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of 397

안전 장치
3-29
0에어백 장치의 구성 및 기능
운전석, 무릎 및 동승석 에어백은 정면에서 보통
이나 그 이상 강도로 충돌하였을 때, 사이드 및 커
튼 에어백은 측면에서 보통 이상의 강도로 충돌
하였을 때 안전벨트를 보조하는 보호 장치입니
다.
가벼운 추돌이나 충돌 사고가 났을 때에는 안전
벨트만으로 탑승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한 추돌이나 충돌 사고가
나서 안전벨트만으로 탑승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
을 줄일 수 없을 때, 안면이나 상체의 충격을 덜어
주기 위하여 장착된 것이 에어백 장치입니다. 에
어백이 작동해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효과는 탑승
자가 안전벨트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 발휘하기
때문에 안전벨트의 보조 구속 장치(SRS)라고도
합니다. 에어백은 안전벨트를 대신할 수 없으며
하체 부분은 구속하지 못합니다.
※ SRS :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의 약
어로 “보조 구속 장치” 라는 의미입니다.
•사고가 났을 때, 바른 자세로 앉아 있지
않으면 순식간에 팽창하는 에어백에
의해 다칠 수 있으며 충돌 중에 발생되
는 추가 충돌에 보호받을 수 없습니다.
• 또한 팽창하는 에어백에 의해 안면이나
그 밖의 신체 부위에 찰과상을 입거나
안경이 파손되면서 다칠 수 있고 화약
이 폭발할 때 화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에어백과 탑승자 사이에는 어떠한 물건
도 놓아두지 마십시오. 팽창하는 에어백
에 의해 부상을 당할 위험이 커집니다.
• 운전석, 무릎 및 동승석 에어백은 보통
강도 이상으로 충돌하였을 때만, 사이드
및 커튼 에어백은 측면에서 보통 이상의
강도로 충돌하였을 때만 작동합니다.
•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측면(사이드 및 커
튼 에어백 미장착 차량의 경우)이나 후
면 충격, 전복, 가벼운 정면 충돌이나 기
둥 충돌 시에는 작동되지 않습니다.
다중 충돌 시, 뒤에 오는 충격에 대해서
는 에어백에 의해 보호되지 않습니다.
경 고
•에어백은 안전벨트의 보조 안전 장치이
므로 에어백이 장착된 차에서도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해야 합니다.
•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거나 좌석에 앉
은 자세가 바르지 않으면 사고가 났을 때
에어백에 의해 보호받을 수 없어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경 고
HLZ2049HLZ2049
안전벨트안전벨트미착용시 더 큰 미착용시 더 큰 부상을 초래할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수 있습니다.
Page 50 of 397
안전 장치
3-30
0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
에어백(보조 구속 장치)이 장착되어 있어도 안전
벨트를 착용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
니다.
안전벨트는 에어백이 팽창할 때
• 에어백으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
도록 도와줍니다.
•차에 있는 에어백은 충돌이 시작될 때 에어백
으로부터 멀리 앉아 있어야 탑승자를 보다 효
과적으로 보호합니다.
• 전복이나 측면(사이드 및 커튼 에어백 미장착
차량), 후면 충돌 시는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도
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때에 부상을 당할 위험
을 줄여 줍니다.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는 가벼운 충격에서도 부
상을 당할 위험을 줄여 줍니다. 사고가 났을 때
차량에서 튕겨져 나오는 위험을 줄여 줍니다.
• 자사에서 허용하는 좌석 이외의 좌석을
장착하거나 시트 커버를 개조한 경우, 에
어백 성능이 감소되어 예상치 못한 부상
을 입을 수 있으니 절대로 좌석을 개조하
지 마십시오.
•에어백이 장착된 부위나 충돌 센서가 장
착된 부위에 망치나 단단한 물건 등으로
인위로 충격을 가하지 마십시오.
예상치 못한 에어백의 팽창으로 심하게
다칠 수 있습니다. 또한 엔진룸을 점검할
때에는 반드시 시동을 끄고 하십시오.
경 고
•차가 물에 잠겼다면(카펫이 젖었거나
차량 바닥 부분에 물이 차 올랐을 때
등) 시동 키를 시동 스위치에 꽂거나
시동 버튼을 누르지 마십시오. 운전자
가 에어백에 아주 가까이 있을 경우 에
어백이 팽창하면서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차를 견인시켜 자
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서 점검과 정비를 받으십시오.
•순정부품이 아닌 범퍼 가드 장착이나
범퍼 교체 시 충돌 성능 및 에어백 작동
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내장부품을 분해 후 재 조립 할 경우 내
장부품의 훼손이나 변형으로 체결이 정
상적으로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
우 에어백 전개 시 내장부품이 이탈되
어 심각한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51 of 397
안전 장치
3-31
•운전자는 차량을 제어하는데 방해가 되
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스티어링 휠로부터
가능한 뒤로 밀착하여 앉아야 합니다. 스
티어링 휠과 너무 가까우면 에어백이 작
동할 때 심각한 또는 치명적인 부상을 입
을 수 있습니다.
•에어백 내장부나 내장부와 운전자 사이
에는 어떠한 물건도 놓지 마십시오. 에어
백이 작동하는 속도와 힘에 의해서, 물건
이 운전자 신체에 고속으로 부딪혀 신체
부상을 입거나 또는 사망할 수 있습니다.
•스티어링 휠 커버 위에는 부착물 또는 장
신구 등을 부착하지 마십시오. 에어백이
작동하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습니다.
경 고
0운전석 에어백/무릎 에어백
운전석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무릎 에어백은 운전석 스티어링 휠 아래 무릎 부분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OHG030037OHG030037
OSL030053OSL030053
OHG030038OHG030038
OHG030055OHG030055
00무릎 에어백무릎 에어백 00운전석 에어백운전석 에어백
00운전석 에어백운전석 에어백 00무릎 에어백무릎 에어백
Page 52 of 397
안전 장치
3-32
0동승석 에어백
동승석 에어백은 글로브 박스 위 크래쉬패드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크래쉬패드 위 어느
곳에도 물건이나 부착물을 올려 놓지 마십시오.
OHG030039OHG030039
HLZ2121HLZ2121
•동승석 에어백은 운전석 에어백보다 크
고 작동하는 힘이 더 강합니다. 따라서
동승석 탑승자가 적절한 위치에서 안전
벨트를 착용하고 있지 않으면 심하게 다
치게 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동승석 탑승자는 최대한으로 좌석을 뒤
로 이동시키고 제자리에 앉아 있어야 합
니다.
•주차장이나 차고에 들어갈 때 동승석 탑
승자도 항상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게
하십시오.
•운전자가 위급한 상황에서 갑자기 급제
동을 걸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탑
승자는 밖으로 튕겨져 나가거나, 에어백
과 밀착될 수 있습니다. 충돌할 때의 충
격으로 순식간에 팽창하는 에어백에 의
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탑승자가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경 고
•동승석 탑승자가 크래쉬패드에 손이나
발을 올려 놓거나 얼굴을 가까이 하지 않
도록 하십시오. 에어백이 작동할 때 강한
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동승석에 에어백을 장착한 차에서는 어
린이나 노약자, 임산부를 앞자리에 앉히
지 마십시오.
순식간에 팽창하는 에어백에 의해 심하
게 다칠 수 있습니다. 어린이 보호 시트
를 앞좌석에 장착하지 마십시오.
•동승석 에어백을 장착한 차의 경우 에어
백이 팽창하는 부위에 물건(휴대폰 거치
대, 컵홀더 거치대, 카세트 홀더, 향수 및
스티커, 크래쉬패드 커버 등)을 놓거나
붙이지 마십시오. 또한 앞 유리에 장식물
이나 실내 미러에 와이드 미러를 달지 마
십시오.
이러한 물건들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하
는 것이 방해되거나 팽창할 때 심하게 다
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53 of 397
안전 장치
3-33
• 사이드 에어백 장착 차량의 좌석에는
어떠한 커버도 씌우지 마십시오.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하는 것을 방해
할 수 있습니다.
•좌석 측면에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좌석
을 변형시키지 마시고, 또한 좌석에 장
식물 등의 추가 부착물을 장착하지 마십
시오. 그렇지 않을 경우, 예기치 못한 에
어백 오작동으로 인해 상해를 입을 수 있
습니다.
•좌석 및 좌석 커버에 손상이 있을 경우
사이드 에어백 장착 차량임을 알리고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에서 수리 및 교체를 받으십시오.
•사이드 에어백 라벨 등 좌석에 부착된 라
벨의 벌어진 틈으로 어떤 물건도 집어넣
지 마십시오. 에어백 팽창시 예기치 못한
에어백 전개로 다칠 수 있습니다.
경 고사이드 에어백은 앞좌석 및 뒷좌석 바깥쪽에 내
장되어 있습니다. 에어백 작동 조건(측면 충돌/전
복사고)에 해당하면 승객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
하여 작동됩니다.
•사이드 에어백 작동 조건
- 측면 충돌
- 전복 사고
OHG030042OHG030042
OHG030040OHG030040
OHG030041OHG030041
00앞좌석앞좌석
00뒷좌석뒷좌석
0사이드 에어백(앞좌석/뒷좌석)
Page 54 of 397
안전 장치
3-34
•측면 에어백(사이드 및 커튼 에어백)의
최대 효과를 얻으려면 운전자 및 동승석
탑승자와 뒷좌석 도어 쪽 탑승자는 반드
시 안전벨트를 단단히 착용하고 똑바로
앉아 있으십시오. 특히, 어린이는 적절한
보호 시트에 앉히십시오.
• 커튼 에어백이 장착된 뒷좌석 도어 쪽에
어린이를 앉힐 때는 반드시 어린이 보호
시트를 도어 쪽에 닿지 않게 가능한 안
쪽으로 단단히 고정시켜 장착한 후 사용
하십시오. 팽창하는 커튼 에어백에 충격
을 받아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
습니다.
위의 주의사항을 따르지 않을 경우 사고가
났을 때 탑승자가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
니다.
경 고
0커튼 에어백
커튼 에어백은 양쪽 도어 위쪽의 천정 끝에 내장
되어 있습니다. 에어백 작동 조건이 되면 앞좌석
과 뒷좌석 도어 쪽 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
하여 작동합니다.
•커튼 에어백 작동 조건
- 측면 충돌
- 전복 사고
OHG030043OHG030043
OHG030044OHG030044
측면(사이드 및 커튼)에어백은 측면 충돌 시에 작
동하나 측면 충돌이 아니라도 충격이 측면 충돌
센서에 전달될 때는 측면(사이드 및 커튼)에어백
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측면(사이드 및 커튼)에어백은 전복 사고
시에 작동하나 전복 사고가 아니라도 전복 센서
에서 전복상황으로 인식할 때는 측면(사이드 및
커튼)에어백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Page 55 of 397
안전 장치
3-35
•측면 에어백이 장착된 좌석에 앉았을 때
는 도어에 머리나 몸을 기대거나 팔을 올
려놓거나 창문 밖으로 손을 내밀지 마십
시오.
또한 도어와 탑승자 사이에 어떠한 물건
도 놓아 두지 마십시오.
•에어백 장치의 어떤 부품도 임의로 분해
하거나 수리하지 마십시오.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정
비를 받으십시오.
위의 주의사항을 따르지 않을 경우 사고가
났을 때 탑승자가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경 고 0 충돌 시에 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았을
까요?(에어백의 작동, 비작동 조건)
에어백으로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사고 유형이 많
습니다. 후면 충격, 충돌 사고 시의 2, 3차 충격,
저속 충격 등과 같이 충돌 센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충격이 가해질 때는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
을 수 있습니다.
Page 56 of 397
안전 장치
3-36
▶에어백 충돌 센서
1. 에어백 제어 모듈/전복센서(사양 적용시)
2. 정면 충돌 센서
엔진룸 내 앞쪽에 위치합니다.
3. 전방 측면 충돌 센서
B-필라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4. 후방 측면 충돌 센서
C-필라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OHG030046OHG030046
OHG035045OHG035045
OHG035047OHG035047OHG035075OHG035075OHG030049OHG03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