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of 166
시동 및 주행
5-35
•운행중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즉시 안전
한 장소에 정차하고 조치를 취하여 주십시오.
•각부의 잡소리, 진동, 가속상태, 냄새, 조향 핸
들 조작 및 브레이크 작동상태등 이상을 느끼
면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고 이상유무를
점검하여 주십시오.
•운행중 만일 엔진의 시동이 정지된 경우는 당
황하지 말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서 감속
하여 안전한 장소로 정차한 후 점검해 주십시
오. 또 조향 핸들이 상당히 무겁게 되므로 강
한 힘으로 조작하여 주십시오.
OCYHYB5-013OCYHYB5-013
▶험로, 악천후 시의 운전
자갈길이나 진창길등은 저단 기어로 가속 페
달을 일정하게 밟고 도중에서 기어 변속이나
가속은 피해 주십시오. 요철도로에서는 속도를
낮추고 차체 아래에 충격을 입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OCYHYB5-014OCYHYB5-014
▶비의 경우는
비로 도로면이 미끄러울때에 급브레이크를 걸
면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주의 해주십시오.
비가 오기 시작할 무렵에는 제일 미끄러지기
쉬워 위험합니다. 커브를 돌면서 브레이크를
걸면 미끄러져 방향을 잃게 됩니다.
OCYHYB5-004OCYHYB5-004
Page 66 of 166
시동 및 주행
5-36
0고속도로의 운행
고속도로에서는 평범한 운전 실수도 대형사고로
연결됩니다.
•운행전 유의하여 점검을 실시해 주십시오.
특히 타이어, 냉각수, 연료, 엔진 오일, 팬 벨트
에 대해서 충분히 점검을 실시해 주십시오.
•계속적인 고속 주행은 엔진 이외에도 무리가
생깁니다. 여유를 갖고 주행 하십시오.
또 속도감이 없게 되므로 항상 속도를 확인하
십시오.
OCYHYB5-016OCYHYB5-016
▶안개의 경우는
미등 및 안개등을 점등시키고 중앙선 혹은 앞
차의 미등을 표시로 하여 저속으로 주행하여
주십시오.
OCYHYB5-015OCYHYB5-015
▶눈(빙결로)의 경우는
타이어 체인이나 스노우 타이어 등을 사용하
십시오.
※ 산악지역을 주행할 때는 도로정보에 주의
하여 빨리 체인이나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
하십시오.
속도를 낮춰 급브레이크를 밟지 않는 것도 좋
은 운전임을 명심하십시오.
OCYHYB5-012OCYHYB5-012OCYHYB5-012OCYHYB5-012OCYHYB5-012OCYHYB5-012
주 의
안개 낀 지역에서는 서행 운행하시고 안개 지
역을 벗어날 경우는 안개등을 꼭 꺼주십시오.
반대편 차량에 눈부심유발로 사고가 날 수도
있습니다.
Page 67 of 166
시동 및 주행
5-37
•급하게 조향 핸들을 조작하거나, 급브레이크는
대단히 위험하므로 절대로 피해 주십시오.
•차간 거리는 충분히 유지하십시오. 차간거리
는 적어도 운행속도와 동일한 거리만큼 유지
하십시오. 80km/h에서는 80m이상입니다.
•고속일수록 연료가 많이 소모됩니다. 속도를
줄이고 연료는 여유를 두고서 운행하십시오.
100km/h운행시의 연비는 40km/h 운행시의
약 1.5~1.7배 정도가 더 소비됩니다. 고속도
로는 80km/h정도로 운행하는 것이 경제적인
운행입니다.
OCYHYB5-017OCYHYB5-017
•고속 운행시 커브길은 충분히 속도를 낮춰 주
십시오. 고속 급선회하는 일은 대단히 위험합
니다.
•비가 올 때 고속주행하면 타이어가 노면으로
부터 뜨게되어 (하이드로 플래이닝 현상)조향
핸들이나 브레이크가 전혀 효과가 없게 되는
수가 있습니다. 꼭 속도를 떨어 뜨리고 운전
하여 주십시오.
알아두기
하이드로 플래이닝 현상(Hydro planing)
자동차가 물이 고인 노면을 고속으로 주행
할 경우 물의 저항으로 타이어가 부상하여
엷은 수막 위를 활주하는 현상입니다.
0경제적인 운전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전을 위해 다음 사항을 유
의해 주십시오.
•운행전 점검, 정기점검을 꼭 실시하십시오.
•웜업 운전을 실시하십시오.
수온계의 바늘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정도까지
웜업을 실시해 주십시오.
•가속시의 변속은 엔진을 최고 회전수까지 올
리지 말고 재빨리 실시하십시오.
OCYHYB5-018OCYHYB5-018
Page 68 of 166
시동 및 주행
5-38
•공회전, 급출발, 급가속은 삼가하십시오.
•타코미터의 초록색 범위내에서 운행하여 주
십시오.
•적당한 속도에 이르면 가속 페달을 가능한 한
일정하게 유지하십시오.
가감속의 반복은 특히 연료를 많이 소모시킵
니다. 차간거리를 충분하게 유지하여 주행하십
시오.
•올바른 타이어 공기압으로 운행하십시오.
•불필요한 물건은 싣지 마십시오.
•하이브리드 효과를 극대화 하기위해서는 급
출발 및 급가속을 삼가하십시오.
OCYHYB5-019OCYHYB5-019
최고속도 제한장치는 11인승 이상 승합차 및 차
량 총 중량이 3.5톤을 초과하는 화물자동차, 특수
자동차에 의무적으로 설치되는 장치이며, 법에서
정하는 최고속도(승합자동차: 110km/h, 화물자
동차, 특수자동차: 90km/h)이하로 제한하는 장치
입니다.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줄이고, 연비 향상 및
차량 정비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차량 속도가 제한속도에 도달하면 가속페달을
밟아도 더 이상 속도가 올라가지 않으므로 무
리하게 가속 페달을 밟지 마십시오.
최고속도 제한장치는 법규에 따른 의무 장
착 장치로서 임의로 해제하는 경우 법의 저
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 고
OPY056054OPY056054
최고속도 제한장치
Page 69 of 166

6
비상시 응급 조치
6장 목차
주행중 경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비상경고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고장이 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
엔진시동이 안걸릴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배터리 방전시 점프 스타트 요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3
전기장치 고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퓨즈박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퓨즈 박스 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퓨즈의 교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
퓨즈 박스 커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메인 퓨즈 박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6
엔진 오버히트 (과열시) ........................................................6-7
잭의 설치 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8
타이어 펑크시의 조치 ...........................................................6-9
O.V.M 공구 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9
잭 사용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0
잭 에어빼기 작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2
타이어의 교환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3
휠 너트의 재조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5
스페어 타이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6
견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7
견인 트럭으로 견인시 .....................................................6-17
견인차가 아닌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시 ............................6-17
와이어 각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9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6-20
고장이 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0
노상에서 주행중 고장이 난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0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 .............................6-21
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1
주행중 시동이 꺼진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2
사고 및 차량 화재시 응급조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2
비상용 망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23
폭설시 행동요령 ................................................................6-24
Page 70 of 166
비상시 응급 조치
6-2
주행중 경고고장이 나면
0비상경고등
고장이나 펑크 등 긴급시 노상 주차할때 다른차
에 알려주기 위해 사용합니다.
레버를 위로 당겨 올리면 방향지시등이 모두 점
멸됩니다. 다시 레버를 위로 당겨 올리면 소등됩
니다.
만일 차량이 고장이 난 경우는 당황하지 말고 뒷
차에 주의하면서 서서히 속도를 줄이고 다른 차
에 교통의 방해가 안되고 시계가 양호한 안전한
장소에 차를 세웁니다.
•비상 경고등을 점멸시킵니다.
•고장 표시판을 세워 놓습니다.
•고속도로 경우 100m 후방에, 일반도로 경우
70m이상 후방에 고장 표시판을 세워 놓습니다.
•흰 천 등을 눈에 띄는 곳에 달아 둡니다.
※ 고장 표시가 없으면 뒷 차에 추돌될 수가 있습
니다. 차를 세운뒤 꼭 고임목으로 고정시켜 주
십시오.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도 있습니다.
자신이 수리가능 할 때는 다른 차의 통행에 주의
하여 작업해 주십시오.
수리가 불가능할 때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및
블루핸즈에 연락하여 주십시오.
OPY047048OPY047048OCYHYB2-006OCYHYB2-006
고속도로 100m고속도로 100m일반도로 70m일반도로 70m
주 의
•엔진이 회전하고 있지 않을때 장시간 사용
하면 배터리 방전을 일으켜 엔진의 시동을
걸 수 없습니다.
•비상시 이외 사용은 삼가 하십시오. 다른차
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고속도로 위 또는 터널안에서 정차 또는 수
리는 대단히 위험합니다.
경 고
Page 71 of 166
비상시 응급 조치
6-3
0엔진시동이 안걸릴 경우
▶시동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때
배터리의 방전 상태, 배터리 단자의 연결 상태
를 점검하십시오.
▶시동 모터는 회전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을때
연료량을 점검 하십시오.
OPY067001OPY067001
0배터리 방전시 점프 스타트 요령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는 타차량의 배터리나 보
조 배터리를 점프 케이블로 연결하여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점프 스타트는 잘못하면 대단히 위험하므로 되도
록 전문가에게 의뢰 하시기 바랍니다.
1. 보조배터리가 24V인지 확인하십시오.
2. 방전된 차량의 모든 전기장치를 끄십시오.
3. 방전 배터리의 양극(+)①과 보조 배터리의 양
극(+)②을 점프 케이블로 연결 하십시오.
4. 보조 배터리의 음극(-)③과 방전된 차량의 차
체④에 점프케이블을 연결 하십시오.
배터리의 단자에 절대 연결하지 마십시오.
5. 타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할 경우는 타 차량의
시동을 먼저 걸어 몇 분 기다리십시오.
6.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거십시오.
7. 엔진 시동이 되면 음극(-)에 연결된 점프 케이
블을 먼저 분리한 다음, 양극(+)끼리 연결된 점
프 케이블을 분리 하십시오.방전된 차량방전된 차량
보조배터리보조배터리
주 의
계속해서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는 긴급 출동
지원센터로 연락하여 응급조치를 받으십시오.
(책자 뒷부분의 보증수리 안내편을 참조하십
시오.)
•점프 스타트 중에 점프 케이블의 양극(+)
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십시오.
서로 닿을 경우, 불꽃이 튀어 위험합니다.
•배터리가 작동되는 동안에는 불꽃에 의
해 폭발할 수 있는 가스가 발생되므로 배
터리로부터 불꽃을 멀리 하십시오.
경 고
Page 72 of 166
비상시 응급 조치
6-4
0퓨즈박스
각종의 램프가 점등되지 않는 경우나 전기계통의
장치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는 퓨즈가 단선된 경
우가 있습니다. 퓨즈 박스의 위치, 퓨즈에 대한 각
각의 장치를 스스로 조치할 수 있도록 알아 놓으
면 편리합니다.
전기장치 고장
•방전된 배터리가 얼었거나 배터리액의
양이 적으면 점프 스타트 시 배터리의 파
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보조 배터리와 방전된 배터리를 점프 케
이블로 연결할 때는 방전된 배터리의 음
극(-) 단자를 직접 연결하지 마시고 배터
리로부터 멀리 떨어진 견고한 금속에 접
지 시키십시오. 직접 연결시 폭발의 위험
이 있습니다.
•배터리에는 부식력이 강한 묽은 황산액
이 있으므로 배터리액이 신체나 옷, 차체
에 묻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오.
경 고
•만약 배터리액이 눈이나 신체에 묻었으
면 즉시 오염된 옷을 벗고 그 부위를 깨
끗한 물로 약 15분 정도 씻어낸 후 전문
의사의 진단을 받으십시오. 구급차에 실
려갈 경우 부드러운 천이나 스폰지에 물
을 묻혀 계속 그 부위를 닦아내십시오.
• 만약 보조 배터리는 반드시 24V로 하십
시오. 전압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배터
리 파열 및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주 의
•퓨즈, 메인퓨즈는 꼭 순정부품을 사용하십
시오.
•퓨즈 단선의 원인을 모를 때 또는 어느 것
이라도 단선된 경우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
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아 주십시
오.
• 부착되어 있는 퓨즈와 동일 용량의 퓨즈를
사용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