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of 399
2-6
안전 및 주의 사항
• 약 10-15세 정도(신장에 따라 다름)의 어
린이를 동승석에 앉혀야 할 경우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시키고 가능한 한 좌석을
뒤쪽으로 밀어 에어백과 거리를 멀리하
도록 하십시오.
아이를 안고 타지 마십시오.
특히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서 동승석
탑승시 아이를 안고 탑승하면 더욱 위험
합니다.
• 유아 탑승 시에는 반드시 뒷좌석에 유아
용 보호장치를 장착하여 앉히십시오.
주·정차 중 차내 수면 금지
장시간 주·정차할 때에는 반드시 시동을 끄
십시오.
무의식 중 변속레버를 움직이거나 가속 페
달을 밟아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가속 페달을 계속 밟고 있을 경우
오버히트(과열), 엔진 및 배기관의 이상과
열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식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장시간 주차 및
정차 중에 창문을 닫은 채로 차 안에 계시
거나 수면을 취하지 마십시오. 특히 시동을
걸고 에어컨이나 히터를 켠 상태로 밀폐된
차 안에 오래 있을 경우 질식사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경 고
어린이나 유아 및 임산부, 노약자는 동승석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동승석에는 절대
앉히지 마십시오. 또한 유아용 보조시트도
장착하여 운전하지 마십시오. 사고시 에어
백 팽창충격으로 안면부상 및 사망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26 of 399
2-7
02
음주·과로 운전 금지
휴식을 취하지 않고 계속 운전하면 졸음이 오게
되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장시간 운전 할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최소한 2
시간마다 휴식을 취하십시오.
•가연성 물질을 싣지 마십시오.
•여름철과 같이 차안의 온도가 급상승하는 경
우에는 밀폐된 차안에 가스라이터 등 인화성·
폭발성 물질을 두지 마십시오. 폭발할 수 있
습니다.
인화성·폭발성 물질 차내 방치 금지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마십시오.
대단히 위험합니다. 특히, 어린이와 함께 탈 경우
는 항상 주의하십시오.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말 것
주행 중에는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브레이크의 성능저하 및 스티어링 휠 조작이 불
가능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주행 중 엔진 정지 금지
•음주 운전은 절대로 하지 마십시오.
음주는 운전자의 판단, 시력과 근육 조
절을 저하시키고, 소량일지라도 운전자
의 반사신경, 인식, 판단에 영향을 미칩
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전자 뿐만 아니
라 승객, 상대차량 탑승자의 생명을 위
협할 수 있습니다.
•약물을 복용하고 운전하는 것은 복용한
약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음주운전 보다
도 위험할 수 있으므로 약물 복용 후에
는 차량을 운전하지 마십시오.
•졸음 운전은 절대로 하지 마십시오. 졸
음 운전시 시야가 좁아지고 예민성이떨
어져 위험요소를 늦게 인지하게 되며
지각 작용이 느려져 주행상황에 대한판
단 착오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사고
로 이어져 운전자 뿐만 아니라 승객, 상
대 차량 탑승자의 생명을 위협할수 있
습니다.
경 고
Page 27 of 399

2-8
안전 및 주의 사항
•주·정차할 때 배기관 주변에 연소되기 쉬운 것
이 가까이 있으면 화재의 위험이 있으니 마른
낙엽이나 지푸라기, 종이, 오일, 타이어 등이
있는 곳에는 주·정차시키지 마십시오.
•차량 뒷부분이 벽 등에 닿은 상태에서 고속
공회전을 하면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벽 등이
변색되거나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차량 후
단과의 거리를 충분히 유지하십시오.
•엔진 작동 중 또는 시동 「OFF」 후에는 촉매
장치나 그 밖의 배기장치는 고온이므로 사람
의 신체가 촉매/배기장치에 닿지 않게 하십시
오. 화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주·정차 시 배기관 주변 화재 및
화상위험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되지 않은 장소에서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면 배기가스가 차안으
로 유입되어 중독될 위험이 있습니다.
•차량 점검시에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면 고온
의 배기가스가 나오므로 배기관 뒤에 연소 되
기 쉬운 물질을 놓지 않도록 하십시오.
밀폐된 공간에서 엔진 시동 후 차량
점검 금지
주차할 때는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은 후, 변속레버를 「P」(주차)로 놓고 바퀴에 고
임목을 설치하십시오. 급경사 길에는 주차하지
마십시오.
또한, 습기가 많고 통풍이 잘되지 않는 차고에 주
차하지 마십시오.
주차 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서 시동이 꺼졌을
때는 주위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아 차
를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시키십시오.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
•차량에 임의로 배선을 사용 시에는 차량의 성
능 저하 및 손상을 유발하여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AVN 또는 도난 경보 장치, 원격 시동
장치, 카폰이나 무전기, 블랙박스, 하이패스
등의 용품 장착 시 임의로 배선을 사용 시에
는 차량의 손상 또는 화재가 날 수 있으며 실
내 잡음, 이음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편의장비 추가 장착 시 임의배선
사용 금지
•본 차량은 어떤 식으로도 개조해서는 안됩니
다. 차량의 성능, 내구성,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조로 인한 문제 발생
시 보증수리를 받으실 수 없습니다.
출고 시 차량에 설치되지 않은 전기장치(램프류,
블랙박스, 전기기기 등)를 임의로 장착하는 개조
를 할 경우 차량의 이상작동, 배선손상, 배터리 방
전, 화재 등을 초래할 수 있으니 주 의바랍니다.
차량 개조 금지
주 의
차량 내 모든 경고음(웰컴/굿바이 사운드/
가상엔진음 포함)은 외장앰프를 통해 나옵
니다. 앰프를 비순정 부품으로 교체하거나
스피커를 비순정 부품으로 교체해서 앰프
가 고장 나면 경고음이 작동 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Page 28 of 399
2-9
02
•작업 시 잘못하면 배선의 합선이나 단선 등으
로 인해 잡음, 통풍 불량, 화재 발생 등의 원인
이 되니 주의하십시오.
•시트커버나 각종 비닐커버를 씌울 경우에는
배선이나 통풍구에 유의하십시오. 배선의 합
선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종 시트커버류 작업시 유의
꼭 필요한 사항이 있을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하십시오.
위험하지 않은 간단한 점검 및 정비 이외에는 반
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이용
차량 정비를 위하여 리프트/잭 이용시, 지정된 잭
업 위치에서 실시하십시오. 지정된 잭업 위치 외
리프팅을 할 경우 사이드실몰딩이 파손될 수 있
습니다.
사고예방을 위하여 리프트/잭 이용시, 반드시 안
전이 확보된 평탄한 곳에서 실시하십시오. 주차
브레이크를 걸고 변속레버를 자동변속기 차량은
「P」(주차)에 놓으십시오. 리프팅 미실시 바퀴에
고임목을 설치한 후 리프팅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6장 「타이어 펑크 시의 조치-예비
타이어」를 참고하십시오.
자가정비시 주의 사항
OHI026002OHI026002사이드 에어백 장착 차량의 경우, 시트커버
를 교체하거나 비닐커버 등을 장착하지 마
십시오.
에어백 작동을 저해하여 심각한 상해를 야
기할 수 있습니다.
경 고
Page 29 of 399

2-10
안전 및 주의 사항
차량에 최적인 자사 순정부품을 사용해야만 안
전하고, 최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순정부품은 자사가 품질 및 성능을 보증하는 부
품입니다.
비순정부품의 사용은 차량의 성능 저하와 고장
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순정부품의 사용
OHI026007OHI026007
•스티커•포장
•홀로그램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시동을 걸 때나, 여름
철에 에어컨 등을 가동시킬 때는 평상시 보다
엔진 회전수(rpm)가 높아, 이때 차량을 움직
일 경우에는 평상시보다 차량이 빠르게 움직
일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십시오.
•임의로 원격 시동 장치 등 전기, 전자장치를
장착하거나 무단으로 차량을 정비, 개조할 경
우에는 차량의 작동에 문제가 생겨 예기치 못
한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차내에서 전파를 사용하는 전화나 무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승객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
으며,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에 영향을 끼쳐 차
량이 오작동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잠시 차에서 떠나 있을 때라도 의외의 발진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시오.
•정차 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주
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으십시오.
•차량내에는 고가의 소지품이나 귀중품을 넣
어 두지 마시고, 차량을 떠날때는 항상 모든
도어와 트렁크를 잠그십시오.
•차량 유리에 액세서리를 부착하면 운전에 방
해되거나, 흡착부가 렌즈의 역할을 하여 차량
내부 부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차량충돌 시 액세서리가 분리되어 상처
를 입는 등 예기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
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의 경우라도, 수시로
차량을 바꿔가며 운전을 할 때는 차량간의 페
달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페달을 오조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가속 페달과 브레이
크 페달의 위치를 오른발로 확인하십시오.
•동력발생장치와 제동장치는 별개의 장치이므
로, 오조작 및 차량의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라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차량은 멈추게
되므로 침착하게 행동하십시오.
기타 주의사항
•최초 1,000km 전까지의 주행은 차량의 수명
과 성능을 좌우하므로 이 기간 동안은 과속,
급가속, 급제동 등을 삼가십시오.
•엔진 회전수를 4,000rpm 이내로 주행하십시오.
•장시간 엔진을 공회전시키지 마십시오.
•연비, 엔진 성능 및 엔진 오일 소모량은 길들이
기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약 6,000km 주
행 후 안정됩니다.
신차 길들이기
Page 30 of 399
2-11
02
•차가 눈이나 진흙, 모래 등에 빠져 움직이지
못할 경우 차를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해 과도
하게 가속 페달을 밟으면 타이어가 슬립되어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타이어가 슬
립되는 상태에서 지속적인 가속 페달을 밟는
것은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이때에는
견인 등의 다른 방법으로 조치하십시오.
•자동변속기 오일 교환 및 보충은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
십시오. 비순정부품 오일의 사용은 변속기 고
장 및 성능의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
로 인한 자동변속기의 품질은 보증이 불가능
합니다.
•구입 후 1년 이내의 신차의 경우 실내에 인체
에 해로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존
재할 수 있으므로 탑승 시 항상 모든 창문을
열고 충분히 환기를 시키십시오. 특히, 날씨
가 무덥거나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곳에 장시
간 주차 시 차량 내부 온도가 높아질 경우 두
통이나 매스꺼움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운
전 중에는 가급적 외기 모드를 선택하여 차량
안쪽 공기를 환기시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VOCs는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의 약자입니다.
• 전면 유리창에 썬팅을 할 경우(특히 금속성 썬
팅지) 하이패스 시스템(ETCS) 통신불량 및
라디오 수신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과도한
차안조도의 변화로 인해 전조등 자동 점등 장
치가 오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썬팅작업시
작업용액이 전기, 전자기기에 흘러 들어 기기
오작동 및 작동불량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과도한 썬팅을 할 경우, 야간 주행이나 우천
주행 시 시인성이 저하되어 예기치 못한 위험
을 초래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Page 31 of 399

좌석 ....................................................................... 3-3
운전석/동승석 .............................................. 3-3
뒷좌석 ............................................................3-4
앞좌석 ................................................................3-7
전·후 위치 조절 ............................................ 3-7
쿠션 길이 조절 ............................................. 3-8
시트 백 각도 조절 ........................................ 3-8
높낮이 조절................................................... 3-8
어깨 부 경사 조절 ........................................ 3-8
허리 지지대 조절 ......................................... 3-9
시트 볼스터 조절(운전석) .......................... 3-9
승하차 편의 기능 선택 스위치 .................. 3-9
헤드레스트 조절 ........................................3-10
좌석 히터(열선) ..........................................3-12
냉방 통풍 시트 ...........................................3-13
좌석 등받이 포켓(운전석/동승석) ..........3-14
뒷좌석 ..............................................................3-15
전·후 위치 및 시트 백 각도 조절 ............3-15
허리지지대 조절 ........................................3-16
승하차 편의 기능 선택 스위치 ................3-16
동승석 위치 조절 추가 버튼 ....................3-17
시트 모드 조절 ...........................................3-18
헤드레스트 조절 ........................................3-20
중앙 폴딩 헤드레스트 조절 (접는 타입) .....3-22
윙아웃 헤드레스트 ...................................3-23
암레스트 조절 ...........................................3-23
스위치 작동 제한 기능 ............................3-24
좌석 히터(열선) ..........................................3-25
냉방시트 ......................................................3-26
헤드레스트 히터 .......................................3-27
냉방 통풍 헤드레스트 ..............................3-28
안전벨트 .............................................................3-29
안전벨트 구속 장치 .......................................3-29
안전벨트 사용 중요성 ...............................3-29
3점식 안전벨트 ..........................................3-29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등 및 경고음 ........3-31
착용방법 ......................................................3-32
프리텐셔너 시트벨트 ....................................3-34
로드 리미터(Load Limiter) ......................3-35
프리액티브 시트벨트(PSB) .........................3-35
주요 기능 .....................................................3-36
안전벨트 사용 시 유의 사항 ........................3-37
큰 어린이의 안전벨트 착용 .....................3-37
임산부의 안전벨트 착용 ...........................3-37
안전벨트의 적절한 관리...............................3-37
어린이 보호용 장치(보조 좌석) ......................3-38
어린이 보호용 장치의 장착 .........................3-38
ALR 3점식 안전벨트를 이용할 때 ..........3-39
테더 앵커를 이용할 때 ..............................3-41
하부 래치를 이용할 때 ..............................3-42
에어백(보조 구속 장치) ...................................3-44
에어백 종류.................................................3-44
에어백 장치의 작동은 어떻게 되는가? ......... 3-45
에어백 작동 시 2차 피해 ..........................3-46
소음과 연기.................................................3-46
어린이 보조 좌석 설치 금지 ....................3-47
에어백 경고등 ................................................3-47
에어백 장치의 구성 및 기능 ........................3-48
3. 안전 장치
3
Page 32 of 399
어드밴스드 에어백 ..................................... 3-48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 3-50
운전석 에어백/무릎 에어백 ........................ 3-50
동승석 에어백 ................................................. 3-51
승객 구분 시스템 (OCS) ................................ 3-52
승객 구분 시스템 (OCS)의 주요 구성품...3-52
승객 구분 시스템 (OCS) 사용방법 ............ 3-53
동승석 승객 구분 시스템의 작동 조건 .... 3-54
사이드 에어백 ................................................. 3-57
측면 에어백 ..................................................... 3-58
충돌 시에 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았을까요? . . .3-59
에어백 충돌 센서 ........................................ 3-60
에어백의 작동 조건 .................................... 3-61
에어백의 비작동 조건 ................................ 3-62
에어백 정비 ..................................................... 3-64
차를 수리할 때, 폐차할 때 ....................... 3-65
에어백 경고 라벨 ............................................ 3-66
3. 안전 장치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