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6 of 240
시동 및 주행
5-84
0악천우 시의 주행
•비나 눈이 내릴 때는 특히 차가 미끄러지기 쉬
우므로 급브레이크 조작을 하지 마십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젖을 정도로 물이 깊은 곳은
피해서 주행하십시오. 브레이크 장치가 젖으
면 제동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물이 고인 곳
을 주행하거나 세차한 후에는 반드시 브레이
크 성능을 점검하십시오. 물기 있는 도로를 주
행한 후에는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천
천히 운행하는 동안 여러 번에 걸쳐 브레이크
를 밟아 건조시키십시오.
•안개가 끼었거나 그 밖의 기상 상태로 인하여
시계가 나쁠 때는 차의 조명을 켜고 속도를 충
분히 낮추어 운행 하십시오.
•폭우가 내릴 때는 시야를 확보하기가 더 어려
워 제동 거리가 더 많이 필요하므로 천천히 운
행하십시오.
•와이퍼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관리하십시오.
와이퍼에 줄무늬가 생기거나 유리창이 잘 닦이
지 않으면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십시오.
•타이어의 상태가 좋지 않은데 젖은 길이나 빗
길에서 급정차하면 타이어가 미끄러져 사고
가 날 수 있습니다. 타이어 상태를 항상 양호
하게 관리하십시오.
0고속도로 주행
•운행전 점검을 하십시오.
특히 연료, 냉각수, 엔진오일, 벨트류, 타이어
공기압 등을 점검하십시오.
•안전벨트는 반드시 착용하십시오.
•고속도로 진입 시는 방향지시등을 켜고 가속
차선에서 충분히 가속한 후 본선 차량의 속도
에 맞춰 진입하십시오.
7JBB33037JBB3303OMG015008OMG015008
Page 98 of 240
시동 및 주행
5-86
0여름철 운행
•여름철에는 특히 엔진상태를 항상 점검하십시오.
•냉각수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라디
에이터에 흙, 먼지, 벌레 등 오물이 끼지 않도
록 점검하십시오.
라디에이터가 불결하면 냉각효과가 떨어져 엔
진 과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추운 날씨에는 여름과 달리 주의가 더욱 필요
합니다. 다음사항을 운행전 점검시에 추가로
점검하십시오.
1. 차의 밑부분 둘레에 있는 얼음 덩어리를 부
품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제거
하십시오.
2. 엔진을 시동하고 각종 페달이 평상시처럼
움직이는지 확인하십시오.
3. 앞·뒤 유리의 얼음이나 눈은 제거하십시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에 얼어붙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십시오.
OBH058040OBH058040
•타이어 체인, 창문닦이, 유리창 성에 제거기,
모래나 소금부대, 경고판 그리고 야삽과 점프
케이블 등의 비상장비를 갖고 다니십시오.
•부동액 및 와셔액의 농도를 점검하십시오.
•엔진 시동 후에는 적당한 워밍업을 한 후 운행
하십시오. 추운 날씨에 엔진이 냉각된 채로 운
행하면 엔진에 큰 무리가 갑니다.
•배터리와 케이블 상태를 점검하십시오. 날씨
가 추우면 배터리 용량이 저하되어 엔진 시동
이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엔진오일 점도 수준을 점검하십시오.
겨울철 운행
Page 144 of 240
정기 점검
7-10
일상 점검
일상 점검이란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람이 매일 차량을 운행하기 전에 행하는 점검을 말하며 이는 안전 운행에 필요한 최소한의 점검이고 운전자의 의무이기
도 합니다. 반드시 실시하십시오.
점검 항목 점 검 내 용
이상 유무 확인· 전일 운전시 이상이 있던 부분은 정상인가
엔진룸을 열고
엔 진
· 시동이 용이하고 연료, 엔진오일, 냉각수가 충분한가
· 누수, 누유는 없는가
· 구동벨트의 장력은 적당하고 손상된 곳은 없는가
변 속 기· 누유는 없는가
기 타· 브레이크액, 와셔액 등은 충분하고 누유는 없는가
차의 외관에서
엔 진· 배기가스의 색깔은 깨끗하고 유독가스 매연의 배출이 없는가
완 충 스 프 링· 스프링의 연결부위에 손상, 균열이 없는가
바 퀴
· 타이어의 공기압은 적당한가
· 타이어의 이상마모 또는 손상은 없는가
· 휠너트(또는 볼트)의 조임은 충분하고 손상은 없는가
램 프· 점멸이 확실하고 파손되지 않았는가
등 록 번 호 표· 번호표가 파손되지 않았는가
Page 146 of 240
정기 점검
7-12
정기 점검
차량을 주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아닌 곳에서 사용했다면 통상 조건의 점검
주기를 따르십시오.
그러나 만약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사용했다면 가혹 조건의 점검 주기를 따
르십시오.
1. 짧은 거리를 반복해서 주행했을 때
2. 엔진 내 모래나 먼지 유입이 많을 경우
3. 공회전을 과다하게 계속 시켰을 때
4. 교통 체증이 심한 곳을 주행하는 경우
5. 험한 길(모래자갈길,눈길,비포장길)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6. 산길, 오르내리막길 등의 주행빈도가 높은 경우
7. 경찰차, 택시, 상용차, 견인차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
8. 고속주행(170km/h이상)의 빈도가 높은 경우
9. 잦은 정지와 출발을 반복으로 주행 할 경우
10. 소금, 부식물질 또는 한랭지역을 운행하는 경우
위와 같은 조건에서 차량을 운행했다면, 정기 점검 주기보다 더 자주 점검,
교체, 보충하여야 합니다.
0통상조건
다음의 통상조건 점검주기는 주행거리에 따른 주기를 기본으로 하였으나,
일부 부품은 주행거리와 함께 시간경과에 따라서도 점검 또는 교체해야 하
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거리/시간 병기 항목은 차량의 주행거리와 경과시간 중 먼저 도
래하는 시점에 해당 부품의 점검이나 교체를 해야 하므로 주의하십시오.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구동벨트
•가솔린엔진의 밸브 간극(일부 차종에 한함)
Page 147 of 240
정기 점검
7-13
일일 점검 항목
□ 각종 오일 누유, 냉각장치의 누수 여부 점검
□ 냉각수량 점검 및 교체 (최초교체 : 20만km 또는 10년, 최초 교체후
매 40,000 km 또는 매2년 마다 교체)
□ 배터리 상태 점검
□ 브레이크 액 점검
□ 시동 불능 시(재시동 3회 이내 제한) 점검*5
□ 앞 바퀴 정렬 상태 점검(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조정)
□ 엔진 부조 시 점검*5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점검
□ 연료라인 및 연결부 누유 점검
□ 연료량 점검(연료부족 경고등 점등시 즉시 주유)*1
□ 연료호스, 연료 주입구 캡 점검
□ 증발가스 호스 점검
□ 브레이크 페달 유격(상태에 따라 수시 점검 및 조정) 점검
□ 타이어 공기압, 마모상태 점검
10,000km 점검 항목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 (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15,000km 점검 항목
□ 각 진공호스 점검
□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교체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교체(또는 12개월 경과 시)
12개월 마다 점검 항목
□ 에어컨 냉매 점검
□ 에어컨 작동 상태 점검
*1 검증되지 않은 연료(첨가제 등)은 주유하지 마십시오.
*5 엔진부조나 과도한 재시동시 촉매장치 등 배출가스 관련 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
니다.
※ 상기 연료관련 점검/교환 주기는 국내석유사업법에 명시된 경유/휘발유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연료
일 경우 해당됩니다.
※ 점검 :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환
▶가솔린/LPI
Page 148 of 240
정기 점검
7-14
20,000km 점검 항목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브레이크 호스 및 라인의 누유, 파손 여부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30,000km 점검 항목
□ 각 진공호스 점검
□ 각종 전기장치 점검
□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교체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로워암 볼 조인트 청소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교체(또는 교체 후 12개월 경과 시)
□ 연료 탱크 에어필터 점검(가솔린)*4
□ 연료 필터 점검(가솔린)*2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2 차량의 연료필터 막힘에 의한 출력저하, 시동성 저하, 연료압력 이상등의 문제가 발생시 즉시 필터를
교체하십시오.
*4 연료 탱크 에어필터의 오염시 주유가 안될 수 있으니 반드시 점검하십시오.
※ 점검 :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환
Page 149 of 240
정기 점검
7-15
40,000km 점검 항목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브레이크 호스 및 라인의 누유, 파손 여부 점검
□ 브레이크 액 교체
□ 에어클리너 필터 교체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 (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50,000km 점검 항목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45,000km 점검 항목
□ 각 진공호스 점검
□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교체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교체(또는 교체 후 12개월 경과 시)
※ 점검 :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환
Page 150 of 240
정기 점검
7-16
60,000km 점검 항목
□ 각 진공호스 점검
□ 각종 전기장치 점검
□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교체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로워암 볼 조인트 청소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브레이크 호스 및 라인의 누유, 파손 여부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교체(또는 교체 후 12개월 경과 시)
□ 연료 탱크 에어필터 점검(가솔린)*4
□ 연료 필터 점검(가솔린)*2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캐니스터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 (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70,000km 점검 항목
□ 도어 체커, 각 잠금장치, 각 힌지부 윤활 점검
□ 드라이브 샤프트와 부트 점검
□ 배기 파이프(머플러) 청소 및 조임 상태 점검
□ 브레이크 패드 및 디스크 점검
□ 에어클리너 필터 점검
□ 조향계통 각 연결부, 기어박스, 부트 손상 여부 점검
□ 주차 브레이크 행정 점검
□ 타이어 위치 교환
□ 현가 장치 (볼트 및 너트 조임 토크) 점검
□ 휠 너트의 조임 상태 점검
75,000km 점검 항목
□ 각 진공호스 점검
□ 공조장치용 에어 필터 교체
□ 엔진오일 및 오일필터 교체(또는 교체 후 12개월 경과 시)
*2 차량의 연료필터 막힘에 의한 출력저하, 시동성 저하, 연료압력 이상등의 문제가 발생시 즉시 필터를
교체하십시오.
*4 연료 탱크 에어필터의 오염시 주유가 안될 수 있으니 반드시 점검하십시오.
※ 점검 : 조정, 보충, 청소 또는 필요시 교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