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9 of 232
정기점검
7-44
0반자동 주유장치
OCN022023OCN022023
※ 차종에 따라 그리스 니플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스 리저버
그리스 분배
번호
1
2
3
4
그리스 종류
NLGI #2
주기
매 10,000km 또는 3개월
부품명
왼쪽 킹핑 상부
왼쪽 킹핑 하부
오른쪽 킹핑 하부
오른쪽 킹핑 하부
Page 210 of 232
정기점검
7-45
에어 그리스 건으로 그리스 주유 니플(Nipple)
에 그리스 주입시는 에어 압력을 10kg/cm2 이
하로 사용하십시오.
주 의
킹핑 상/하부에 총 4개소의 구리스 주유 니플
(Nipple)이 있습니다.
그리스 주유 니플(Nipple)에 수동 그리스 건 또는
에어 그리스 건으로 그리스를 주유하면 SSV 분
배기(Distributor)를 경유하여 그리스 포인트
(Point)에 그리스를 주유할 수 있다.
프론트 주유 니플(Nipple)은 차량 우측 리저버
(Reservoir Tank) 점검구 마운팅 브라켓에 설치
되어 있습니다.
▶주유방법
그리스 주유 니플(Nipple)에 수동 그리스 건 또는
에어 그리스 건으로 그리스를 1~2분 정도 주입하
여 압력이 걸리면 그리스 주입이 완료된 상태입
니다.
일주일에 한번 정도 그리스를 주입하십시오.
Page 211 of 232
정기점검
7-46
OMB074002 OMB074002
실내등실내등
차폭등차폭등안개등안개등헤드램프헤드램프
측면 방향지시등측면 방향지시등
번호판등번호판등
※ 전구 교환시 맨손으로 반사경 또는 전구를 만지지 마십시오. 장갑이나 패키징을 사용하십시오.
손에 묻은 그리스, 오일 등의 불순물이 전구에서 발생되는 열에의해 증발되어 반사경 기능을 손상시
킬 수 있습니다.
특히 발열량이 큰 헤드램프 전구 취급시 주의하십시오.
미등 및 정지등미등 및 정지등후진등후진등방향지시등방향지시등
전구는 비규격품 사용시 화재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규격품 전구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주 의
각종 램프의 위치
사이드 마커램프사이드 마커램프
리어 표시등 (사양 적용시)리어 표시등 (사양 적용시)
Page 212 of 232
정기점검
7-47
0방향지시등
JCWOM140JCWOM140
JCWOM141JCWOM141
00리어리어
00프론트프론트
0번호판등
JCWOM142JCWOM142
전구규격표 전구의 교환
램프종류수량 용량(W)
헤드램프175/70
프론트
콤비네이션
램프
방향지시등221
차폭등25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방향지시등221
후진등221
정지등221
미 등25
번호판등112
실내등110
운전자등10
스텝 램프15
러기지 램프5
안개등270
조명등3
측면 방향지시등221
사이드 마커 램프65
리어 표시등6LED
Page 213 of 232
정기점검
7-48
0매연관리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주요한 공해요소는 흑색
연기(매연)로서 이 매연농도가 하기 규정된 규제
치를 초과하는 경우 법적인 제재조치를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단, 과급기(터보차저)나 중간냉각기(인터쿨러)을
부착한 엔진(자동차)의 경우 5%를 가산한(총
25% 이하) 매연농도를 적용 받게 됩니다.
매연농도 측정은 규정된 광투과식 무부하급가속
검사모드로 실시하게 됩니다.
1. 무부하급가속검사모드 측정방법
(1) 엔진은 충분한 예열 상태에서 측정되어야 하
며, 에어컨 또는 서리제거장치 등 작동하지
않아야 합니다.
(2) 예비 무부하급가속
- 배기관내 축적되어 있는 매연을 배출하기
위한 모드로, 매연 측정 전 반드시 실시하
여야 합니다.
- 측정 대상자동차의 정지가동상태, 기어 중
립인 상태에서 급가속하여 최고 회전속도
도달 후 2초간 회전시키고, 공회전 상태로
5∼6초간 둔다. 이와 같은 과정을 3회 반복
실시합니다.
(3) 측정기의 시료채취관을 배기관의 중앙에 오
도록 하고, 5cm(광투과식) 정도의 깊이로 삽
입합니다.
(4) 엔진의 최고 회전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
요시간은 4초이내로 하고 그 시간 이내에 시
료를 채취하여야 합니다.
광투과식
구 분 매연 농도
20% 이하
0실내등
홈부분에 (-)드라이버 등을 끼워 렌즈를 빼냅
니다.
0기타
경고등, 지시등 및 계기판 조명등의 교환은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 하
시기 바랍니다.
JCWOM139JCWOM139
배출가스 규제와 차량관리
Page 214 of 232

정기점검
7-49
2. 매연 농도의 산출방법
- 3회 연속 측정한 매연농도를 산술평균하여
소수점 이하는 절사한 값을 최종측정치로
합니다. 이때 3회 측정한 매연농도의 최대
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5%를 초과하거나
최종 측정값이 운행차 배출허용기준에 부
적합한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1회씩 더 측
정하여 최대 10회까지 측정하면서 매회 측
정시마다 마지막 3회의 측정치를 산출하여
마지막 3회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5% 이내이고, 측정값의 산술평균값도 운
행차배출허용기준 이내이면 측정을 종료
하고 이를 최종 측정값으로 합니다.
- 만약, 10회까지 반복 측정하여도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5%를 초과하거나 마지막
3회(8회, 9회, 10회) 측정값의 산술평균값
이 운행차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면 측정
을 종료하고 이를 최종 측정값으로 합니다.
3. 매연 관리 방법
(1) 에어클리너가 막히면 다량의 매연이 발생
되므로 매뉴얼에 따라 에어클리너 엘리먼
트를 교환해야 합니다. 단 비포장 도로등 가
혹한 조건에서 주행하는 차량은 오염상태
에 따라 주기를 단축하여 교환을 실시하여
주십시오.
(2) 밸브 간극 및 타이밍 점검 및 조정
밸브 간극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공기량의
부족을 초래하여 매연이 발생됩니다.
(3) 노즐 점검 및 수정
노즐의 변형 및 분무상태등을 점검하고 필
요시 교환을 합니다.
(4) 적재 적량 이상으로 적재하면 엔진에 무리
를 주어 매연 증가의 요인됨과 아울러 엔진
수명이 단축됩니다.
(5) 정기점검과 조정 차량의 배출가스를 위하
여 매10,000km마다 배출가스 점검 정비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6) 점검시 매연이 발견되면, 매연발생 원인부
품을 교체하고 엔진 정상상태가 확인되면,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매연 필터 장
치) 내부에 누적된 이물질(카본)을 자사 직
영서비스 또는 블루핸즈에서 수동재생하여
배출가스저감장치 문제 발생 여부를 반드
시 확인하십시오. ( D P F 점검 주기, 8만km
또는 1년)
(7) 매연필터장치(DPF) 2회 점검 시, DPF의
잔류재 청소를 실시해 주십시오.
(2년 또는 16만km. 사용 조건, 사용 엔진오
일에 따라 잔류재 청소주기는 달라질 수 있
으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잔류재 청소
를 실시해 주십시오.)
지정되지 않은 일반 엔진오일을 사용할 경
우, DPF의 잔류재 청소 주기가 짧아지게
되고 연비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상기사항을 불이행함으로써 발생되는 제재조
치 또는 기타 불이익에 대해서 제작자는 책임
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Page 215 of 232

정기점검
7-50
4. 매연 저감을 위한 운전자 숙지사항
(1) 주행하기 전에 엔진을 충분히 웜업하고 가
능한한 정속으로 운행하도록 하십시오.
(2) 과적, 과속을 피하고 부득이 과적상태에서
운전해야 할 경우 과다한 가속 페달 사용을
지양하십시오.
(3) 급가속, 급정지를 피하고 운전중 엔진의 회
전수 rpm은 녹색표시 구간의 위치로 하고
또한 적당한 변속 위치를 설정하여 운전되도
록 습관화 하십시오.
(4) 각종 부품과 오일은 반드시 규격품을 사용
하고 각 차량의 취급 설명서를 참고하여 수
시로 점검하십시오.
0배출가스 저감장치
다음 사항을 꼭 지키십시오.
• 정상적으로 판매되는 연료만 사용하십시오.
• 엔진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시동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 등 엔진 오작동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되면 차량 운행을 하지 마십시오.
• 엔진의 갑작스런 출력저하, 비정상적인 소음
유발, 엔진시동의 어려움 및 배기장치계에 이
상 소음이 발생될 때는 즉시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
하십시오.
• 연료가 없을 때가지 주행하지 마십시오.
• 저연료 수준으로 차량을 운행하지 마십시
오.연료가 떨어지면 엔진 실화가 일어나서 촉
매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엔진을 10분 이상 빠르게 공회전하거나, 정상
공회전을 20분 이상 하지 마십시오.
• 차량 주행중에 절대로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 밀어 시동 걸기, 언덕길에서 내려오며 시동걸
기를 하지 마십시오.
• 차량의 무리한 고속 주행을 하지 마십시오.
• 촉매 장치를 탈거한 상태로 운행하거나 성능
이 다된 촉매장치로 운행하지 말고 철저한 정
기 점검 및 교환을 하십시오.
• 엔진이나 배기제어 시스템의 어떤 부품도 개
조 하거나 함부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이런 주의사항이 지켜지지 않으면 촉매장
치 및 차량 손상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또
한 이로 인해 보증을 받지 못할 수도 있습
니다.
•연료 부족 경고등 점등 후 차량을 계속 주
행하면 촉매장치, 연료 장치 등에 이상이 발
생될 수 있으므로 항상 연료의 양이 충분한
지 확인 하십시오.
주 의
Page 216 of 232
정기점검
7-51
•차량을 잔디, 낙엽, 종이, 카펫트, 기름등
과 같은 가연성 물질 위에 주차 또는 정차
시키지 마십시오. 특정 조건하에서 뜨거
운 배기가스나 배기관에 의해 발화 될 수
도 있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
다.특히 수동재생시는 매연의 재생을 위
하여 고열(600℃ 이상)이 발생되오니 반
드시 실외에서 주변 인화물 여부(특히,
건초)를 확인 후, 실시 하십시오.
•엔진 작동 중 또는 시동을 끈 직후에는
배출가스 저감장치는 고온이므로 사람
의 신체가 배출가스 저감장치에 닿지 않
게 하십시오. 화상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배출가스 저감장치 주변의 방열판
을 제거하거나 언더실링이나 방청코팅
을 하지 마십시오. 특정 조건에서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탈거 및 소음 과다
발생은 정비 명령 및 고발의 대상이 되
고, 배기관의 고열, 고압으로 인한 화재
및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정상적인 배기음이 나도록 하십
시오.
경 고 0에어 클리너
에어 클리너는 수시로 점검하여 상태에 따라 교
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