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2
• 1 일 1 회 운행 전 점검을 하십시오 .
• 차량 하부의 누유 , 누수 등을 점검하십시오 .
• 엔진 룸을 열고 냉각수 , 각종 오일 및 벨트류
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십시오 .
• 일상 점검은 7 장 ,
「일상
점검 항목
」
내용을 참
조하여 점검하십시오 .
• 차량 외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십시오 .
1일 1회 일상 점검 실시
OMG015008
엔진룸을 열고
차를 평평한 장소에 주차시킨 후, 엔진 시동을 끄고 5분 후 에 점검하십시오.
오일 레벨게이지를 뽑아 오일이 최대선과 최소선 사이에 있는지 점검하십시오. 브레이크 리저버 탱크 내의 브레이크 액 양이 규정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부족하면 보충하고, 급격히 감소되었다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라디에이터와 호스에서 냉각수 가 새지 않는지 점검하십시오.
정기 점검 주기표의 점검 및 교환
시기에 따라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에서 점검 및 교체를 받으십시오. 엔진이 차가울 때 냉각수 보조탱
크의 냉각수 양이 최대선과 최소
선 사이에 있는지 점검하고 부족
하면 부동액과 물을 혼합하여 보충하십시오.
라디에이터
호스
엔진 오일 점검 브레이크 액 점검
냉각수량 점검벨트류 점검냉각수 누수 점검
최대 최소
최대
최소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22012-07-05 오전 11:35:18
Page 10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3
• 타이어는 본 차량에 적합한 규격의 타이어를
사용하시고 , 바닥면과의 접지상태 확인 및 적
정 공기압을 유지하십시오 . 임시 타이어의 공
기압도 수시로 점검하십시오 .
• 항상 적정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하십시오.
• 타이어 공기압 부족 및 고속 주행시 스탠딩 웨
이브 현상으로 타이어가 순간적으로 터지게
되면 차량 전복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장거리
및 고속 주행 전에 반드시 공기압을 점검 ·보충
하십시오 .
알아두기
스탠딩 웨이브( Standing Wave ) 현상 이란?
일반적으로 주행 시 타이어는 압착되었다
가 회복되는 것이 반복되는데, 공기압이 부
족한 상태로 고속 주행을 하게 되면 압착이
많이 되고 회복이 미처 덜 된 상태에서 다
시 노면과 타이어가 닿게 됩니다. 이 현상
이 계속되면 반복되는 변형으로 타이어가 단시간에 파열됩니다.
규격타이어 장착 및 타이어 공기압 수시 점검 운전석에 앉아서
계기판 각종 정보의 이상 유·무 및 연 료가 적정한지 점검합니다.
페달을 가볍게 밟아서 평
상시 사용 때 보다 간극이
초과하거나 줄어들면 즉
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에서 점검 및 수리 받으십시오.
주차브레이크를 힘껏 잡아 당겨 멈출때까지 노치수가 적당한지 점검합니다.(표준치 : 7~8)
계기판 점검
주차 브레이크 점검폐달류 점검
이상이 있으면 서비스센터에서점검을...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32012-07-05 오전 11:35:19
Page 11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4
• 운전할 때 하이힐 등 운전하기 불편
한 신발을 신지 마십시오 . 가속 페
달 , 브레이크 페달 및 클러치 페달
등의 조작능력이 저하되어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
• 주차 브레이크를 풀 때에는 차량이 움
직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브레이크 페
달을 확실히 밟으십시오 .
경 고
올바른 운전자세
1JBA1003
올바른 운전자세가 되도록 운전석과 스티어링 휠
을 조절하십시오 .
바람직한 운전자세는 좌석에 깊숙히 앉아 브레이
크 페달을 끝까지 밟았을 때 무릎이 약간 굽혀지
고 , 손목이 스티어링 휠의 가장 먼 곳에 닿아야 합
니다 . 또한 , 헤드레스트의 높이가 조절되는 차량
인 경우는 운전자의 귀 위쪽 헤드레스트 중심에
올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를 조절하십시오 .
좌석, 스티어링 휠, 미러 조정은 출발전에
• 좌석, 스티어링 휠, 미러는 출발 전에 조절하 시고 주행 시는 절대로 조작하지 마십시오.
• 내·외측의 미러를 조정하여, 충분한 시야를 확보하십시오.
•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은 반드시
주행 전에 신체에 알맞게 조절하십시오 .
• 모든 게이지 및 경고등을 확인하십시오 .
•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브레이크 경고등이
꺼지는지 확인하십시오 .
• 차 주위에 사람이나 물체 등이 없는지 확인하
십시오 .
운전석 주변은 항상 깨끗이
HLZ1002
• 운전석 주변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하십시오 .
빈 깡통 등이 페달 밑으로 굴러 들어갈 경우 페
달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
• 바닥 매트는 페달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너무 두껍지 않으면서 바닥에 고정되
는 제품이어야 합니다 .
• 실내에는 화물을 좌석높이 이상으로 적재하지
마십시오 .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42012-07-05 오전 11:35:19
Page 12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5
̰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벨트 착용
모든 좌석의 탑승자들은 가까운 거리라도 주행전 에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
1 . 탑승자가 기대거나 구부리지 않고 좌석에 깊
게 걸쳐 앉아 , 등을 등받이에 기대어 똑바로 앉
은 상태여야 합니다 .
2 . 안전벨트의 어깨띠 부분은 가슴 부위를 지나
도록 해야 합니다 .
3 . 안전벨트가 꼬이거나 짓눌린 상태에서 주행하
지 마십시오 .
4 . 안전벨트의 골반띠 부분이 부드럽게 골반 부
분을 지나도록 해야 합니다 .
5 . 안전벨트를 버클에
‘찰칵
’
소리가 날 때까지 확
실하게 밀어 넣으십시오 .
탑승자 전원 안전벨트를 착용하십시오.
• 3 점식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없는 어린이의 경
우는 안전벨트를 직접 사용하지 말고 뒷좌석
에 어린이 전용 보조시트에 앉히십시오 .
• 주행 중 어린이를 무릎에 앉히거나 팔로 안고
있지 마십시오 . 경미한 충돌 사고라 할지라도
어린이를 놓칠 수 있습니다 .
• 임신 중의 여성이나 환자는 급정차 , 충돌 사고
등의 경우 복부 등에 강한 힘을 받을 수 있으므
로 의사와 상의하여 사용하십시오 .
̰ 기타 주의사항
1
. 벨트의 어깨띠를 팔 밑으로 하거나 등뒤로 하
지 마십시오 .
2 . 안전벨트의 어깨띠가 목이나 얼굴을 지나지
않도록 하십시오 .
3 . 벨트 하나로 한번에 두 사람 이상이 함께 착용
하지 마십시오 .
4 .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로 좌석 등받이를 뒤
로 눕히면 만일의 경우 , 안전벨트 아래로 신체
가 빠져나와 안전벨트에 목이 걸리거나 심각
한 부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
1O-BELT02O-BELT03-1O-BELT01
안전벨트 착용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52012-07-05 오전 11:35:20
Page 13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6
에어백 관련 주의사항
̰ 에어백은 보조 안전장치입니다.
에어백은
안전벨트에 의한 충격보호기능을 보조
하기 위해 개발된 보조안전장치의 하나입니다 .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일지라도 반드시 안전벨트
를 착용해야 충돌이 발생한 경우 에어백이 제공
하는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 안전벨트를 착
용하지 않으면 충돌이 발생한 경우 실명 , 상해 , 사
망 등의 신체적 불이익을 입을 수 있습니다 .
에어백이 작동될 때는 탑승자의 상체와 에어백과
의 거리가 멀수록 안전하기 때문에 차량운행 전
운전자나 승객은 가능한 한 좌석을 뒤로 이동시
켜 앉으십시오 .
▶
차량운행 상태에서 탑승한 아이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사항을 지키십시오.
•아이들은 항상 뒷좌석에 앉히십시오 .
※ 동승석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은 동승석에 유아용 보호장치를 설치하지 마십시오. 특
히 차량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설치 시
에어백 작동에 의해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
할 수 있습니다. (그림 참조) • 약 10 -15 세 정도 (신장에 따라 다름 )의
어린이를 동승석에 앉혀야 할 경우 반
드시 안전벨트를 착용시키고 가능한 한
좌석을 뒤쪽으로 밀어 에어백과 거리
를 멀리하도록 하십시오 .
• 아이를 안고 타지 마십시오 .
특히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에서 동승석
탑승시 아이를 안고 탑승하면 더욱 위
험합니다 .
• 유아 탑승 시에는 반드시 뒷좌석에 유
아용 보호장치를 장착하여 앉히십시오 .
̰ 유아/어린이의 에어백 관련 주의사항
OHM028008OHM028009
OHM028010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62012-07-05 오전 11:35:20
Page 14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7
휴식을 취하지 않고 계속 운전하면 졸음이 오게
되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
장시간 운전 할 경우에는 안전을 위해 최소한 2 시
간마다 휴식을 취하십시오 .
HLZ1008
음주·과로 운전 금지
어린이나 유아 및 임산부 , 노약자는 동승석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동승석에는 절대
앉히지 마십시오 . 또한 유아용 보조시트도
장착하여 운행하지 마십시오 . 사고시 에어
백 팽창충격으로 안면부상 및 사망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
경 고
HLZ1019
장시간 주 ·정차할 때에는 반드시 시동을 끄
십시오 .
무의식 중 변속레버를 움직이거나 가속 페
달을 밟아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 가속 페달을 계속 밟고 있을 경우 오
버히트 (과열 ), 엔진 및 배기관의 이상과열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질식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장시간 주차 및
정차 중에 창문을 닫은 채로 차 안에 계시거
나 수면을 취하지 마십시오 . 특히 시동을 걸
고 에어컨이나 히터를 켠 상태로 밀폐된 차
안에 오래 있을 경우 질식사의 위험성이 매
우 높아집니다 .
경 고
주·정차 중 차내 수면 금지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72012-07-05 오전 11:35:21
Page 15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8
• 음주 운전은 절대로 하지 마십시오 .
음주는 운전자의 판단 , 시력과 근육 조절
을 저하시키고 , 소량일지라도 운전자의
반사신경 , 인식 , 판단에 영향을 미칩니
다 . 그렇기 때문에 , 운전자 뿐만 아니라
승객 , 상대차량 탑승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
• 약물을 복용하고 운전하는 것은 복용한
약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음주운전 보다
도 위험할 수 있으므로 약물 복용 후에는
차량을 운전하지 마십시오 .
경 고
• 가연성 물질을 싣지 마십시오 .
• 여름철과 같이 차안의 온도가 급상승하는 경
우에는 밀폐된 차안에 가스라이터 등 인화성 ·
폭발성 물질을 두지 마십시오 . 폭발할 수 있습
니다 .
인화성 · 폭발성 물질 차내 방치 금지
OMC015002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마십시오 .
대단히 위험합니다 . 특히 , 어린이와 함께 탈 경우
는 항상 주의하십시오 .
창문 밖으로 손이나 얼굴 등을 내밀지 말 것
1JBA1008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82012-07-05 오전 11:35:21
Page 16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9
주행 중 휴대전화의 사용은 법으로 금지되
어 있습니다 .
주행 중 운전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
은 매우 위험합니다 .
휴대전화는 반드시 차량을 안전한 곳에 주 ·
정차시킨 후 사용하십시오 .
경 고
HLZ1013
주행 중에는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
브레이크의 성능저하 및 스티어링 휠 조작이 불
가능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 차내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오디오로 부터 잡
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오디오의 고장이
아닙니다 .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전화를 오디오에
서 될 수 있는 한 멀리 떨어져서 사용하십시오 .
차내에서 휴대전화나 무전기 등을 사용할 경우는
별도의 외부안테나 또는 핸즈프리가 장착된 차량
은 핸즈프리를 사용하십시오 . 무전기 자체의 내
부 안테나를 사용하시면 차량의 전기 장치에 영
향을 주어 안전운행에 나쁜 영향을 줄 수가 있습
니다 .
주행 중 엔진 정지 금지정차 또는 주차 중 휴대전화 사용 요령
OGH019005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92012-07-05 오전 11:3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