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5 of 166
정기 점검
7-53
0웨스터 게이트 조절밸브
웨스터 게이트 조절밸브는 터보차져로 가해지는
공기압을 제어하여 저속, 고속에서 최적의 터보
차져 성능을 낼 수 있도록 합니다.
0부스터 모니터 센서
터보차저로 가해지는 공기압을 실제로 측정하여
웨이스트 게이트 조절밸브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합니다.
OCY073020OCY073020
웨이스트게이트웨이스트게이트
조절밸브조절밸브
부스트 모니터 센서부스트 모니터 센서
▶후단 산소 센서
촉매 후단에 장착되어 촉매 전단 산소 센서와
산소농도를 비교 하여 촉매를 모니터링 합니다.
주 의
산소 센서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는 절
대로 운행하지 마십시오. 엔진 부조 및 엔진 출
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주 의
가속도 센서 커넥터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로는
절대로 운행하지 마십시오. 엔진 부조 및 엔진
출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0가속도 센서
요철 도로와 같은 비포장 도로에서 차량의 상하
진동을 감지하여 컴퓨터(ECU)에 신호를 전달하
여 엔진의 연료의 실화 오감지를 방지합니다.
Page 146 of 166
정기 점검
7-54
0블로바이 시스템
연소시 발생되는 블로바이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
하지 않고 분리하여 블로바이가스 내 오일은 오일
팬으로 드레인되고 블로바이가스는 흡기측으로 재
유입 됩니다.
OCY073022OCY073022
0전자식 엔진 제어 장치
C6GB엔진은 엔진 본체에 엔진 제어장치가 있습
니다.
OCY073024OCY073024
블로바이 시스템블로바이 시스템
Page 147 of 166
정기 점검
7-55
각종 램프의 위치
※ 전구교환시 맨손으로 반사경 또는 전구를 만지지 마십시오. 장갑이나 패키징을 사용하십시오.
손에 묻은 그리스, 오일 등의 불순물이 전구에서 발생되는 열에의해 증발되어 반사경 기능을 손상 시킬수 있습니다.
특히, 발열량이 많은 헤드램프 전구 취급시 주의하십시오.
1. 방향 지시등
2. 안개등
3. 헤드램프
4. 측면 방향 지시등
5. 정지등, 미등
6. 후진등
7. 방향 지시등
8. 번호판등
9. 휠 램프
10. 차폭등
OCYHYB40OCYHYB40
0초저상
Page 148 of 166
정기 점검
7-56
※ 전구교환시 맨손으로 반사경 또는 전구를 만지지 마십시오. 장갑이나 패키징을 사용하십시오.
손에 묻은 그리스, 오일 등의 불순물이 전구에서 발생되는 열에의해 증발되어 반사경 기능을 손상 시킬수 있습니다.
특히, 발열량이 많은 헤드램프 전구 취급시 주의하십시오.
1. 방향 지시등
2. 안개등
3. 헤드램프
4. 측면 방향 지시등
5. 정지등, 미등
6. 후진등
7. 방향 지시등
8. 번호판등
9. 휠 램프
10. 차폭등
OCY076003OCY076003
0표준버스
Page 149 of 166
정기 점검
7-57
주 의
전구는 비규격품 사용시 화재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규격품 전구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주 의
• 헤드라이트 전구는 비규격품을 사용시 화
재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규격품 전구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 헤드라이트 안개등 등의 램프는 우천시 주
행과 세차등의 조건하에서 흐려질 수 있습
니다. 이것은 램프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따른 것으로 우천시 창 유리가 흐려지는 것
과 동일현상입니다. 따라서 기능상의 문제
는 없으나, 단 렌즈 내면에 큰 물이 들어간
경우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및 블루핸즈
에 문의해 주십시오.
램 프 종 류수량용량(W)
헤드램프안쪽 2 75
바깥쪽 2 70
방향지시등 2 21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방향지시등 2 21
정지등, 미등 2 21/5
후진등 2 21
안개등 2 70
측면방향지시등 2 21
사이드 마크 램프 8 5
차폭등 4 21
번호판등 4 5
출입구등앞도어 1 21
중간 도어 1 21
램 프 종 류수량용량(W)
실내등
승
객
석
운전석 1 21
자가용,직좌 4
20표준저장 6
시내저상(고급화버스)9
휠램프 2 21
화물칸 3 5
행선지등프론트 2 20
리어 3 12
계기판 조명등 3 6
Page 150 of 166
정기 점검
7-58
배출가스 규제(CNG)
0유해 배출가스 관리
▶유해 배출가스
엔진 내부에서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
생되는 배출가스 중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
치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매
연 등은 법적 규제치를 두어 관리, 규제하고
있습니다. 허용기준 초과시는 개선 명령 및
과태료 부과 등 법적 제재를 받게 되오니 올
바른 정기 점검 및 정비 내용을 준수하여 차
량 관리 하십시오.
●수시점검 및 정기검사의 배출 허용 기준
▶유해 배출가스 예방을 위한 관리사항
연소실내의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각종
불완전한 요인에 의해 완전 연소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됩니다. 유해 배출가스는 차량의
정비상태, 특히 엔진 상태의 양호 여부에 직접
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차량의 생산 또는 검사
과정에서 완전하게 조정되었다 하더라도 운
행함에 따라 엔진의 상태가 변화되어 유해가
스 배출량이 증가됩니다.
이의 예방을 위해 필수적으로 이행되어야 할 사
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사에서 실시 요망하는 차량 점검사항을 철
저히 이행하십시오.
•정기 점검이나 고장진단 수리시에는 자사 직
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정비
를 받으십시오.
•엔진 점검 정비시 또는 배출가스 측정시 약5
분정도 엔진 시동을 걸어 엔진이 정상가동 온
도(85~95℃)로 가열된 상태에서 점검 및 측
정하십시오.
• 외기가 높을때 가능한 한 장시간의 저속 엔진
가동을 삼가하여 주시고 배출 가스 측정이나
점검시에는 여러번 가속한 후 시행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 차량이 완전한 상태로 점검 및 정비 되었어도
매 10,000km 주행시마다 정기적인 점검 정
비를 받으십시오.
항 목기 준비고
일산화탄소 2.5% 이하
무부하 검사탄화수소 400ppm 이하
공기과잉률 1± 0.1 이내
Page 151 of 166

정기 점검
7-59
스파크
플러그
규격
간극 이리듐타입 0.4mm
SILZKAR8D4D
0 배출가스 제어장치의 관리 및 정비
▶스파크 플러그
스파크 플러그가 불량하면 유해 배출 가스량
이 증가하고 엔진 부조 현상이 발생합니다.
0에어 클리너
에어 클리너는 수시로 점검하여야 하며 상태에
따라 교환하십시오.
▶배출가스 제어 관련 항목
0촉매 변환 장치
다음 사항을 꼭 지키십시오.
•정상적으로 판매되는 연료만 사용하십시오.
•엔진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시동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 등 엔진 오작동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되면 차량 운행을 하지 마십시오.
•엔진의 갑작스런 출력저하, 비정상적인 소음
유발, 엔진시동의 어려움 및 배기장치계에 이
상 소음이 발생될 때는 즉시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
하십시오.
•연료가 없을 때가지 주행하지 마십시오.
•저연료 수준으로 차량을 운행하지 마십시오.
연료가 떨어지면 엔진 실화가 일어나서 촉매
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엔진을 10분 이상 빠르게 공회전하거나, 정상
공회전을 20분 이상 하지 마십시오.
•차량 주행중에 절대로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밀어 시동 걸기, 언덕길에서 내려오며 시동걸
기를 하지 마십시오.
•차량의 무리한 고속 주행을 하지 마십시오.
•촉매 장치를 탈거한 상태로 운행하거나 성능
이 다된 촉매장치로 운행하지 말고 철저한 정
기 점검 및 교환을 하십시오.
•엔진이나 배기제어 시스템의 어떤 부품도 개
조 하거나 함부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이런 주의사항이 지켜지지 않으면 촉매장
치 및 차량 손상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 또
한 이로 인해 보증을 받지 못할 수도 있습
니다.
•연료 부족 경고등 점등 후 차량을 계속 주
행하면 촉매장치, 연료 장치 등에 이상이 발
생될 수 있으므로 항상 연료의 양이 충분한
지 확인 하십시오.
주 의
스파크 플러그 매 5만 km 마다 교환
산소센서10만km 점검 및 20만km 마다
교환
컴퓨터 진단기 엔진 경고등 점등 시 테스트
Page 152 of 166
정기 점검
7-7-60
•차량을 잔디, 낙엽, 종이, 카펫트, 기름등
과 같은 가연성 물질 위에 주차 또는 정차
시키지 마십시오. 특정 조건하에서 뜨거
운 배기가스나 배기관에 의해 발화 될 수
도 있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엔진 작동 중 또는 시동을 끈 직후에는
촉매장치나 그 밖의 배기장치는 고온이
므로 사람의 신체가 촉매/배기장치에 닿
지 않게 하십시오. 화상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배기장치 주변의 방열판을 제거하
거나 언더실링이나 방청코팅을 하지 마
십시오. 특정 조건에서 화재의 위험이 있
습니다.
•머플러(촉매변환장치 포함)의 탈거 및
소음 과다발생은 정비 명령 및 고발의 대
상이 되고, 배기관의 고열, 고압으로 인
한 화재 및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정상적인 배기음이 나도록 하십
시오.
경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