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10
어린이는 보호자와 함께 뒷좌석에 태워 안
전벨트나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하게 하시
고 , 실내에서는 뒷도어를 열 수 없도록 어린
이 보호용 잠금 장치를 작동시키십시오 . 만
약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으면 급
제동 또는 충돌 사고가 날 경우에 매우 위험
합니다 .
경 고
어린이는 적정 보호구 착용과 함께 뒷좌석에
1JBA1011
• 차에서 떠날 때는 어린이와 함께 가십시오 .
어린이만 차 안에 남겨둘 경우 차 내의 안전
과 관련된 장비를 만져 의외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여름철에는 차안의 온도가
올라가고 겨울철에는 추워지므로 대단히 위
험합니다 .
• 시동 키는 어린이 손에 닿지 않도록 항상 잘 관
리하시기 바랍니다 . 운전장치를 만지는 등 의
외의 사고를 방지하십시오 .
HLZ1018
차 안에 어린이만 남겨두면 위험
• 동승자에게도 주위를 환기시켜 도어를 열 때
안전사고가 발생치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 차를 후진할 때는 미러에만 의존하지 말고 직
접 후방을 확인하십시오 .
주위 안전 확인
1JBA1015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102012-07-05 오전 11:35:21
Page 18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11
•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되지 않은 장소에서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면 배기가스가 차안으
로 유입되어 중독될 위험이 있습니다 .
• 엔진 워밍업 시에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하
십시오 . 워밍업 중이라도 엔진을 고속 회전시
키면 배기관에서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나옵
니다 .
이 가스는 연소되기 쉬운 물질이 있으면 화재
의 위험이 있으므로 워밍업이나 차량 점검시
배기관 뒤에 연소되기 쉬운 물질을 놓지 않도
록 하십시오 .
밀폐된 공간에서 워밍업 또는 차량 점검 금지
• 주행 시에는 반드시 도어를 잠금 상태로 하십
시오 . 주행 중 무심코 안쪽 도어 핸들을 만지
다 보면 도어가 열려 대단히 위험할 수 있습니
다 .
• 트렁크를 열어놓은 상태로 주행하지 마십시오 .
배기가스가 차안으로 유입되는 등 대단히 위
험합니다 .
• 배기 가스가 차내로 유입된다고 생각되면 , 창
문을 다 연 상태로 주행하시고 , 즉시 가까운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점
검을 의뢰하십시오 .
주행 시 도어·트렁크는 잠금 상태로
• 주 ·정차할 때 또는 워밍업할 때 배기관 주변에
연소되기 쉬운 것이 가까이 있으면 화재의 위
험이 있으니 마른 낙엽이나 지푸라기 , 종이 , 오
일 , 타이어 등이 있는 곳에는 주 ·정차하지 마십
시오 .
• 차량 뒷부분이 벽 등에 닿은 상태에서 장시간
워밍업이나 고속 공회전을 하면 배기가스의
열에 의해 벽 등이 변색되거나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 차량 후단과의 거리를 충분히 유지
하십시오 .
주·정차 시 배기관 주변 화재 위험
OMC015003OHD007021OMG015007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112012-07-05 오전 11:35:21
Page 19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12
주차 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7JBA1020
•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는 우선 멈추
어 안전을 확인한 후 , 가능한 저단기어를 사용
하여 변속하지 말고 신속히 빠져 나오십시오 .
•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서 시동이 꺼졌
을 때는 주위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
아 차를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시키십시오 .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
• 차량에 임의로 배선을 사용 시에는 차량의 성
능 저하 및 손상을 유발하여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
• 특히 , 오디오 또는 도난 경보 장치 , 원격 시동
장치 , 카폰이나 무전기 장착 시 임의로 배선을
사용하면 차량의 손상 또는 화재가 날 수 있습
니다 .
편의장비 추가 장착 시 임의배선 사용 금지
OMC015005
주차할 때는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를 걸어 놓은
후 , 자동변속기 차량은
「P
」(
주차 ), 수동변속기 차
량은 오르막길에서
「 1
단
」,
내리막길에서는
「 R
」(
후
진 )로 놓고 바퀴에 고임목을 설치하십시오 . 급경
사 길에는 주차하지 마십시오 .
또한 , 습기가 많고 통풍이 잘되지 않는 차고에 주
차하지 마십시오 .
1JBA1019고임목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122012-07-05 오전 11:35:28
Page 20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13
• 본 차량은 어떤 식으로도 개조해서는 안됩니
다 . 차량 개조는 법령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 차
량의 성능 , 내구성 ,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개조로 인한 문제 발생 시 보증
수리를 받으실 수 없습니다 .
• 출고 시 차량에 설치되지 않은 전기장치 (램프
류 , 블랙박스 , 전기기기 등 )를 임의로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차량의 이상작동 , 배선손상 , 배터
리 방전 , 화재 등을 초래할 수 있으니 주의바랍
니다 .
차량 개조 금지
• 작업 시 잘못하면 배선의 합선이나 단선 등으
로 인해 잡음 , 통풍 불량 , 화재 발생 등의 원인
이 되니 주의하십시오 .
• 시트커버나 각종 비닐커버를 씌울 경우에는
배선이나 통풍구에 유의하십시오 . 배선의 합선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각종 시트커버류 작업 시 유의
사이드 에어백 장착 차량의 경우 , 시트커버
를 교체하거나 비닐커버 등을 장착하지 마
십시오 .
에어백 작동을 저해하여 심각한 상해를 야
기할 수 있습니다 .
경 고
OMC0150061JBA1023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132012-07-05 오전 11:35:28
Page 21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14
꼭 필요한 사항이 있을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문의하십시오 .
위험하지 않은 간단한 점검 및 정비 이외에는 반
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 이용
차량에 최적인 자사 순정부품을 사용해야만 안전
하고 , 최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순정부품은 자사가 품질 및 성능을 보증하는 부
품입니다 .
비순정부품의 사용은 차량의 성능저하와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순정부품의 사용
OSU029024HOAM029001
̰스티커
̰포장
̰홀로그램
̰ 안전 교육 이수
액화석유가스
(LPG) 사용 차량 운전자는 한국가
스안전공사에서 실시하는 가스 안전 교육을 필히
이수한 후 차량을 운행해야 하며 만약 미 이수 시
에는 관련법규에 의거 처벌되오니 반드시 해당
시 , 도에 있는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교육을 이
수하신 후 차량을 운전하십시오 .
LPI 차량 사용 시 주의사항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142012-07-05 오전 11:35:29
Page 22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15
̰ LPI
차량 관리 요령
• LPG 충전 시에는 반드시 시동을 끈 상태에서
실시하십시오 .
• LPG 는 온도상승에 의한 압력상승이 있기 때
문에 열이나 직사광선을 피해야 합니다 .
• LPG 탱크에는 연료충전 밸브 (녹색 )(1), 연료
취출 밸브 (적색 )(2)가 달려 있으며 평상시에는
조작하지 않아도 됩니다 .
• LPG 는 공기보다 약 2 배 정도 무겁기 때문에
누출된 LPG는 낮은 장소에 체류하기 쉬우므
로 장시간 주차 시에는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밀폐된 장소를 피해야 합니다 .
• 장기간 (1 개월 이상 ) 주차 시나 LPG 누출 등 긴
급사항 발생 시에는 연료충전 밸브 (녹색 )(1),
연료 취출 밸브 (적색 )(2)를 잠그십시오 .
• LPG 에는 특유의 냄새를 섞어 제조하므로 차
내에 LPG 냄새가 날 경우 반드시 환기시키고
기밀점검을 하여 누출 확인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정비를 의뢰
하십시오 .
• 기타 자세한 사항은 LPG 관련 내용을 참조하
십시오 .
- 5장
: LPI
차량 엔진 시동 및 정지 방법
- 6장
: LPI
차량 화재 시 응급조치
- 7장
: LPI
차량 정기 점검
OMD020021
̰트렁크 내
충전량을 늘리기 위해 과충전 방지 밸브를
제거하지 마십시오 .
LPG 를 85 % 이상 충전하면 외부의 온도 상
승 등으로 인하여 연료탱크의 내압이 상승
할 경우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
경 고
̰ LPG
충전은 85%
법규상 LPG 탱크에는 85 %까지 충전하도록 되
어 있으므로 무리하게 과충전하지 않도록 하십시
오 .
OMD020022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152012-07-05 오전 11:35:29
Page 23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16
• LPG 연료 공급 버튼은 긴급상황 (연료공급을
중단해야 할 경우 ) 시에만 사용하십시오 .
- ON( 점등) : 연료 공급
- OFF( 소등) : 연료 차단
• LPI 차량 점검 시에는 화기가 없고 , 환기
가 잘 되는 평평한 장소에서 실시하십시
오 .
• LPG 누출은 우선 냄새로 항상 확인하시
고 , 비눗물로 점검하십시오 .
LPG 누출량이 많은 부위는 주위의 열
을 흡수 기화하기 때문에 하얗게 서리
현상이 발생합니다 . 누출이 확인되면
LPG 스위치를 끈 후 LPG 탱크의 연료
충전 밸브 (녹색 )(1) 및 연료취출 밸브
( 적색 )(2)를 잠그시고 정비해야 합니다 .
• LPG 탱크의 수리는 절대로 금하고 교환
을 원칙으로 하며 , 정비가 필요하면 규격
장비를 갖춘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의뢰하십시오 .
• LPI 차량의 운전은 가스안전교육을 이
수하신 분만 가능합니다 .
운전하시기 전에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실시하는 가스안전교육을 이수하십시오 .
경 고
• LPG 가 누출되는 부위를 손으로 막지마
십시오 . 동상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
• 주행 중 LPG 냄새 또는 이상이 있을
때나 사고로 인하여 차체에 파손을 입
었을때는 즉시 차량을 세우고 엔진을
정지시킨 다음 탑승자는 하차시키고
LPG 탱크의 연료충전 밸브 (녹색 )(1)와
연료취출 밸브 (적색 )(2)를 잠근 후 누출
이 중단되지 않으면 누출부위에 화기
를 없애고 안전하게 LPG가 방출되도
록 감시하면서 인근의 협조를 얻어 경
찰서나 소방서에 긴급 연락을 취하십
시오 .
정비를 완료시킨 후 다시 한번 필요한 점
검을 하고 운행하십시오 .
• 누출부위에 불이 붙었을 경우에는 물 또
는 소화기를 사용하여 불을 끈 다음
LPG 탱크가 과열되지 않도록 물로써 냉
각시키면서 필요한 조치를 하십시오 .
경 고
OMD020020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162012-07-05 오전 11:35:29
Page 24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17
•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의 경우라도 , 수시로
차량을 바꿔가며 운전을 할 때는 차량간의 페
달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페달을 오조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가속 페달과 브레이
크 페달의 위치를 오른발로 확인하십시오 .
• 동력발생장치와 제동장치는 별개의 장치이므
로 , 오조작 및 차량의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라
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차량은 멈추게 되
므로 침착하게 행동하십시오 .
• 차가 눈이나 진흙 , 모래 등에 빠져 움직이지 못
할 경우 차를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해 과도하
게 가속 페달을 밟으면 타이어가 슬립되어 변
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타이어가 슬립
되는 상태에서 지속적인 가속 페달을 밟는 것
은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 이때에는 견
인 등의 다른 방법으로 조치하십시오 .
• 자동변속기 오일 교환 및 보충은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서 실시
하십시오 . 비순정부품 오일의 사용은 변속기
고장 및 성능의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
로 인한 자동변속기의 품질은 보증이 불가능
합니다 . •
유리창에 썬팅을 할 경우 (특히 금속성 썬팅지
사용시 ) ETCS 미러(하이패스 ) 통신불량 및 라
디오 수신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 과도한 차
안조도의 변화로 인해 전조등 자동 점등장치
가 오작동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 썬팅작업시 작업용액이 전기 , 전자기기
에 흘러들어 기기 오작동 및 작동불량이 생길
수 있습니다 .
• 구입후 1 년 이내의 신차의 경우 차량 실내에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이 존재할 수 있으므
로 탑승시 창문을 열고 충분히 환기를 시키십
시오 . 특히 날씨가 무덥거나 직사광선이 내리
쬐는 곳에 장시간 주차시 차량 내부 온도가 높
아질 경우 두통이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운전 중에는 가급적 외기모드로 선
택하여 차량 안쪽 공기를 환기시켜 신선한 공
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 VOC
는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의 약
자입니다 .
•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시동을 걸 때나 , 여름철
에 에어컨 등을 가동시킬 때는 평상시 보다 엔
진 회전수 (rpm)가 높아 , 차량을 움직일 경우에
는 평상시보다 차량이 빠르게 움직일 수 있으
므로 특히 주의하십시오 .
• 임의로 원격 시동 장치 등 전기 , 전자장치를 장
착하거나 무단으로 차량을 정비 , 개조할 경우
에는 차량의 작동에 문제가 생겨 예기치 못한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
• 차내에서 전파를 사용하는 전화나 무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승객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
으며 ,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에 영향을 끼쳐 차
량이 오작동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 잠시 차에서 떠나 있을 때라도 의외의 발진 위
험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
시오 .
• 정차 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를 밟고 주차 브
레이크를 걸어 놓으십시오 .
• 차량내에는 고가의 소지품이나 귀중품을 넣어
두지 마시고 , 차량을 떠날때는 항상 모든 도어
와 트렁크를 잠그십시오 .
• 차량 언더코팅을 위해 배기계 탈 /부착시 진동
흡진기 (배기계 행거 고무류 )의 정렬편차가 발
생되면 진동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언더코팅 후 진동흡진기 정렬상태를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
기타 주의 사항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172012-07-05 오전 11:3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