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6 of 290
시동 및 주행
5-3
운행 중에는 차량상태를 항상 주의하여 이상이
있다고 생각되면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여
점검·정비를 하여 주십시오.
또 원인이 불분명하거나 수리가 곤란할 때는 가
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연
락하여 주십시오.
•차량의 운행속도는 안전속도 이내로 주위의
차량 속도에 맞추어 차량 흐름이 자연스럽게
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차선을 변경할 때는 미리 방향지시등을 켜고
그 차선을 주행하는 다른 차량에 방해되지 않
도록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한 후 안전하게
차선을 변경하십시오.
0야간 운행
•야간 운행시 마주 오는 차와 교차할 때는 전
조등을 하향으로 향하게 하여 상대방의 눈부
심을 방지하도록 하십시오.
•비가 내리면 라이트의 빛이 노면에 흡수되거
나 젖은 장애물에 반사되어 더욱 보이지 않게
됩니다. 항상 주의하십시오.
0여름철 운행
•여름철에는 특히 엔진상태를 항상 점검하도
록 하십시오.
•냉각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라디
에이터에 흙, 먼지, 벌레 등 오물이 끼지 않도
록 점검하십시오.
라디에이터가 불결하면 냉각효과가 떨어집니다.
OCY038002OCY038002
안전운전요령
•경적음은 꼭 필요 시만 사용하십시오.
•운전할 때는 보행자를 소중히 생각하여 서로
에게 양보하는 보다 즐거운 운행이 되도록 하
십시오.
•반 클러치 사용은 클러치를 마모시키는 큰 원
인이 됩니다.
•운행중에 경고등이 점등되면 즉시 안전한 장
소에 정차하여 점검하여 주십시오.
Page 151 of 290

시동 및 주행
5-8
스노우 타이어의 규격과 형태는 차량의 표
준 타이어와 동등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차량의 안전성과 조향성능에 악영향
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경 고
•전륜 타이어에는 체인을 사용하지 마십
시오.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십시오.
•노상에서의 타이어 체인 장착은 교통이
복잡하지 않고 평탄한 곳에서 실시하십
시오.
•비상 경고등 및 비상 삼각대 등을 이용하
여 후방 차량에 충분한 주의를 주고, 안
전한 상태에서 실시해 주십시오.
•튀어나온 곳 또는 음푹 패인 곳을 주행하
거나 급격한 핸들의 조작은 타이어 체인
의 손상과 차체에 심한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운전하십시오.
경 고
주 의
•일반 체인 장착시 체인과 서스펜션 부품과
의 간섭으로 체인 연결고리가 손상 될 수도
있으니 반드시 KS 규격을 만족하는 체인(
수출지역은 그 지역 규격에 맞는 체인)을
사용 하십시오.
•체인 규격이 맞지 않거나 잘못 장착한 경우
는 차량의 제동라인, 서스펜션, 차체 및 바
퀴들을 훼손 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 하십시
오. 체인이 차량을 때리는 소리가 들리면 즉
시 차를 멈추고 다시 조여 주십시오.
•타이어 체인을 장착하고 약 50m 정도 주행
한 후 차체손상 여부 및 안전을 확인해야
하며 느슨할 경우 다시 조여 주십시오.
0타이어 체인
•후륜 구동 차량이므로 타이어 체인은 뒷 타이
어에 장착하십시오.
•타이어 규격에 맞는 체인을 사용하여 차체를
보호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차량에 부적합한 체인을 사용할 경우에는
차체를 손상시키므로 반드시 적절한 체인을
사용하시고, 장착은 체인 제작사에서 제공하
는 설명서를 참조하여 차체에 손상이 가지 않
도록 주의하십시오.
•눈길, 빙판길 외에는 체인의 사용을 삼가시
고, 체인 장착시에는 체인 제작사에서 추천하
는 규정속도 이하 또는 30km/h 이내로 주행
하십시오.
•급커브, 급브레이크 등의 과격한 주행은 가급
적 피하십시오.
•래디얼 타이어는 구조상 옆면이 얇기때문에
체인을 사용하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
능한 스노우 타이어를 사용하십시오.
알루미늄 휠 장착 차량은 체인을 사용하면 휠
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스노우 타
이어를 사용하십시오.
Page 152 of 290
시동 및 주행
5-9
OCY038005OCY038005
•주행중 시동 스위치를 「ON」 이외에는 절대로
돌리지 마십시오.
•출발전 안전 벨트를 착용하여 주십시오.
•운행중에 조향 핸들을 최대한 돌린 채로 10초
이상 있지 마십시오. 파워 스티어링 펌프의
수명이 단축됩니다.
•급하게 조향 핸들을 조작하거나, 급브레이크
를 피해 여유를 가진 안전운행을 하십시오.
•급선회나 지그재그 운전은 차량이 전복될수
가 있어 대단히 위험합니다.
•주행중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즉시 안전
한 장소에 정차하고 조치를 취하여 주십시오.
•각부의 잡소리, 진동, 가속상태, 냄새, 조향 핸
들 조작 및 브레이크 작동상태 등 이상을 느
끼면 즉시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고 이상유무
를 점검하여 주십시오.
•만일 운전중에 연료가 떨어져 엔진의 시동이
정지되었을 때는 연료 계통에 에어가 들어 있
어 연료 보충만으로는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연료 계통의 에어빼기를 실시해 주
십시오.
•주행중 만일 엔진의 시동이 정지된 경우는 당
황하지 말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서 감속하
여 안전한 장소로 정차한 후 점검해 주십시오.
또 조향 핸들이 상당히 무겁게 되므로 강한 힘
으로 조작하여 주십시오.
OPY057033OPY057033
운전중의 주의
Page 160 of 290
시동 및 주행
5-17
초기 시동이 걸리면 정상 공회전수보다 약간 상
승한 후 정상으로 됩니다.
(정상 공회전으로 되는 시간은 냉각수온도에 따
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웜업시 가속 페달을 밟아 엔진회전수를 올리지
마시고 웜업 후 정상화된 후 운행을 하시면 엔진
에 무리가 없습니다. 웜업 운전시 연소된 연료가
배기관을 통하여 흰색으로 배출되는 것은 수증기
이며 정상 상태입니다.
※엔진공회전속도(rpm)
0CNG 엔진(천연가스엔진)시동 요령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하게 체결을 한 후 변속레
버의 중립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클러치페달과 브
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키를 「ON」에
유지하십시오.
계기판의 엔진 경고등이 점등되면 엔진시동을 거
십시오.
알아두기
엔진 경고등이 점등되는 시간은 고압연료
차단밸브가 완전히 개방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약 2~3초간 소요됩니다.
주 의
•가솔린엔진 시동 동력발생 시간을 1초 라
고 할 경우 CNG엔진 시동 동력발생은 약 2
초정도로 길게 하십시오.
• 처음 시동을 실패할 경우 30초정도의 여유
를 가진후 반복하십시오.
•시동시 가속 페달을 밟지 않아도 됩니다.
•기어 변속레버 위치가 중립 이외에서는 시
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C6GB엔진 600±50
C6AF엔진 550±50
Page 176 of 290
시동 및 주행
5-33
0ABS 경고등
ABS 경고등은 시동키를 「ON」하면 시스템 체크
를 위해 일시적으로 점등 합니다.
▶주행 중에 ABS 경고등이 들어 오는 경우는
차를 안전한 장소에 정지해 주십시오. 다시 엔
진의 시동을 걸어 시스템을 점검해 주십시오.
•소등되지 않는다.……ABS 시스템의 고장
입니다.
•소등되지만 잠시 있으면 다시 점등된다.…
… ABS 시스템 고장입니다.
•소등된다.……시스템은 정상입니다. 그상
태로 주행해 주십시오.
▶주행 중에 ABS/ASR 경고등이 동시에 들어
오는 경우는 ABS, ASR 시스템 모두 고장
입니다.
고장인 경우는 곧 바로 정비망을 통해서 점
검을 받아 주십시오. ABS/ASR시스템이 고
장이라도 주행은 가능 합니다. ABS/ASR은
작동되지 않지만 ABS/ASR 미장착인 경우
와 같은 브레이크 상태가 됩니다.
ABS는 급제동시 바퀴가 고착되어 차량의 조종이
불가능한 상황의 회피를 위하여, 급제동시 각 바퀴
의 브레이크 압력을 매우 짧은 주기로 넣고 빼기를
반복하여 차량 조향성을 확보하는 장치입니다.
ASR은 엔진과 구동장치를 제어하여 미끄러운
노면에서 출발하거나 가속할 때, 바퀴가 좌우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차량의 주행 안전을 도
모하는 장치입니다.
OCYABS01OCYABS01
ABS/ASR 시스템
Page 177 of 290
시동 및 주행
5-34
0ASR 표시등
시동 키를 「ON」하면 수초간 ASR 표시등이 점등
후 소등됩니다. A S R 시스템이 작동하면 ASR 표
시등이 0.5초 간격으로 빠르게 점멸하며,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을 때는 ASR 표시등이 소등됩니다.
또한, 「ASR」 스위치를 누르면 ASR 표시등은 2.5
초 간격으로 느리게 점멸합니다. A S R 시스템이
고장일때는 ASR 표시등이 계속 점등됩니다. 고
장이 발생하면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
는 블루핸즈를 방문하여 수리를 받으십시오.
OCYASR01OCYASR01
주 의
•경고등 및 표시등으로 꼭 시스템의 점검을
실시해 주십시오.
•ASR 작동시에는 가속 페달의 밟는 양에 관
계없이 엔진회전이 저하되는 수가 있습니
다. 이것은 시스템이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
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상이 아닙니다.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 ASR이 작동하
고 있어도 조향 핸들 조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ASR장착차는 미장착차에 비
해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 가속성이 좋
게되지만 브레이크 성능은 ABS장착차와
동일하므로 과속을 하지 마십시오.
주 의
•동결노면등 특히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
서는 ABS/ASR작동에 의한 공기 소비량
이 많게 됩니다. 만일 경고등이 점등되
고 경고음이 울리면 차량을 안전한 장소에
정차시켜 공기압력이 충분하게 회복할 때
까지 기다리고 나서 출발하십시오.
•일반적으로 ABS/ASR장착차는 미장착차
에 비해 미끄러지기 쉬운 노면에서는 제동
거리가 짧게 되지만 그 차이는 노면의 상황
에 따라 다르므로 차간거리는 충분히 유지
해 주십시오. 후속차의 충돌에도 충분히 주
의하십시오. 또 모래길이나 눈길등 도로에
서는 ABS/ASR 미장착차에 비해 제동거리
가 길게 됩니다. 과속은 삼가해 주십시오.
•규정 사이즈 이외의 타이어를 장착할 경우
는 사전에 타이어A/S 지정점소에 문의해
주십시오.
Page 193 of 290

정기 점검
7-9
○ : 점검,조정,보충 ● : 교환 △ : 청소 혹은 배출
(1) 배출가스 제어관련 항목
▶슈퍼에어로 시티(디젤엔진)
0통상 조건
점검내용점검주기비 고최초 1,000km최초 5,000km매 10,000km매 20,000km매 40,000km매 60,000km매 100,000km
엔진오일●통상조건: ● 매 60,000km 또는 12개월 마다 교환가혹조건: ● 매 30,000km 또는 6개월 마다 교환운행전 점검
엔진 오일 필터● 최초 1,000km 교환 후 매 15,000km 마다 교환
원심식 오일필터(로터내부)(D6HC)△퇴적물 제거
오일클리너 엘리먼트● 매 5,000km마다 교환(필터 교환 후 엔진오일 보충할것)
요소수(우레아) 시스템 요소수 펌프 메인 필터 통상조건 : ● 매 100,000km 마다 교환, 가혹조건 : ● 매5만km 마다 교환
연료필터교환● 최초 20,000km 교환 후, 40,000km마다 교환 또는 엔진 경고등 점등 및 주기적 점멸
연료 필터(워터세퍼레이터) 물 배출△ 경고등 점등시 배출 매주 배출
연료 탱크내 불순물 배출△
연료 호스 ○
냉각수 점검 및 교환○ 매 20,000km 마다 점검 - LLC-10: ● 매 10년 또는 200,000km마다 교환(공장 출고시) - LLC-2: ● 매 2년 또는 40,000km마다 교환
부동액 45~50% 유지
냉각수(라디에이터/써지탱크) 압력 캡 ○운행전 점검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 교환● 6개월 또는 60,000km 마다 교환
인터쿨러부 오일빼기△ 매 50,000km마다 배출(동절기가 시작되기 전인 11월경에도 배출하여 주십시오.)
V-리브드 벨트○ 100,000km 이후, 매 10,000km 마다 점검, 이상시 교환 가혹시 수시점검
V-벨트○매 50,000km 마다 점검
공기 누기, 냉각수 누수, 연료 및 오일 누유 점검○○운행전 점검
밸브 간극 점검 및 조정○○소음발생시 점검
엔진작동상태 점검(시동, 공회전, 최고속도, 가속도)○○
제이크 브레이크 간극 점검○○
레일 및 인젝터 점검(파이프, 레일볼트, 클램프 조임, 간극 조정)○
매니폴드, 엔진 지지부 등의 볼트 재조임○○
크랭크/캠 포지션 센서부 이물질 제거△ 최초 50,000km 청소 후 매 100,000km 마다 점검 및 청소
주의 1. 연료 부족시 고압펌프에 손상을 초래하여 배출가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검증되지 않은 연료(첨가제 등)는 주유하지 마십시오. 3. 연료관련 점검/교체 주기는 국내석유사업법에 명시된 경유/휘발유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됩니다.
Page 195 of 290

정기 점검
7-11
○ : 점검,조정,보충 ● : 교환 △ : 청소 혹은 배출 ▶그린시티(디젤 엔진)
점검내용점검주기비 고최초 1,000km최초 5,000km매 10,000km매 20,000km매 40,000km매 60,000km매 100,000km
엔진오일●통상조건: ● 매 60,000km 또는 12개월마다 ○ 5,000km 마다가혹시: ● 매 30,000km 또는 6개월마다 ○ 5,000km 마다일일점검
엔진 오일 필터●통상조건: ● 매 60,000km 또는 12개월마다가혹시: ● 매 30,000km 또는 6개월마다요소수(우레아) 시스템 요소수 펌프 메인 필터 통상조건: ● 매 100,000km 마다 교환, 가혹조건 : ● 매5만km 마다 교환
연료필터교환
메인필터● 최초 20,000km 교환 후 매 40,000km 교환(가혹 조건은 교환 주기 단축)히터 내장형
프리필터● 최초 20,000km 교환 이후 매 40,000km 또는 엔진 경고등 점등 및 주기적 점멸 교환
● 최초 20,000km 교환 후 매 40,000km 교환(가혹 조건은 교환 주기 단축)히터 내장형
연료필터(워터세퍼레이터) 물배출 △ 경고등 점등시 배출
연료 탱크내 불순물 배출△
연료 호스 ○
냉각수 점검 및 교환○ 매 20,000km 마다 점검 - LLC-10: ● 매 10년 또는 200,000km마다 교환(공장 출고시) - LLC-2: ● 매 2년 또는 40,000km마다 교환
부동액 45~50% 유지
냉각수(라디에이터/써지탱크) 압력 캡 ○운행전 점검
에어 클리너 엘리먼트 교환● 6개월 또는 매 60,000km마다 교환
인터쿨러부 오일빼기△ 매 50,000km 마다 배출(동절기가 시작되기 전인 11월에도 배출하십시오.)
V-리브드 벨트○ 100,000km 이후, 매 10,000km 마다 점검, 이상시 교환
V-벨트○ 매 50,000km 마다 점검
공기 누기, 냉각수 누수, 연료 및 오일 누유 점검운행전 점검
밸브 간극 점검 및 조정○○소음발생시 점검
엔진작동상태 점검(시동, 공회전, 최고속도, 가속도)○○
인젝터, 제이크 브레이크 간극 점검○○
인젝터 조임 점검○
주의 1. 연료 부족시 고압펌프에 손상을 초래하여 배출가스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검증되지 않은 연료(첨가제 등)는 주유하지 마십시오. 3. 연료관련 점검/교체 주기는 국내석유사업법에 명시된 경유/휘발유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됩니다.
※ 메인 연료필터는 사양에 따라 필요 없는 차량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