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9 of 397

비상시 응급 조치
6-3
0주행 중 펑크가 나면
•주행 중 펑크가 나면 비상경고등을 켠 후 스티
어링 휠을 꼭 잡고 차를 도로 가장자리로 안전
하게 이동시키십시오. 이때 차량의 속도를 낮
추기 위해서 브레이크 페달보다는 엔진 브레
이크를 이용하십시오. 속도가 떨어지면 가볍게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정지하십시오.
• 동승자는 주행하는 차에 주의하여 내리십시오.
• 가능한 경사가 없는 평평한 장소에 정차시킨
후 타이어 교체가 가능하다면, 「타이어 펑크시
의 조치」 내용을 참고하여 타이어를 교체하시
고, 상황이 좋지 않거나 교체 자신이 없다면 가
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락하여 조치를 받으십시오.
•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히 걸고 동시에 펑크난
타이어의 대각선에 위치한 타이어 앞/뒤에 고
임목을 괴십시오.
0주행 중 시동이 꺼진 경우
•적절한 조치를 하여 차를 안전한 곳으로 이동
시키십시오. 브레이크 작동 상태가 나빠지므로
평상시보다 브레이크 페달을 세게 밟으십시오.
•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스티어
링휠(조향 핸들)조작이 상당히 무거우므로 평
소 보다 세게 조작하십시오.
0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완전히 밟고, 엔진 브레이크(기어 저단
변속)와 주차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하여 속도
를 줄여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십시오.
• 정차 후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
루핸즈에 연락하십시오.
브레이크 효과가 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의 주행은 위험하므로 절대로 운전하지 마
십시오.
경 고
0노상에서 주행중 고장이 난 경우
•주행중 노상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는 도로
변에 차를 정지시키고 비상경고등을 켜서 제2
의 사고를 방지하십시오.
•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 도로에서는 차량 후
방(주간 100m, 야간 200m)에 고장차량을 확
인할 수 있는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
각대)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터널에서의 정차는 매우 위험하므로 터널을
벗어나서 정차하십시오.
경 고
7JBA60217JBA6021
Page 290 of 397
비상시 응급 조치
6-4
•고장부위를 점검하여 수리 가능할 때는 타차
량 통행에 주의하여 작업하십시오.
수리 불가능 시는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락하십시오.
0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
▶사용 방법
• 차량 출고시 본 취급설명서와 함께 키트 박
스에 넣어져 지급된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
판(비상 삼각대)를 항상 즉시 사용할 수 있
는 위치(트렁크 툴 케이스 내 또는 고객이
원하는 위치)에 보관하십시오.
•도로 교통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고장 자동
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은 주행전에 반
드시 휴대 여부 및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OEA060013OEA060013
▶설치 방법
케이스에서 비상 삼각대를 꺼내 좌/우 날개를
올려 삼각형으로 맞추어 서로 교차되게 연결
홈에 고정시키십시오.
비상 삼각대 하단에 위치한 네개의 다리를 좌/
우로 펼쳐 넘어지지 않도록하여 차량 후방(주
간 100m, 야간 200m)에 고장 차량을 확인할
수 있는 비상 삼각대를 설치하십시오.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을 설치
하고자 할 경우 통행 차량에 주의하여 안전하
게 설치하십시오.
주 의
Page 291 of 397
비상시 응급 조치
6-5
엔진시동이 안걸릴 때
0배터리 방전 시 점프 스타트 요령
비상 시동
• 엔진룸 점프 스타트 단자로 점프 스타트
가 불가하여 보조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
리를 점프 케이블로 연결할 때는 방전된
배터리의 음극(-) 단자를 직접 연결하지
마시고 배터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견고
한 금속에 접지 하십시오. 직접 연결시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 배터리에는 부식력이 강한 묽은 황산액
이 있으므로 배터리액이 신체나 옷, 차체
에 묻지 않도록 주의하고, 신체나 눈에
묻었으면 즉시 그 부위를 깨끗한 물로 약
15분 정도 씻어낸 후 전문의사의 진단을
받으십시오.
•보조 배터리는 반드시 12V로 하십시오.
전압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배터리 파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점프 스타트 중에 점프 케이블의 양극
(+)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
십시오. 서로 닿을 경우, 불꽃이 튀어
위험합니다.
• 배터리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불꽃에 의
해 폭발할 수 있는 가스가 발생되므로 배
터리로 부터 불꽃을 멀리 하십시오.
• 방전된 배터리가 얼었거나 배터리액의
양이 적으면 점프 스타트 시 배터리의 파
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OHGH063001OHGH063001
0 하이브리드 스타트 모터가 회전하지 않
을때
배터리의 방전 상태, 배터리 단자의 연결 상태를
점검하십시오.
자동변속기 차량은 변속레버가 「P」(주차) 위치에
서만 시동이 걸리므로 다른 위치에 있지 않은지
점검하십시오.
0 하이브리드 스타트 모터는 회전하나 시
동이 걸리지 않을때
연료량을 점검 하십시오.
※ 계속해서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는 긴급 봉사
반을 불러 응급조치를 받으십시오. (책자 뒷
부분의 「보증수리 안내」편을 참조하십시오.)
Page 292 of 397
비상시 응급 조치
6-6
오버히트는 기온이 높을 때만 발생하는 것은 아
닙니다.
냉각수가 부족할 때, 한랭시 냉각수 중에 부동액
이 들어있지 않을 경우나, 엔진 내부가 동결되어
냉각수가 순환하지 않을 때도 오버히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냉각수는 순정 부동액과 물을 적정 비율로 혼합
하여 사용하십시오.
냉각수의 비율은 너무 높거나 낮아도 냉각 성능
이 떨어져 오버히트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엔진 오버히트(과열 시)
5. 타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할 경우는 타 차량
의 시동을 먼저 걸어 몇 분 기다리십시오.
6.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거십시오.
7. 엔진 시동이 되면 음극(-)에 연결된 점프 케
이블을 먼저 분리한 다음, 양극(+)끼리 연
결된 점프 케이블을 분리 하십시오.
※ 배터리 방전 원인이 명백하지 않을 때에는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을 받으십시오.
0밀기 시동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은 밀기 시동을 할 수 없
습니다.
주 의
1JBB33061JBB3306
▶점프 케이블의 연결 순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타차량의 배터리나
보조 배터리를 점프 케이블로 연결하여 시동
을 걸 수 있습니다.
점프 스타트는 잘못하면 대단히 위험하므로
전문가에게 의뢰하십시오.
1. 보조 배터리가 12V인지 확인하십시오.
2. 방전된 차량의 모든 전기장치를 끄십시오.
3. 방전 배터리의 양극(+)(1)과 보조 배터리의
양극(+)(2)을 점프 케이블로 연결하십시오.
4. 보조 배터리의 음극(-)(3)과 방전된 차량의
트렁크 래치(4)에 점프 케이블을 연결하십
시오.
적절한 위치의 트렁크 래치을 찾을 수 없을
때에는 도장이나 코팅이 되지 않은 차체
(금속부분)에 연결하셔도 됩니다.
엔진이 시동될 때 움직이는 부품의 근처나
배터리의 단자에 절대 연결하지 마십시오.
또한, 정확한 배터리 극이나 정확한 접지를
제외하고는 점프 케이블을 어떠한 곳에도
닿지 않도록 하고, 연결할 때 배터리에 무
리하게 힘을 가하지 마십시오.
Page 293 of 397

비상시 응급 조치
6-7
냉각수 수온계가 장시간 적색 눈금을 가리키면
엔진 오버히트가 발생되며 엔진의 출력이 떨어지
고 엔진이 너무 뜨거워 노킹(Knocking)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럴 경우 다음과 같이 조치하십시오.
1. 비상경고등을 켜고 도로 가장자리로 안전하게
정차하십시오.
변속레버를 「P」 (주차) 위치로 변속한 후에 주
차 브레이크를 거십시오.
2. 에어컨을 끄십시오.
3. 냉각수나 뜨거운 증기가 냉각수 탱크에서 흘
러나오면, 엔진을 정지시키고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락하십시오.
냉각수가 흘러나오지 않으면, 엔진이 시동 걸
린 상태에서 후드를 열어 엔진 내부에 통풍이
잘되도록 엔진을 식히십시오. 엔진 시동이 걸
릴 때 수온계가 떨어지지 않으면 엔진을 정지
시키고 냉각되도록 충분한 시간을 기다리십
시오.
알아두기
노킹(Knocking) 현상이란?
엔진의 실린더 벽을 작은 해머로 빠른 속도
로 두드리는 듯한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
4. 엔진을 충분히 냉각시킨 다음, 엔진 냉각수의
양을 점검하여 부족하면 라디에이터 호스와의
연결부위, 히터호스와의 연결부위, 라디에이
터 워터 펌프 등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십시오.
누수나 다른 문제가 없다면 냉각수를 보충하
십시오. 그러나, 누구나 냉각팬이 회전하지 않
고 워터 펌프 구동 벨트가 끊어지는 등의 엔진
오버히트를 일으킬 만한 문제가 발견되면 운
전을 삼가하시고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의 점검을 받으십시오.
• 냉각수는 부동액과 물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십시오. 부동액의 비율이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는 냉각 성능이 떨어져 오버히트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7장, 「냉각수 점검」의 혼합비율 참조)
•엔진 오버히트가 자주 있으면 냉각 장치 전체
를 점검 정비 하십시오.
•차를 세운 뒤 엔진시동을 즉시 끄지 마십시
오. 수온이 급상승하여 엔진이 고착될 수 있
습니다.
•냉각팬이 회전하지 않으면 시동을 끄십시오.
주 의
•냉각수 부족으로 엔진이 과열되었을 때 급
하게 차가운 냉각수를 넣으면 엔진에 균열
이 생길 수 있으므로 천천히 조금씩 보충하
십시오.
주 의
• 후드를 열 때 뜨거운 수증기나 물이 뿜어
져 나오거나 후드가 뜨거울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엔진 작동중 손이나 옷이 냉각
팬이나 구동벨트에 닿지 않도
록 주의하십시오.
• 엔진과 라디에이터가 뜨거울
때는 라디에이터 캡을 분리하
지 마십시오. 엔진과 라디에이
터가 과열되었을 때 라디에이
터 캡을 열면 냉각수가 분출되
어 상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294 of 397
비상시 응급 조치
6-8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TPMS)은 각 휠에 장
착되어있는 센서를 통해 일정기준 이하로 타이어
의 공기압이 떨어지면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
입니다.
※ TPMS는 Tire Pressure Monitor ing System의
약자입니다.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TPMS)
0저압 타이어를 감지하였을 때
공기압이 현저하게 낮아진 타이어를 감지하였을
때 계기판에 저압 타이어 경고등과 저압 타이어
위치 표시등이 켜집니다. 저압 타이어 위치 표시
등은 해당 저압 타이어 위치를 나타내줍니다.
경고등이 켜지면 즉시 속도를 낮추고, 급커브는
자제하십시오.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의뢰하여
타이어의 상태를 점검한 후, 추천공기압에 맞도
록 공기압을 조정 하십시오.
본 차량의 추천 공기압은 8장, 「타이어 및 휠」의
공기압 제원을 참조하십시오.
OHG065001OHG065001
OHGH045247OHGH045247
00저압 타이어 경고등저압 타이어 경고등
00저압 타이어 위치 표시등저압 타이어 위치 표시등
Page 295 of 397
비상시 응급 조치
6-9
OHG065001OHG065001
• 타이어 공기압을 조정할 때에는 타이어가
차가운 상태에서 하십시오. 차가운 타이어
는 3시간 이내에 주행한 적이 없거나,
1.6km 이내로 운전한 차의 타이어를 말합
니다.
• 적정 공기압으로 맞춰 놓아도 날씨가 추워
지면 저압 타이어 경고등이 켜질 수 있습니
다. 이는 온도에 비례하여 공기압이 낮아지
는 것이므로 TPMS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
은 아닙니다. 타이어 상태를 점검한 후 추천
공기압에 맞도록 조정하십시오.
• 외기온도가 급격히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상태에서 주행할 경우, 타이어 공기압을 사
전에 체크하여 추천공기압에 맞게 조정한
후 운전하십시오.
•모든 타이어는 추천 공기압이 유지될 수 있
도록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주 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 타이어 공기압 감
지 시스템에만 의존하지 마십시오. 정기
적으로 타이어 공기압을 점검하십시오.
• 저압 타이어로 계속 운전하면 타이어
가 과열되어 파손될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이어 수명, 차량 조작능력, 브레이크
제동력, 연비가 떨어지며, 차체를 불안
정하게 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
루핸즈에 의뢰하여 적정 공기압을 유
지하십시오.
경 고
0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에 이상이 있
을 경우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경우
계기판에 ()경고등이 깜빡인 후 켜집니다. 즉
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을 의뢰하십시오. 임의 센서가 고장난 상태에서
다른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아졌을 때 ()경고
등이 켜집니다.
00TPMSTPMS 경고등 경고등
Page 296 of 397

비상시 응급 조치
6-10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
동을 방해하는 경찰서, 관공서, 방송국, 군
부대, 송신탑 근처를 주행할 경우 TPMS 경
고등이 켜질 수 있습니다.
•스노우 체인이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에도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
동을 방해하여 TPMS 경고등이 일정시간
깜빡인 후 켜질 수 있습니다.
•차량에 소비자가 별로 구매한 전장품(노트
북, 휴대폰, 충전기, 오디오/내비게이션, 원
격시동장치, 무선 통신 장치 등)을 장착, 사
용할 경우 TPMS 경고등이 일정시간 깜빡
인 후 켜질 수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에 이상이 있을 때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을 장착한 다른
차량 가까이 주행하면 일시적으로 TPMS
경고등이 켜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런트(봉합제)를 사용하여 펑크난 타이어
를 수리 했을 시,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 손
상 방지를 위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주 의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
에는 어떠한 타이어 방수제도 사용하지 마
십시오.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못이나 도로 파편으로 인해 갑작스런 타이
어 손상은 감지되지 않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의 부품을 임의
로 조정하거나 교체하지 마십시오.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의 정상적인 작
동을 방해합니다.
•정확히 저압 타이어를 감지 하기 위해서는
각 휠에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가 장착되
어 있어야 하며, 그 이외의 장소에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가 있으면 경고등이 켜질
수 있습니다.
•타이어를 교체할 때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
서가 분실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십
시오.
주 의 0타이어를 교체할 때
각 타이어 휠에는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가 장
착되어 있습니다.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의뢰하여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가 장착된 타이어 휠로
교체하십시오.
타이어 공기압 감지 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로 교체
후 몇 분간 운전하면 TPMS 경고등은 꺼집니다.
계속해서 TPMS 경고등이 꺼지지 않으면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의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