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9 of 232
정기점검
7-4
0점검 정비시 주의사항
•경사가 없는 평탄한 장소에서 실시하십시오.
•시동 키를 「LOCK」 또는 「ACC」 로 한 후 1단
(엔진 시동 상태에서 점검이 필요할 때는 「N」
(중립)) 에 위치시킨 후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
시켜 놓으십시오.
•엔진 시동 상태에서 점검을 해야 할 때가 아니
면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시오.
•점검 정비는 환기가 잘 되는 장소에서 실시하
십시오.
•차량 밑에서 작업할 때는 반드시 리프터를 사
용하십시오.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고 점검 정비하십
시오.
•배터리, 점화 케이블, 전기 배선에는 전류
가 흐르고 있다는 것에 유념하여 퓨즈, 메
인퓨즈가 단선되지 않도록 하십시오.
•엔진 룸 점검 또는 정비 시 연료 관련 부품
위에 무거운 물건을 올려 놓거나 무리한 힘
또는 충격을 가하지 마십시오.
•연료 계통(연료 라인 및 연료 분사장치) 정
비 시에는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
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십시오.
주 의
•인공 심장 등 인공 장기 사용자는 엔진이
작동 중일 경우 엔진에 가까이 접근하지
마십시오. 인젝터 등 전자제어 장치의 고
압 전류에 의해 이상 작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엔진부를 점검할 때는 반드시 엔진을 정
지시키고 엔진이 식은 후에 실시하십시
오. 그렇지 않으면, 화상을 입을 수 있습
니다.
•엔진을 시동시키고 밀폐된 장소에서 점
검 정비할 경우 배기가스에 중독될 수 있
으니 반드시 환기를 시키십시오.
•잭으로 차량을 받친 상태에서 차량 밑으
로 들어가지 마십시오.
잭으로 부터 차량이 미끄러지면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170 of 232
정기점검
7-5
•배터리, 점화 케이블, 전기 배선을 만질
때는 미리 배터리의 「-」 단자를 분리하십
시오. 전류가 흐르고 있어 감전될 수 있
습니다.
•
냉각팬이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차량은
엔진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냉각
팬이 작동할 수 있습니다.
냉각팬의 작동은 심각한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엔진 시동 상태에서 점검
정비해야 하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
고 반드시 시동 키에서 키를 빼십시오.
경 고
•엔진 시동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에는 옷자락, 시계, 반지 등은 제거하여
위험을 사전에 방지 하십시오. 구동벨트,
냉각팬에 손, 옷자락, 머리카락, 공구등
이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연료장치나 배터리 근처에서는 불꽃을
멀리 하십시오.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배터리의 「-」 단자를 연결할 때는 주의 하
십시오.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하
거나 「+」 단자에 「-」 케이블을 연결하지
마십시오.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엔진룸 점검시 주변에 화기를 가까이 하
지 마십시오.
연료와 와셔액, 각종 오일류 증발가스 인
화로 화재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Page 171 of 232
정기점검
7-6
일상 점검이란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람이 매일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행하는 점검을 말하며 이는 안전 운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점검이고 운전자의 의무이기
도 합니다. 반드시 실시하십시오.
점 검 항 목점 검 내 용
이상 유무 확인전일 운전시 이상이 있던 부분은 정상인가
엔진룸을 열고
엔 진
시동이 용이하고 연료, 엔진오일, 냉각수가 충분한가누수, 누유는 없는가구동벨트의 장력은 적당하고 손상된 곳은 없는가
기 타브레이크액 / 클러치액, 파워스티어링 오일, 와셔액 등은 충분하고 누유는 없는가
차의 외관에서
엔 진배기가스의 색깔은 깨끗하고 유독가스 매연의 배출이 없는가
완 충 스 프 링스프링의 연결부위에 손상, 균열이 없는가
바 퀴타이어의 공기압은 적당한가타이어의 이상마모 또는 손상은 없는가휠너트(또는 볼트)의 조임은 충분하고 손상은 없는가
램 프점멸이 확실하고 파손되지 않았는가
등 록 번 호 표번호표가 파손되지 않았는가
일상 점검
Page 172 of 232
정기점검
7-7
점 검 항 목점 검 내 용
운전석에 앉아서
엔 진연료는 충분하고 시동은 용이한가
조 향 핸 들흔들림, 유동이 없는가조작이 용이한가
브 레 이 크페달의 유격과 잔류간극이 적당한가브레이크의 작동이 양호한가주차 브레이크의 작동량은 적당한가
변 속 기클러치의 유격은 적당한가변속레버의 조작이 용이한가, 심한 진동은 없는가
실외미러 / 실내미러비침 상태가 양호한가
경 음 기작동이 양호한가
와 이 퍼작동이 양호하고 와셔액은 충분한가
각 종 계 기 및 스위치작동이 양호한가
Page 173 of 232

정기점검
7-8
정기점검
○ : 점검, 조정, 보충, 조임 ● : 교환 △ : 청소 혹은 배출
주의 1. 연료 부족시 고압펌프에 손상을 초래하여 배출가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검증되지 않은 연료(첨가제 등)는 주유하지 마십시오. 3. 연료관련 점검/교체 주기는 국내석유사업법에 명시된 경유/휘발유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됩니다.※ 메인 연료필터는 사양에 따라 필요 없는 차량도 있습니다.
0정기점검 일람표
(1) 배출가스 제어 항목
점검내용점검주기비고최초 1,000㎞ 최초 5,000㎞ 매 10,000㎞ 매 20,000㎞ 매 40,000㎞ 매 60,000㎞ 매 100,000㎞
엔진 오일●통상조건: ● 매 60,000km 또는 12개월 마다 교환,
가혹조건:● 매 30,000km 또는 6개월 마다 교환일일 점검엔진 오일 필터
연료필터교환
메인 필터● 최초 20,000km 교환 후 매 40,000km 마다 교환(가혹 조건은 교환 주기 단축)히터 내장형
프리 필터● 최초 20,000km 교환 이후 매 40,000km 또는 엔진 경고등 점등 및 주기적 점멸 교환
●최초 20,000km 교환 후 매 40,000km 마다 교환(가혹 조건은 교환 주기 단축)히터 내장형
요소수(우레아)시스템 요소수 펌프 메인 필터 통상조건 : ● 매 100,000km 마다 교환, 가혹조건 : ● 매 5만km 마다 교환
연료 탱크내 불순물 배출△
연료 호스 점검○
냉각수 점검 및 교환○ 매 20,000km 마다 점검 - LLC-10: ● 매 10년 또는 200,000km마다 교환(공장 출고시) - LLC-2: ● 매 2년 또는 40,000km마다 교환
부동액45~50%유지
라디에이터 캡 상태 정검○운행전 점검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 교환● 매 6개월 또는 60,000km마다 교환(Dust indicator 확인, 붉은색 점등시 교환)가혹시 수시점검
팬(V-리브드)벨트○ 100,000km 점검 이후, 매 10,000km 마다 점검, 이상시 교환운행전 점검
공기, 냉각수, 연료 및 오일 누수 점검 운행전 점검소음 발생시 점검
밸브 간극 점검 및 조정○○
매니폴드, 엔진 지지부 등의 볼트 재조임○○일일 점검
엔진 작동상태(시동, 공회전 상태, 가속상태, 최고속도)○○
예열 플러그 기능 점검○
인터쿨러부의 오일 빼기△ 50,000km 마다 배출(동절기가 시작되기 전인 11월경에도 배출하십시오.)
배기가스 점검○○
배기 파이프 머플러의 기능 손상, 헐거움 점검○
Page 174 of 232
정기점검
7-9
○ : 점검, 조정, 보충, 조임 ● : 교환 △ : 청소 혹은 배출(2) 일반점검 항목
점검내용점검주기비고최초 1,000㎞ 최초 5,000㎞ 매 10,000㎞ 매 20,000㎞ 매 40,000㎞ 매 60,000㎞ 매 100,000㎞
수동 변속기 오일
T060S5● 150,000km 마다 교환,
○ 50,000km 마다 오일 레벨 점검 및 누유 확인T060S6
M035S5● 최초 10,000km 교환 이후 40,000km 마다 교환 또는 12개월마다 교환
○ 매 20,000km 마다 오일레벨 점검 및 누유 확인
엘리슨 자동변속기
오일 TES 295: ● 매 120,000km 또는 2년 마다 교환
TES 389: ● 매 40,000km 또는 2,000시간 또는 1년 마다 교환
필터 TES 295: ● 매 120,000km 또는 2년 마다 교환
TES 389: ● 매 40,000km 또는 2,000시간 또는 1년 마다 교환
클러치페달 유격 및 기능점검 페달 작동 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수정
클러치/브레이크 액 점검 및 교환● 매 1년마다 교환수시 점검
변속기 레버 헐거움○
리어액슬(디프런셜) 오일○최초 10,000km점검 ● 매 1년 또는 40,000km마다 교환
프로펠러 샤프트 커플링의 조임상태○ 25,000km 마다 점검
프로펠러 샤프트 유니버셜 조인트 그리스 주입○ 15,000km 마다 주입
프론트액슬 및 리어액슬 균열 및 변형점검○
프론트, 리어 휠허브 베어링 손상 및 유격점검○○
휠 스터드 볼트, 너트 조임 및 상태점검○○ 매 5,000km마다 점검(타이어 교환 후 50-100km주행후 재조임)
타이어 위치 교환● 15,000km 마다 위치교환
전 차륜 정열상태 점검(사이트슬립)
리지드 액슬 타입
(판스프링)○○
독립현가 타입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수정
Page 175 of 232
정기점검
7-10
○ : 점검, 조정, 보충, 조임 ● : 교환 △ : 청소 혹은 배출
점검내용점검주기비 고
판스프링 U-볼트
리프(판) 스프링의 손상점검
쇽업소버의 오일 누유 또는 손상점검
현가장치의 손상 및 헐거움 점검
파워 스티어링 오일
조향장치 오일 누유 및 오일량 점검
조향 핸들 유격 및 링케이지 헐거움(엔진 구동상태에서)
조향각 점검 및 스톱퍼 볼트 재조임
클러치/브레이크 액 점검 및 교환
브레이크 계통 에어 및 누유 점검
브레이크 드럼 라이닝 간극 점검
브레이크 드럼 라이닝 마모상태
브레이크 드럼 마모상태
디스크브레이크 디스크 및 패드 점검
디스크로터 표면 상태 확인
주차브레이크 기능(제동력) 점검
주차브레이크 드럼 및 라이닝 마모상태
주차브레이크 행정
각 보디 샤시 부분(적재함 포함), 프레임 볼트 재조임
캡 환기 필터 청소 및 교환 (디럭스 타입)
에어컨 냉매 수준 점검
에어컨 점검
○
○
○
○○ 20,000km 마다 재조임(교환 후 1,000km 재조임)
○ 매 5,000km 마다 점검
○ 매 5,000km 마다 점검
○ 매 5,000km 마다 점검
○ 매 5,000km 마다 점검
● 매 100,000km 마다 교환
최초 1,000㎞최초 5,000㎞매 60,000㎞매 100,000㎞매 10,000㎞ 매 20,000㎞매 40,000㎞
○
○
○
○
○
○
○○ 50,000km 마다 재조임
○ 매 5,000km 마다 점검
○ 마찰재(디스크 패드) 교환시 마다 점검
△ 매 5,000km마다 청소
성능 저하시 점검 후 보충
1~2개월에 한번 작동하여 냉기정도 확인
○ 영업용 차량 : 매 2,000km
○
○
● 매 1년 마다 교환
가혹시 수시점검
가혹시 수시점검
가혹시 수시점검
가혹시 수시점검
일일 점검
Page 176 of 232
정기점검
7-11
○ : 점검,조정,보충, 조임 ● : 교환 △ : 청소 혹은 배출
점검내용점검주기비 고
시동 모터 기능 점검
발전기 기능점검(테스터기 사용)
전기 배선과 접속부분(의) 손상, 헐거움 점검
각종램프 점멸 상태
헤드 각종 램프 점멸 상태
헤드 램프 정렬상태 점검 조정
배터리 전해액 점검
각 진공호스
운행전 점검
○
○
○ 매 5,000km 마다 점검
○ 매 5,000km 마다 점검
○ 매 5,000km 마다 점검
○ 매 12개월 마다 점검
배터리액 LOWER 이하시 교환
최초 1,000㎞최초 5,000㎞매 60,000㎞매 100,000㎞매 10,000㎞ 매 20,000㎞매 40,000㎞
※ 시간과 주행 거리중 먼저 도래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교환 또는 점검·정비를 하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