: 교체, ○ : 점검,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체
주행거리
점검항목
일일점검매10,000km매15,000km매20,000km매30,000km매40,000km매60,000km매80,000km매100,000km매105,000km매120,000km매140,000km매160,000km
냉각수량 점검 및 교체○최초 교체 : 20만km 또는 10년, 최초 교체 후 : 매4만km 또는 매2년 마다 교체
각종 오일 누유, 냉각장치의 누수 여부○
배터리 터미널 조임 상태 점검○
배터리 터미널 녹 발생 점검○
배터리 고정 상태 점검○
각종 전기장치 점검○
감속기 오일○○
브레이크 액○●
타이어 공기압, 마모상태○
타이어 위치 교환●
브레이크 호스 및 라인의 누유, 파손여부○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캘리퍼○
조향계통 각 연결부,기어박스,부트 손상여부○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휠 너트의 조임상태○
브레이크 페달 유격 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수정
현가 장치 점검(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