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7 of 240

정기 점검
7-83
유해 배출가스는 차량의 정비상태, 특히 엔진 상
태의 양호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차
량의 생산 또는 검사과정에서 완전하게 조정되었
다 하더라도 운행정도에 따라 엔진의 상태가 변
화되어 유해 가스 배출량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행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사에서 안내하는 차량 점검 사항을 철저히
이행하십시오.
•배출가스 제어장치와 관련된 점검정비는 반
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서 실시하고 절대로 임의 조정하지 마십시오.
•연료가 전혀 없을 때까지 주행하지 마십시오.
•엔진 점검 정비시 또는 배출가스 측정시 약
15분정도 엔진 시동을 걸어 엔진이 정상가동
온도(80~95℃)로 가열된 상태에서 점검 및
측정하십시오.
•밀어 시동걸기, 언덕길에서 내려오며 시동걸
기를 하지 마십시오.
•외기가 높을때 가능한 장시간의 저속 엔진 가
동을 삼가십시오.
배출가스 제어장치의 관리 및 정비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차량관리
배출가스 제어 관련 부품중에서 특히 다음의 항
목들은 반드시 정기 점검 주기표에 따라 점검 및
교체을 하십시오.
0점화 플러그
점화플러그가 불량하면 불완전연소로 인한 엔진
부조, 유해 배출가스 증가 등이 생기므로 정기 점
검 주기표에 따라 점검 또는 교체하십시오.
점화플러그는 반드시 지정된 형식을 사용하십
시오. 다른 형식의 점화플러그를 사용할 경우,
차량의 성능저하 및 고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주 의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점화플러그를 점
검 및 분리, 장착할 때는 엔진이 충분히 식은
다음 진행하십시오.
경 고
▶자동차의 종류 (운행차 기준)
- 운행차배출허용기준의 차종 구분은 자동차관리법 제3조 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조에 따름
1. 경자동차 : 배기량 1000cc 미만의 길이 3.6m, 너비 1.6m, 높이 2.0m 이하인 자동차 2. 승용자동차 : 10인 이하를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 3. 승합자동차 : 11인 이상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 4. 화물자동차 : 화물을 운송하기 적합하게 제작된자동차 5. 특수자동차 : 견인, 구난 등 특수한 작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자동차로 승용·승합·화물자동차가 아닌 자동차
※ 승합ㆍ화물ㆍ특수자동차의 소형은 다음과 같으며 그 외
는 중형 또는 대형으로 분류됨
승합자동차(소형) : 승차정원이 15인 이하인 것으로, 길이
4.7m, 너비 1.7m, 높이 2.0m 이하
화물자동차(소형) : 최대적재량이 1톤이하인 것으로, 총중
량이 3.5톤 이하
특수자동차(소형) : 총중량이 3.5톤 이하
※ 비고 : 엔진후드 안쪽에 부착된 배출가스표지판의 차종 구
분은 제작차 기준으로 차량에 따라 운행차 기준과 상
이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에 문의하십
시오.
Page 218 of 240

정기 점검
7-84
•차량을 잔디, 낙엽, 종이, 카펫, 기름등과
같은 가연성 물질 위에 주차 또는 정차시
키지 마십시오. 특정 조건하에서 뜨거운
배기가스나 배기관에 의해 발화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엔진 작동 중 또는 시동을 끈 직후에는
촉매장치나 그 밖의 배기장치는 고온이
므로 사람의 신체가 촉매/배기장치에 닿
지 않게 하십시오. 화상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배기장치 주변의 방열판을 제거하
거나 언더실링이나 방청코팅을 하지 마
십시오. 특정 조건에서 화재의 위험이 있
습니다.
•머플러(촉매변환장치 포함)의 탈거 및
소음 과다발생은 정비 명령 및 고발의 대
상이 되고, 배기관의 고열, 고압으로 인
한 화재 및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정상적인 배기음이 나도록 하십
시오.
경 고 •엔진을 10분 이상 빠르게 공회전하거나, 정상
공회전을 20분 이상 하지 마십시오.
• 차량 주행중에 절대로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 밀어 시동 걸기, 언덕길에서 내려오며 시동걸
기를 하지 마십시오.
•차량의 무리한 고속 주행을 하지 마십시오.
• 촉매 장치를 탈거한 상태로 운행하거나 성능
이 다된 촉매장치로 운행하지 말고 철저한 정
기 점검 및 교체을 하십시오.
• 엔진이나 배기제어 시스템의 어떤 부품도 개
조 하거나 함부로 변경하지 마십시오.
이런 주의사항이 지켜지지 않으면 촉매장치
및 차량 손상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로 인해 보
증을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주 의
0에어클리너
필터는 수시로 점검하여 청소하고 상태에 따라
교체하십시오.
0촉매 변환 장치
다음 사항을 꼭 지키십시오.
•정상적으로 판매되는 연료만 사용하십시오.
•엔진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시동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 등 엔진 오작동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되면 차량 운행을 하지 마십시오.
• 엔진의 갑작스런 출력저하, 비정상적인 소음
유발, 엔진시동의 어려움 및 배기장치계에 이
상 소음이 발생될 때는 즉시 자사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
하십시오.
• 연료가 없을 때까지 주행하지 마십시오.
•연료가 부족한 상태로 차량을 운행하지 마십
시오. 연료가 부족할 경우 연료의 불완전 연
소로 인하여 촉매장치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Page 219 of 240

정기 점검
7-85
0매연관리(디젤 엔진)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주요한 공해 요소는 흑색
연기(매연)으로서 매연 농도가 규정을 초과할 경
우 법적인 제재조치를 받도록 되어있습니다.
매연농도 측정은 임의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규정된 방법 즉, 무부하 급가속 3모드 매연측정방
법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규정된 3모드 매연측정 방법으로 매연을 측정하
지 않을 경우, 배기관 내에 누적된 탄매(Carbon)
가 측정되어 매연 과다로 적발될 수 있으니 올바
른 매연 측정 방법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무부하 급가속 3모드 매연 측정방법
엔진이 완전히 정상 온도를 도달한 후 매연 측
정기를 설치하여 그림과 같은 방법에 의해 매
연을 측정합니다.
1. 차량을 평지에 정차시키고, 변속기를 중립
에 위치한 후, 모든 전기장치 및 에어컨을
끕니다.
2. 매연 측정전 배기계에 쌓인 매연을 제거
하기 위해 불어내기를 3회 실시합니다.(불
어내기 방법은 공회전 상태에서 최고 회
전속도까지 2초 내 도달한 후 2초간 유지
합니다. 다시 공회전 상태로 5~6초간 유지
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불어내기를 총3회
실시하십시오.)
JFS1045JFS1045
최고최적속도최고최적속도
공기퍼지공기퍼지
급가속 3회급가속 3회측정전 공전측정전 공전매연채취매연채취
가속페달을가속페달을단번에 깊이 밟는다.단번에 깊이 밟는다.
매연채취매연채취매연채취매연채취
측정끝측정끝
5~6초5~6초15초15초
측정1회째측정1회째측정2회째측정2회째측정3회째측정3회째
15초15초15초15초
공기퍼지공기퍼지공기퍼지공기퍼지
여과지 설치여과지 설치여과지교체여과지교체여과지교체여과지교체기기관관회회전전속속도도
지속한다지속한다지속한다지속한다지속한다지속한다
▶운행중인 상태의 자동차 매연 측정
운행중인 차량의 매연은 도로 여건에 따라 비
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측정하기도 하며, 매
연도 2도라 함은 매연이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고 매연이 배기관 주위를 흐
리게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불어내기를 실시한 후 매연측정을 3회 실시
합니다.
4. 최고 회전속도까지 급가속하여 첫번째 매
연을 측정합니다.
Page 220 of 240
정기 점검
7-86
▶매연 관리 방법
매연의 발생은 에어클리너, 연료필터, 분사노
즐, 엔진의 조정상태, 적재량 등과 밀접한 관계
가 있습니다.
1. 에어클리너 필터의 청소 및 교체
에어클리너가 막히면 다량의 매연이 발생
되므로 에어클리너 필터를 수시로 청소 및
교체하십시오.
단, 비포장 도로등 가혹한 조건에서 주행하
는 차량은 오염상태에 따라 주기를 단축하
여 청소 및 교체를 실시하십시오.
2. 과적재 금지
적재 중량 이상으로 적재하면 엔진에 무리
를 주어 매연 증가의 요인이 되며 또한 수
명이 단축됩니다.
▶매연 농도의 산출방법
3회 측정한 매연 농도의 평균값으로 측정치를
정합니다. 이때 3회 측정한 측정치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이가 5%를 초과한 때에는 2회를
다시 측정하여 총 5회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
외한 나머지 값의 평균값을 그차의 매연 농도
로 합니다.
3. 머플러(소음기)의 청소
머플러 내의 누적된 탄매를 수시로 청소하
여 제거 하십시오.
소음기는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
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고 배기소음을
줄여주기 위한 장치입니다. 만약 정상적
인 배기음이 아닌 소음이 날 경우에는 소
음장치 고정볼트의 느슨함 여부, 소음장
치에 구멍이 생기지 않았나 확인하신 후
이상 발생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교체하십시오.
4. 정기 점검
배출가스를 위하여 매 10,000km 마다 배출
가스 점검을 받으십시오.
소음 과다발생 및 소음기 탈거행위는 소음 허
용 기준을 초과할 뿐만 아니라 정비명령 및
고발의 대상이 되고 배기관의 고열, 고압으로
인한 화재 및 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
시 정상적인 배기음이 나도록 하십시오.
경 고
Page 221 of 240

정기 점검
7-87
※ 상기 사항을 불이행 함으로서 발생되는 제재
조치 또는 기타 불이익에 대해서 제작사는 책
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0디젤 매연 필터 장치
디젤 매연 필터는 배기가스 중 매연을 제거하는
장치입니다.
매연 필터 장치는 소모품인 공기필터와는 다르
게, 차량의 주행 중에 자동으로 재생 과정이 발생
되어 퇴적된 매연이 제거됩니다.
그러나, 단거리 반복 주행 또는 장기간 저속 운행
시 배기가스 온도가 낮아 매연이 자동으로 제거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일정량 이상 매연이 퇴적되
면 엔진경고등()이 점멸됩니다. 이 경우 재생
과정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안전이 허락되는 운
행조건에서 60km/h 이상 또는 변속기를 2단 이
상으로 하여 1500~2500rpm으로 약 25분 이상
주행하면 매연 필터 장치 재생이 완료되어 점멸
이 해제됩니다.
상기와 같은 주행 이후에도 점멸이 해제되지 않
고 메시지창에 "배출가스 장치를 점검하십시오"
라고 나타날 경우 가능한 빨리 가까운 직영 서비
스센터 또는 블루핸즈를 방문하여 매연 필터 장
치 점검을 받으십시오. 점멸 상태에서 지속 운행
시 매연 필터의 손상 및 연료소비에 악영향을 미
칠 수 있습니다.
0디젤 질소산화물 저감 장치
디젤 질소산화물 저감장치는 배기가스중 질소산
화물을 제거 하는 장치입니다. 연료 품질에 따라
배기가스에서 냄새가 발생 할 수 있으며 질소산
화물 저감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정규 규격
의 연료를 사용 하십시오.
주 의
•배출가스 관련 점검 및 조정은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의뢰하십시
오. 그 외는 고객 여러분의 준수사항이므로
취급설명서를 참조하여 정기 점검을 꼭 받
으십시오.
부품과 오일 교체시는 자사 순정부품을 사
용하십시오.
•출력을 높이기 위해 분사량을 기준치 이상
으로 증가시키면 매연이 증가되고 엔진고
장을 일으킵니다. 또한 연료펌프의 봉인을
뜯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니 임의로 조정하
지 말고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
즈에서 점검 정비하십시오.
Page 222 of 240

8
차량 제원 ..........................................................................................8-2
타이어 및 휠 .....................................................................................8-2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8-3
전구의 용량 ......................................................................................8-3
추천오일 및 용량 ............................................................................8-4
온도에 따른 엔진 오일 SAE 점도 분류표 ................................ 8-5
차대번호(VIN) .................................................................................8-6
자기 인증 라벨.................................................................................8-6
엔진번호 ...........................................................................................8-6
가솔린/LPI 엔진 ............................................................................... 8-7
디젤엔진 ............................................................................................. 8-7
차량 정보
8장 목차
Page 223 of 240
차량 정보
8-2
차량 제원 타이어 및 휠
구분 형 식휠
추천공기압 kPa(psi)휠 너트 체결토크
kgf·m앞뒤
장착 타이어,예비 타이어
225/55 R17 7.0J×17 220(32) 220(32)
11~13245/45 R18 7.5J×18 220(32) 220(32)
245/40 R19 8.0J×19 220(32) 220(32)
※ 예비 타이어는 장착 타이어와 동일한 타이어를 제공합니다.
※ 타이어 임시 수리장치(TMK)적용 차량은 예비 타이어가 별도 지급 되지
않습니다.
항 목치 수 (단위:mm)
전 장4920
전 폭1860
전 고1470/1480*1
윤 거
전1613*2/1606*3
후1614*2/1607*3
축 거2845
*1. 택시 차량
*2. 225/55 R17 타이어 장착 차량
*3. 245/45 R18 타이어 장착 차량
Page 224 of 240
차량 정보
8-3
전구의 용량
*1. H I D 타입일 경우*2. L E D ( L i g h t - e m i t t i n g d i o d e ) : 발광소자
종 류규 격 용량(W)
차량
앞면
전조등(상향)H755
전조등(하향)H7 또는 D1S*155또는 35*1
차폭등LED*2LED*2
방향지시등HY21W21
안개등타입A9006 51
타입BLED*2LED*2
방향지시등(옆)LED*2LED*2
차량
뒷면
미등(안쪽/바깥쪽) LED*2LED*2
후진등W16W16
방향지시등PY27W27
번호등W5W5
보조제동등LED*2LED*2
제동등(안쪽)LED*2LED*2
제동등(바깥쪽)LED*2LED*2
실내
맵램프LED*2LED*2
룸램프LED*2LED*2
화물칸 램프FESTOON5
선바이저 램프FESTOON5
글로브박스 램프FESTOON5
도어 커티시 램프FESTOON5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타이어 제조사 사이즈
타이어 에너지 소비효율등급
회전저항
(RRC)
젖은 노면 제동력
(G)
금호(Kumho)245/45R18 4 3
225/55R17 3 2
한국(Hankook)245/45R18 3 3
245/40R19 4 3
넥센(Nexen)225/55R17 3 3
미쉐린(Michelin)245/40R19 4 4
※ 회전저항 (RRC) : 타이어에 걸리는 하중에 대한 회전저항의 비
- 1 ~5등급까지 있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소비 효율이 높아집니다.
※ 젖은 노면 제동력 (G) : 기준 타이어 대비 시험대상 타이어의 젖은 노면 제
동성능 비율
- 1 ~ 5등급까지 있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력이 좋습니다.
※ 타이어 사이즈가 동일하더라도 효율등급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정보가 사전통보없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홈페이지를 참고하십
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