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 of 240
안 내1┃ 실내/엔진룸 각종 장치 및 경고/표시등 안내
목 차
안전 주의 사항┃ 안전 운행을 위한 운행방법 및 주의사항
안전 장치┃ 안전 장치의 사용방법 및 주의 사항
편의 장치┃ 실내, 외부 각종 장치의 사용 방법 및 주의 사항
시동 및 주행┃ 차량 운행과 관련된 시동 및 정지 방법, 변속기, 브레이크 등의 사용 요령
비상시 응급조치┃ 차량 고장시 응급조치 방법
정기 점검┃ 일상 점검/정기 점검 등의 항목과 각종 오일류의 점검 방법 등 차량 관리 요령
차량 정보┃ 차량 제원, 차량에 부착된 각종 라벨 및 고유번호
색 인┃ 찾아보기
서비스 이용안내┃ 보증서, 각종 서비스제도 및 서비스 네트워크 안내
2
3
4
5
6
7
8
색인
Page 9 of 240
안내
1-6
1. 냉각수 점검 …………………………………… 7-40
2. 라디에이터 캡 ………………………………… 7-40
3. 브레이크 액 점검 …………………………… 7-42
4. 에어클리너 점검 ……………………………… 7-47
5. 엔진 오일 점검 ……………………………… 7-37
6. 엔진 오일 주입구 …………………………… 7-37
7. 와셔액 점검 …………………………………… 7-44
8. 퓨즈의 교체 …………………………………… 7-61
9. ( - )배터리 점검…………………………………7-52
10. ( + )배터리 점검………………………………7-52
※ 추천오일 및 용량 …………………………… 8-4
(각종 오일류의 용량 및 추천사양)OHG076059OHG076059
엔진룸
※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02.4 가솔린 엔진
Page 10 of 240
안내
1-7
1. 냉각수 점검 …………………………………… 7-40
2. 라디에이터 캡 ………………………………… 7-40
3. 브레이크 액 점검 …………………………… 7-42
4. 에어클리너 점검 ……………………………… 7-47
5. 엔진 오일 점검 ……………………………… 7-37
6. 엔진 오일 주입구 …………………………… 7-37
7. 와셔액 점검 …………………………………… 7-44
8. 퓨즈의 교체 …………………………………… 7-61
9. 배터리 점검 …………………………………… 7-52
※ 추천오일 및 용량 …………………………… 8-4
(각종 오일류의 용량 및 추천사양)
OHG011004AOHG011004A
※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03.0 가솔린 엔진
Page 11 of 240
안내
1-8
1. 냉각수 점검 …………………………………… 7-40
2. 라디에이터 캡 ………………………………… 7-40
3. 브레이크 액 점검 …………………………… 7-42
4. 에어클리너 점검 ……………………………… 7-47
5. 엔진 오일 점검 ……………………………… 7-37
6. 엔진 오일 주입구 …………………………… 7-37
7. 와셔액 점검 …………………………………… 7-44
8. 퓨즈의 교체 …………………………………… 7-61
9. 배터리 점검 …………………………………… 7-52
※ 추천오일 및 용량 …………………………… 8-4
(각종 오일류의 용량 및 추천사양)
OHG015004OHG015004
※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다를 수 있습니다.
03.0 LPI 엔진
Page 12 of 240
안내
1-9
1. 냉각수 점검 ………………………………… 7-40
2. 퓨즈의 교체 ………………………………… 7-61
3. 연료필터(디젤차량) ……………………… 7-46
4. 엔진 오일 점검 …………………………… 7-37
5. 엔진 오일 주입구 ………………………… 7-37
6. 브레이크 액 점검 ………………………… 7-42
7. 에어클리너 점검 …………………………… 7-47
8. 배터리 점검 ………………………………… 7-44
9. 라디에이터 캡 ……………………………… 7-61
10. 와셔액 점검 ………………………………… 7-52
※ 추천오일 및 용량 ………………………… 8-4
(각종 오일류의 용량 및 추천사양)
※ 본 도안은 실제 차량과 형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OHG015008OHG015008
02.2 디젤 엔진
Page 96 of 240
시동 및 주행
5-84
0악천우 시의 주행
•비나 눈이 내릴 때는 특히 차가 미끄러지기 쉬
우므로 급브레이크 조작을 하지 마십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젖을 정도로 물이 깊은 곳은
피해서 주행하십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젖으
면 제동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고인 곳
을 주행하거나 세차한 후에는 반드시 브레이
크 성능을 점검하십시오. 물기 있는 도로를 주
행한 후에는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천
천히 운행하는 동안 여러 번에 걸쳐 브레이크
를 밟아 건조시키십시오.
•안개가 끼었거나 그 밖의 기상 상태로 인하여
시계가 나쁠 때는 차의 조명을 켜고 속도를 충
분히 낮추어 운행 하십시오.
•폭우가 내릴 때는 시야를 확보하기가 더 어려
워 제동 거리가 더 많이 필요하므로 천천히 운
행하십시오.
•와이퍼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관리하십시오.
와이퍼에 줄무늬가 생기거나 유리창이 잘 닦이
지 않으면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십시오.
•타이어의 상태가 좋지 않은데 젖은 길이나 빗
길에서 급정차하면 타이어가 미끄러져 사고
가 날 수 있습니다. 타이어 상태를 항상 양호
하게 관리하십시오.
0고속도로 주행
•운행전 점검을 하십시오.
특히 연료, 냉각수, 엔진오일, 벨트류, 타이어
공기압 등을 점검하십시오.
•안전벨트는 반드시 착용하십시오.
•고속도로 진입 시는 방향지시등을 켜고 가속
차선에서 충분히 가속한 후 본선 차량의 속도
에 맞춰 진입하십시오.
7JBB33037JBB3303OMG015008OMG015008
Page 98 of 240
시동 및 주행
5-86
0여름철 운행
•여름철에는 특히 엔진상태를 항상 점검하십시오.
•냉각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라디
에이터에 흙, 먼지, 벌레 등 오물이 끼지 않도
록 점검하십시오.
라디에이터가 불결하면 냉각효과가 떨어져 엔
진 과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추운 날씨에는 여름과 달리 주의가 더욱 필요
합니다. 다음사항을 운행전 점검시에 추가로
점검하십시오.
1. 차의 밑부분 둘레에 있는 얼음 덩어리를 부
품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제거
하십시오.
2. 엔진을 시동하고 각종 페달이 평상시처럼
움직이는지 확인하십시오.
3. 앞·뒤 유리의 얼음이나 눈은 제거하십시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에 얼어붙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십시오.
OBH058040OBH058040
•타이어 체인, 창문닦이, 유리창 성에 제거기,
모래나 소금부대, 경고판 그리고 야삽과 점프
케이블 등의 비상장비를 갖고 다니십시오.
•부동액 및 와셔액의 농도를 점검하십시오.
•엔진 시동 후에는 적당한 워밍업을 한 후 운행
하십시오. 추운 날씨에 엔진이 냉각된 채로 운
행하면 엔진에 큰 무리가 갑니다.
•배터리와 케이블 상태를 점검하십시오. 날씨
가 추우면 배터리 용량이 저하되어 엔진 시동
이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 점도 수준을 점검하십시오.
겨울철 운행
Page 103 of 240

시동 및 주행
5-91
0터보차저 장착 차량 점검 사항
•터보차저는 비교적 간단한 기구이나 정밀한
부품입니다. 윤활유 공급, 엔진 오일 점검 등
일반 엔진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먼저 점검
하십시오.
윤활유 공급 부족, 이물질의 유입, 엔진 오일이
오염되면 압축기 날개의 손상을 초래하여 터
보차저의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엔진 오일은 지정된 것만을 사용하고 지정된
교환주기에 맞춰 반드시 교환 하십시오.
•점검을 위하여 에어클리너 필터를 장착하지
않고 고속 회전시키는 것을 삼가십시오.
•터보차저 엔진은 일반 엔진에 비해 많은 양의
열이 발생되므로 갑작스럽게 엔진 시동을 끄
면 엔진이 과열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하십
시오.
또한, 초고속으로 회전하여 고열을 발생하게
되고 이때 그 윤활과 냉각시 엔진 오일을 이용
하게 되므로 정해진 주기에 교환하지 못할 경
우에는 터보차저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의
고착 및 이상음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반드시
교환주기에 따라 엔진 오일을 교환하십시오.
•터보차저는 정상 작동시 분당 5만 ~20만회 이
상으로 회전하므로 터보차저의 베어링 부위
가 매우 고온상태로 됩니다. 따라서 터보차저
취급방법을 반드시 지키십시오.
•엔진 시동을 건 직후는 오일 공급 부족 등으로
터보차저 베어링 부위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으므로 공회전 상태로 고속 회전시키지 마
십시오.
•엔진 시동을 건 직후 바로 출발하거나 급가속
등으로 엔진을 고속 회전시키면 터보차저의
베어링 부위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아 베어
링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고속 주행 또는 언덕길을 주행한 직후는 터보
차저가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엔진을 곧바로 정지시키면 엔진 오일이 터보
차저에 공급되지 않아 터보차저 베어링 부위
가 고착될 우려가 있습니다.
•TCI(Turbo Charger Intercooler, 터보차저 인
터쿨러) 엔진은 엔진의 흡입공기를 터빈으로
압축시켜 강제로 높은 밀도의 흡기를 공급하
는 「Tu r b o C h a r g e r (터보차저)」와 흡입된 고온
의 공기를 냉각시켜 충진효율(실린더에 공급
되는 흡기의 밀도)을 향상시키는 흡기 냉각기
인 「Intercooler(인터쿨러)」를 함께 가진 엔진
을 의미하며, 일반 엔진보다 고출력, 고성능을
발휘함은 물론 일반 Turbo 엔진보다도 높은
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장치입니다.
인터쿨러인터쿨러
실린더실린더
가스가스배출배출
컴프레서컴프레서터빈터빈
압축압축공기공기
흡입공기흡입공기
에어클리너에어클리너
압축냉각 압축냉각 공기공기
1XTA30151XTA3015
터보 장착 차량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