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of 232
안전 주의 사항
2-16
차량 용접시 주의사항
주 의
•차량의 용접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여 주십시오. 용
접 시 부주의에 의해 전자장치 및 ECU 등
이 오작동되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
다.
•차량에 용접작업을 할 때는 다음 사항을 반
드시 준수하여 주십시오.
- 차량의 모든 전기장치를 “OFF” 하여 주
십시오.
- 용접작업을 할 때는 배터리 “-”단자(음
극선)을 반드시 분리하여 테이프 또는
고무 캡 등으로 씌워 주십시오. 음극선
을 분리하지 않을 때에는 차량의 전기
장치에 손상이 갈 수 있습니다.
- 차량의 각 ECU 및 커넥터는 반드시 분
리하십시오. 분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용
접 시 고전압으로 인해 각 ECU가 손상
되어, 오작동으로 인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 의
- 요소수 시스템 장착 차량 용접을 할 때
DCU(Dosing Control Unit), Nox센서
커넥터, 요소수 펌프 커넥터, 요소수(우
레아) 인젝터 커넥터를 반드시 분리하
고 용접하십시오. 분리하지 않고 용접시
DCU 및 각 센서가 고전압으로 손상 될
수 있습니다.
- 용접기의 접지선은 연료탱크에 연결하
지 마십시오. 또한 용접불꽃이 연료탱크
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불꽃에
의해 화재가 일어날 위험이 있습니다.
- 용접작업 완료 후 배터리 “-” 단자 및 커
넥터는 확실히 조립하고, 용접부 및 페
인트 제거 부위는 방청도장을 실시하십
시오.
주 의
• ECU 및 전기장치 장착차량 정비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
하십시오. 전기장치의 심각한 고장을 일으
킬 수 있으며, 오작동으로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용접 관련작업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블루핸즈 이외에서는 정비를 하지
마십시오.
•ECU 및 전자장치 장착차량의 자세한 정비
방법은 정비지침서를 참조바랍니다.
Page 26 of 232
안전 주의 사항
2-17
HMC순정부품은 자사의 신차에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부품으로 엄격한 검사에 합격되어 그
품질이 보증되고 있습니다.
순정부품은 다음 마크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상세한 사항은 본 책자의 「보증수리 안내」 편을
참조하십시오.
취급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는 간단한 점검 및 정
비 이외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아 주십시오.
OPY005019OPY005019OAM029001OAM029001
00스티커스티커 00포장포장
00홀로그램홀로그램
블루핸즈 안내 순정부품 이용
엄격한 품질관리로 제조되고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은 제품인 것을 보증하고 있습니다.
만일 부품이나 제조상 불량이 있을 때는 보증서
에 명기한 범위안에서 무료로 수리해 드리고 있
습니다.
상세한 것은 「보증서」편을 참조해 주십시오.
다음 사항은 보증을 받을 수 없으므로 주의해 주
십시오.
• 취급 부주의에 따른 고장이나 사고.
• 유사부품의 사용에 의한 고장.
오일 및 추가 장착부품은 자사의 순정 부품을
사용해 주십시오.
유사부품의 품질은 자사가 보증할 수 없습니다.
FRVOM004FRVOM004
보증수리 안내
Page 27 of 232
안전 주의 사항
2-18
차체손질
다음과 같은 경우는 꼭 세차를 하십시오.
CSHOM119CSHOM119
CSHOM121CSHOM121
CSHOM120CSHOM120
CSHOM122CSHOM122
해안 지대를 주행한 경우
동결방지제를 살포한 도로
를 주행한 경우먼지나 진흙으로 오염된 경우
콜타르, 매연, 새의 배설물 등이
부착된 경우
1. 보디의 하체, 펜더 안을 수도물의 압력을 올려
세차합니다.
2. 각 부를 완전히 닫고 충분히 물을 뿌리면서 스폰
지등으로 오물을 떨어뜨립니다.
3. 오물이 심한 경우는 중성 세제를 사용합니다.
4. 세제가루를 완전히 씻어낸 후 스폰지 등으로
얼룩이 남지 않도록 닦아 냅니다.
CSHOM123CSHOM123
세차방법
Page 28 of 232
안전 주의 사항
2-19
주 의
•엔진룸 안의 전기 부품 또는 컴퓨터(ECU)
에 물을 끼얹지 않도록 주의해 주십시오.
•하체 주위를 닦을 때는 판금부품 등의 끝부
분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충분히 주의해
주십시오.
•한랭지에서도 도어의 키 구멍이나 고무 부
품이 동결되어 열리지 않게 되는 수가 있으
므로 세차후는 도어 주위등의 수분을 잘 닦
아 주십시오.
•플라스틱이나 수지부품을 신나 혹은 가솔
린으로 청소하지 마십시오.
•에어 클리너의 흡기구 부근에 물을 끼얹지
않도록 주의해 주십시오.
주 의
•실내는 물청소를 삼가하여 주십시오. 계기
판의 전기장치에 물이 오염되어 치명적인
고장을 일으킬수 있습니다.
•고압 세척기로 세차시 도어 실링부 및 위쪽
유리부를 통해 물이 실내로 들어갈 수 있으
므로 주의하십시오.
•차체 도장 표면에 얼룩등과 같은 오염 물질
제거 또는 광택을 내기 위해서 강한 연마제
(컴파운드) 사용을 삼가하여 주십시오. 도
장면이 벗겨질 수도 있는 심각한 손상을 초
래할 수 있습니다.
▶왁스 칠 요령
매월 한번 또는 물의 튐이 나쁠 때에 해 주십시오.
왁스칠은 그늘에서 차체의 온도가 내려가고 나서
해 주십시오.
CSHOM124CSHOM124
Page 29 of 232
안전 주의 사항
2-20
•액상 방향제를 실내에 사용할 때 계기판부위,
크러쉬 패드, 가죽 및 플라스틱부분에는 절대
부착하지 마십시오. 만약, 액상 방향제가 유출
되어 계기판 부위, 크러쉬 패드 및 공기통풍구
등에 묻으면 액상 방향제 고유의 성분에 의해
손상될 수가 있습니다. 이때에는 신속하게 깨
끗한 물로 세척하십시오.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전장품, 방향제, 스티커
등을 부착하지 마십시오. 특히 양면 테이프를
사용한 부착물의 경우 테이프에 함유된 화학
성분에 의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표면부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엠블렘, 도어 인너 핸들, 가쉬니, 스위치 베젤
등과 같은 도장 처리된 부품은 화학 용액이나
강한 세제로 닦지 마십시오. 선팅제거제 등과
같은 화학 용액이 묻었을 경우에는 표면이 벗
겨지거나 변색이 될 수 있으니 주의를 요하며
묻었을 경우 즉시 제거하고 세척하십시오.
▶내장품의 손질
●내장 손질의 일반적인 주의사항
• 내장품 표면에 화학물질(손 세정제, 종이 방향
제, 선 크림 등)이 묻지 않게 하십시오. 화학물
질이 묻었을 경우 실내 부품이 손상될 수 있으
므로 즉시 제거하십시오.
•내장품을 세척할 때는 아세톤, 벤젠, 락카용제,
에나멜 및 표백제, 휘발유 또는 신나 등의 유류
물질 등을 절대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변색되거
나 손상이 올 수 있습니다.
▶안전 벨트의 청소
내장재 또는 카펫용으로 추천된 부드러운 비누액
을 사용하여 안전벨트를 청소하십시오. 표백처리
를 하거나 재염색을 하지 마십시오.
▶내부 창문의 청소
차량의 창문 내측 표면에 서리가 끼면, (즉 기름끼
나 왁스끼 묻은 필름으로 덮이면), 창문 세척기로
닦아 내십시오.
주 의
뒷유리 내부를 심하게 닦거나 긁어 내지 마십
시오. 유리의 서리제거 장치(열선)등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Page 30 of 232

안전 주의 사항
2-21
터보차저 장착차의 취급
압축냉각공기
흡입공기
← 압축공기
← 터빈컴프레서
에어클리너
•TCI(Turbo Charger Intercooler, 터보차저 인
터쿨러) 엔진은 엔진의 흡입공기를 컴프레서
로 압축시켜 강제로 높은 밀도의 흡기를 공급
하는 「Tu r b o C h a r g e r (터보차저)」와 흡입된 고
온의 공기를 냉각시켜 충진효율(실린더에 공
급되는 흡기의 밀도)을 향상시키는 흡기 냉각
기인 「Intercooler(인터쿨러)」를 함께 가진 엔
진을 의미하며, 일반 엔진보다 고출력, 고성능
을 발휘함은 물론, 일반 터보차저 엔진보다도
높은 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장치입니다.
MX101MX101
→
→
→
실린더→
배출가스
→
↓
인터쿨러↓
•구입 후 1년 이내의 신차 실내에는 인체에 해
로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존재 할 수
있으므로 탑승 시 항상 모든 창문을 열고 충분
히 환기를 시키십시오. 특히, 날씨가 무덥거나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곳에 장시간 주차 시 차
량 내부 온도가 높아질 때 두통이나 매스꺼움
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운전 중에는 될 수
있으면 외기 모드를 선택하여 차량 안쪽 공기
를 환기 시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VOCs 는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약자
입니다.
0기타 주의사항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시동을 걸 때는 평상시
보다 엔진회전수(rpm)가 높아, 이때 차량을 움
직일 경우에는 평상시보다 차량이 빠르게 움
직일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십시오.
•임의로 원격시동장치 등 전기,전자장치를 설
치하거나 무단으로 차량을 정비, 개조할 경우
에는 차량의 작동에 문제가 생겨 예기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잠시 차에서 떠나 있을 때라도 의외의 사고 방
지를 위해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고 키를 빼 주
십시오.
•정차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와 주차 브레이크
를 작동시키십시오.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의 경우라도, 수시로
차량을 바꿔가며 운전을 할 경우에는 차량간의
페달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페달을 오조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가속페달과 브레이
크 페달의 위치를 오른발로 확인 하십시오.
기타 주의사항
Page 31 of 232

안전 주의 사항
2-22
터보차저충분한 공회전 실시
약 5만∼18만 rpm
JFS240JFS240
0터보차저 장착차 점검요령
•터보차저의 고장은 대부분 윤활유 공급부족,
엔진오일 오염,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압축기
날개 손상 등에 의해 발생됩니다.
•점검을 위하여 에어클리너 엘리먼트를 장착
치 않고 고속 회전시키는 것을 삼가하십시오.
컴프레서(압축기) 날개 손상의 원인이 됩니다.
•터보차저 엔진은 일반 엔진에 비해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므로 갑작스럽게 엔진시동을 끄
면 엔진이 과열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 하십
시오.
•인터쿨러 내의 오일 배출은 50,000 km마다
드레인 플러그를 탈거하고 배출하십시오.
그리고, 동절기가 시작되기 전인 11월 경에도
배출하십시오.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시스템은 엔
진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수냉식
EGR 쿨러를 거쳐 냉각 시킨 후 흡입공기와 혼합
하여 연소실로 재순환시키는 장치로서 일반 엔진
에 비하여 질소 산화물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
소시키는 장치 입니다.
0EGR 시스템 장착차 취급요령
•EGR 시스템의 고장은 대부분 냉각수 공급 부
족, 외부의 무리한 충격, 부품 교환시 정비 요령
미 준수에 의해 발생됩니다.
•냉각수 부족 상태 혹은 엔진 과열 경고등 점등
상태에서 운전을 지속했을 경우 EGR쿨러 내
부 파손 및 엔진 전체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습
니다.
•냉각수 부족이나 엔진 과열 시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
으십시오.
0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요령
• 점검 등을 위하여 EGR밸브 및 EGR쿨러를 밟
고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주 의
•EGR 관련 장치의 고장이 발생되어 질소
산화물 배출량이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경
우 요소수 시스템 경고등, OBD 경고등이
점등되며 출력저하 및 차속제한 현상이 나
타나면, 즉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받아 주십
시오.
•주행중에 아래와 같은 원인으로 엔진 경고
등( ) 또는 엔진 과열 경고등()과 함
께 출력저하 현상이 나타나면 즉시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
검 및 정비를 받아 주십시오.
- 엔진 과열에 의한 냉각수 온도상승
- EGR 관련 장치의 고장
- 연료 공급 압력 이상
EGR 시스템 장착차 점검 요령
Page 32 of 232
안전 주의 사항
2-23
0배출가스 저감장치(DPF+요소수시스템)란?
•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유
해한 배기가스 성분(HC, CO, NOx & PM)을
DPF 및 SCR 촉매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에
무해한 성분, 즉 물(H2O), 이산화탄소(CO2)
및 질소(N2) 성분으로 분해합니다. 이를 위하
여 배출가스저감장치는 내부에 촉매장치 부
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DOC(Diesel Oxidation Catalyst, 디젤산화
촉매) : HC 및 CO를 저감하고 또한 매연의
일부를 저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DPF에 축적된 매연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열을 제공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매연필터장치)
시스템 : 디젤산화촉매와 매연필터장치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엔진에서 배출된 매연은 매연
필터장치 내부에 물리적으로 축적되고,엔진
후분사 및 배기관 내부에 분사된 연료에 의하
여 고열이 발생하여 주기적으로 제거됩니다.
배출가스저감장치(DPF+요소수시스템) 장착차 취급
C+O2 → CO2
2CO+O2 → 2CO, 4CmHn+(4m+n)O2
→ 4mCO2+2nH2O
OCY025050OCY0250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