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of 397
안전 주의 사항
2-12
주차 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7JBA10207JBA1020
•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는 우선 멈추
어 안전을 확인한 후, 가능한 저단기어를 사용
하여 변속하지 말고 신속히 빠져 나오십시오.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서 시동이 꺼졌
을 때는 주위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
아 차를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시키십시오.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
•차량에 임의로 배선을 사용 시에는 차량의 성
능 저하 및 손상을 유발하여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오디오 또는 도난 경보 장치, 원격 시동
장치, 카폰이나 무전기, 블랙박스, 하이패스 등
의 용품 장착 시 임의로 배선을 사용하면 차량
의 손상 또는 화재가 날 수 있으며 실내잡음,
이음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편의장비 추가 장착 시 임의배선 사용 금지
OVF021113KOVF021113K
주차할 때는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를 걸어 놓은
후, 자동변속기 차량은 「P」(주차)로 놓고 바퀴에
고임목을 괴십시오. 급경사 길에는 주차하지 마십
시오.
또한, 습기가 많고 통풍이 잘되지 않는 차고에 주
차하지 마십시오.
OHGH023004OHGH023004
Page 18 of 397
안전 주의 사항
2-13
•본 차량은 어떤 식으로도 개조해서는 안됩니
다. 차량의 성능, 내구성,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조로 인한 문제 발생 시
보증수리를 받으실 수 없습니다.
•출고 시 차량에 설치되지 않은 비인가 전기 장
치를(램프류, 블랙박스,전기기기, 통신기기, 진
단기기 등)를 임의로 장착하는 개조를 할 경우
차량의 이상작동, 배선손상, 배터리 방전, 화재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차량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 바랍니다.
차량 개조 금지
•작업 시 잘못하면 배선의 합선이나 단선 등으
로 인해 잡음, 통풍 불량, 화재 발생 등의 원인
이 되니 주의하십시오.
• 시트커버나 각종 비닐커버를 씌울 경우에는
배선이나 통풍구에 유의하십시오. 배선의 합선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종 시트커버류 작업 시 유의
사이드 에어백 장착 차량의 경우, 시트커버
를 교체하거나 비닐커버 등을 장착하지 마
십시오.
에어백 작동을 저해하여 심각한 상해를 야
기할 수 있습니다.
경 고
OVF021114KOVF021114K1JBA10231JBA1023
Page 19 of 397
안전 주의 사항
2-14
꼭 필요한 사항이 있을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하십시오.
위험하지 않은 간단한 점검 및 정비 이외에는 반
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이용
차량에 최적인 자사 순정부품을 사용해야만 안전
하고, 최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순정부품은 자사가 품질 및 성능을 보증하는 부
품입니다.
비순정부품의 사용은 차량의 성능저하와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순정부품의 사용
OSU025024HOSU025024HOHYK024001OHYK024001
00스티커스티커 00포장포장
00홀로그램홀로그램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시동을 걸 때나, 여름철
에 에어컨 등을 가동시킬 때는 평상시 보다 엔
진 회전수(rpm)가 높아, 차량을 움직일 경우에
는 평상시보다 차량이 빠르게 움직일 수 있으
므로 특히 주의하십시오.
• 임의로 원격 시동 장치 등 전기, 전자장치를 장
착하거나 무단으로 차량을 정비, 개조할 경우
에는 차량의 작동에 문제가 생겨 예기치 못한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차내에서 전파를 사용하는 전화나 무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승객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
으며,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에 영향을 끼쳐 차
량이 오작동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잠시 차에서 떠나 있을 때라도 의외의 발진 위
험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
시오.
• 정차 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를 밟고 주차 브
레이크를 걸어 놓으십시오.
• 차량내에는 고가의 소지품이나 귀중품을 넣어
두지 마시고, 차량을 떠날때는 항상 모든 도어
와 트렁크를 잠그십시오.
• 차량 언더코팅을 위해 배기계 탈·부착시 진동
흡진기(배기계 행거 고무류)의 정렬편차가 발
생되면 진동이 증가 할 수 있습니다. 언더코
팅 후 진동흡진기 정렬상태를 반드시 확인하
십시오.
기타 주의 사항
Page 20 of 397

안전 주의 사항
2-15
•차량 유리에 액세서리를 부착하면 운전에 방
해되거나, 흡착부가 렌즈의 역할을 하여 차량
내부 부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차량충돌 시 액세서리가 분리되어 상처
를 입는 등 예기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
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의 경우라도, 수시로
차량을 바꿔가며 운전을 할 때는 차량간의 페
달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페달을 오조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가속 페달과 브레이
크 페달의 위치를 오른발로 확인하십시오.
•동력발생장치와 제동장치는 별개의 장치이므
로, 오조작 및 차량의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라
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차량은 멈추게 되
므로 침착하게 행동하십시오.
•차가 눈이나 진흙, 모래 등에 빠져 움직이지 못
할 경우 차를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해 과도하
게 가속 페달을 밟으면 타이어가 슬립되어 변
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타이어가 슬립
되는 상태에서 지속적인 가속 페달을 밟는 것
은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이때에는 견
인 등의 다른 방법으로 조치하십시오.
• 자동변속기 오일 교환 및 보충은 반드시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십시
오. 비순정부품 오일의 사용은 변속기 고장 및 성
능의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자동
변속기의 품질은 보증이 불가능합니다.
• 유리창에 썬팅을 할 경우(특히 금속성 썬팅지
사용시) ETCS미러(하이패스) 통신불량 및 라
디오 수신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과도한 차
안조도의 변화로 인해 전조등 자동 점등 장치
가 오작동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썬팅작업시 작업용액이 전기, 전자기기
에 흘러들어 기기 오작동 및 작동불량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과도한 썬팅을 할 경우, 야간 주행이나 우천 주
행시 시인성이 저하되어 예기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구입후 1년 이내의 신차의 경우 차량 실내에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존재할 수 있으
므로 탑승시 창문을 열고 충분히 환기를 시키
십시오. 특히 날씨가 무덥거나 직사광선이 내
리쬐는 곳에 장시간 주차시 차량 내부 온도가
높아질 경우 두통이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
도 있습니다. 운전 중에는 가급적 외기모드로
선택하여 차량 안쪽 공기를 환기시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VOCs는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의 약
자입니다.
•최초 1,000km 전까지의 주행은 차량의 수명과
성능을 좌우하므로 이 기간 동안은 과속, 급가
속, 급제동 등을 삼가십시오.
•엔진 회전수를 4,000rpm 이내로 주행하십시오.
• 속도에 알맞게 변속 하십시오.
• 장시간 엔진을 공회전시키지 마십시오.
• 연비, 엔진 성능 및 엔진 오일 소모량은 길들이
기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약 6,000km 주
행 후 안정됩니다.
1JBB33151JBB3315
신차 길들이기
Page 21 of 397

3
안전 장치
3장 목차
좌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
앞좌석 ................................................................................................. 3-4
뒷좌석 ............................................................................................... 3-11
안전벨트 ........................................................................................ 3-14
안전벨트 구속 장치 ....................................................................... 3-14
프리텐셔너 시트벨트 .................................................................... 3-20
안전벨트 사용 시 유의 사항 ....................................................... 3-22
안전벨트의 적절한 관리 .............................................................. 3-23
어린이 보호용 장치(보조 좌석) ................................................. 3-23
어린이 보호용 장치의 장착 ........................................................ 3-23
에어백(보조 구속 장치) .............................................................. 3-28
에어백 장치의 구성 및 기능 ....................................................... 3-29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 .............................................................. 3-30
운전석 에어백/무릎 에어백 ........................................................ 3-31
동승석 에어백 ................................................................................. 3-32
사이드 에어백(앞좌석/뒷좌석) ................................................. 3-33
커튼 에어백 ..................................................................................... 3-34
충돌 시에 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았을까요? ......................... 3-35
에어백 장치의 작동은 어떻게 되는가? ................................... 3-40
에어백 경고등 ................................................................................. 3-43
에어백 정비 ..................................................................................... 3-43
에어백 경고 라벨 ........................................................................... 3-45
Page 22 of 397
안전 장치
3-2
▶운전석
1. 전·후 위치 조절
2. 각도 조절
3. 높낮이 조절
4. 허리지지대 조절
5. 익스텐션 시트 조절
6. 운전석 위치 기억 장치
7. 좌석 히터(열선) 및 통풍
8. 헤드레스트 조절
▶동승석
9. 전·후 위치 조절
10. 각도 조절
11. 좌석 히터(열선) 및 통풍
12. 헤드레스트 조절
▶뒷좌석
13. 높낮이 조절
14. 암레스트 조절
15. 헤드레스트 조절
16. 좌석 히터(열선)
좌석의 전·후, 각도, 높낮이 등을 조절하여 올바
른 운전 자세가 되도록 하십시오.
OHGH033001OHGH033001
좌석
00A타입A타입
00A타입A타입
00B타입B타입
00B타입B타입
Page 23 of 397

안전 장치
3-3
•좌석 밑이나 좌석과 중앙 콘솔 박스의 틈
새로 작은 물건 (라이터, 동전, 신용카드
등)이 들어가 물건을 꺼내야 할 경우, 좌
석의 기계 장치의 모서리 등에 의해 손
등의 신체 상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건을 꺼낼 경우 장갑을 착용하여 신체
상해를 예방하십시오.
•앞좌석 밑에는 어떤 물건도 놓아두지 마
십시오. 물건이 움직이면서 좌석 고정 장
치와 부딪히거나 좌석 밑에서 빠져 나올
수 있습니다.
• 운전자의 발 근처에 물건이 있으면, 브레
이크 또는 가속 페달을 밟을 때 물건이
움직이면서 방해를 주어 심각한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 어린이 혼자 차 안에 남겨 두지 마십시
오. 예기치 못한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 주행 중에는 절대로 좌석을 조절하지 마
십시오.
주행 중에 좌석을 조절하면 운전에 방해
가 되어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
니다.
경 고
• 조절 후에는 좌석이 확실히 고정되어 있
는지 확인하십시오.
• 좌석을 조절할 때는 뒷좌석 탑승자에 유
의하십시오.
•안전벨트는 바로 앉은 자세에서 가슴부
위를 지나도록 하고, 골반띠는 골반 부분
을 지나도록 착용하십시오.
•좌석각도를 조절할 때는 등받이가 정상
적인 위치에 있을 수 있게 방해되는 물건
을 제거하십시오.
물건에 방해를 받으면 등받이가 잠기지
않아, 급정차나 충돌 사고 시 심하게 다
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좌석을 조절할 때 레일 부분이나 좌석 고
정 장치에 부딪혀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
십시오. 특히 어린이나 유아들이 다치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항상 등받이를 똑
바로 세우고 정상적인 위치에 주행하십
시오.
•주행 중 좌석을 접은 채로 앉지 마십시오.
충돌할 때 안전벨트가 제 기능을 하지 못
하여 크게 다칠 수 있습니다.
경 고
•운전자는 차량을 제어하는데 방해가 되
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스티어링 휠로부터
가능한 뒤로 밀착하여 앉아야 합니다. 스
티어링 휠과 너무 가까우면 에어백이 작
동할 때 심각한 또는 치명적인 부상을 입
을 수 있습니다.
• 라이터를 바닥이나 좌석 사이에 놓지 마
십시오. 좌석을 움직일 때 가스가 분출되
는 경우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방석을 사용할 경우 탑승자와 좌석과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충돌이나 급정차 시
엉덩이가 안전벨트의 아랫부분으로 미
끄러질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안전벨트
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해 심각한 부
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주행 중에 절대로 좌석을 조절하지 마십
시오. 주행 중에 좌석을 조절하면 운전에
방해가 되어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24 of 397
안전 장치
3-4
•좌석 조절 시 좌석 밑이나 동작 부위에
손을 넣지 마십시오. 손가락 또는 손이
끼어 다칠 수 있습니다.
• 좌석 등받이를 지나치게 뒤로 젖히고 앉
으면 탑승자의 몸이 충돌이나 급정차 시
에 안전벨트의 아래로 빠져나갈 수 있습
니다. 이럴 경우, 탑승자는 안전벨트에
복부나 목이 조여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행 중에는 항상 등받이를 바
로 세우고 앉으십시오.
경 고 0앞좌석
▶좌석 조절(전동식)
조절 스위치를 사용하여 좌석을 조절할 수 있
습니다. 주행 전에 좌석 위치를 조절해서 스티
어링 휠과 각종 페달, 그리고 스위치를 쉽게 조
작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조절 스위치 조작 시 필요 이상의 힘을 가하면
다른 부위까지 좌석이 움직여 질 수 있습니다.
적당한 힘을 가하여 조절하십시오.
•조절장치는 모터로 작동됩니다. 조절이 끝
나면 스위치에서 손을 떼십시오. 과도한 조
작은 모터의 전기 장치에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 전동식 좌석 조절장치는 많은 양의 전기동
력을 필요로 합니다. 배터리가 방전되지 않
도록 엔진 정지상태에서는 되도록 사용을
자제하십시오.
•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스위치를 조작하지 마
십시오. 모터 및 전기장치가 손상될 수 있
습니다.
주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