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편의 장치
•운전석 도어는 도어 잠금 버튼(1)이 「잠금」
위치에 있어도 도어 핸들(3)만 잡아 당기면
도어 잠금 버튼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열립
니다.
•키를 시동 스위치에 꽂아둔 상태에서 도어
를 열고 도어 잠금버튼이나 중앙 도어 잠금
스위치로 잠금하면 다시 해제되며 잠금되
지 않습니다.
•차가 움직일 때는 항상 도어를 잠가 주행 중
에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십시오. 도어를
잠가 두면 차가 정차 중이거나 서행 할 때,
타인이 도어를 열고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차에서 내릴 때는 후방으로부터 오는 차
량이나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 등에
주의하여 도어를 여십시오. 갑자기 도어
를 열면 위험합니다.
•주행전에 도어가 확실히 닫혀 있는지 확
인하십시오. 주행 중에 도어가 열리면
매우 위험합니다.
•차 안에 어린이나 동물을 남겨 두지 마
십시오. 모든 도어가 닫혀있는 차량 실
내는 매우 덥거나 추워서 질식사의 위험
이 있으므로 혼자 힘으로 차 밖으로 나
올 수 없는 어린이나 동물에게는 치명적
인 부상이나 사망 사고로 이어질 수 있
습니다.
경 고
0중앙잠금장치
차 안에서 도어 LOCK/UNLOCK 스위치 또는 리
모컨 키의 도어 잠금 버튼을 이용하여 운전석 도
어와 동승석 도어를 잠금 및 해제 할 수 있습니다.
OQT045004OQT045004
주 의
잠금과 열림을 교대로 연속조작하면 보호
회로가 작동되어 일시적으로 작동되지 않
는 수가 있습니다. 이때 잠시후 조작하여 주
십시오.
주 의
도어 및 도어 핸들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마
십시오. 파손될 우려가 있습니다.
4-38
편의 장치
▶ Anti-Lock Brake
System(ABS) 경고등
시동을 「ON」하면 약 수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됩
니다.
수초후에도 계속 경고등이 점등되면 ABS장치
에 이상이 발생한 것이므로 가까운 자사 직영 서
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점검 및 정비를 의뢰
하십시오.
▶주행중에 ABS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1) 안전한 장소에 차를 세우고 엔진을 정지 시킵
니다.
(2) 다시 엔진을 시동하여 경고등이 점등되었다
가 수초 후 소등되면 이상이 없습니다.
경고등이 소등되지 않는 경우 또는 주행 후 다시
경고등이 점등되는 경우에는 ABS 장치의 고장
이므로 자사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OQT055005OQT055005
▶ 브레이크 고장 경고등
브레이크 고장 경고등은 브레이크 액 부족 또는 브
레이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면 점등됩니다. 경고
등이 점등되면 우선 브레이크 및 클러치 액 탱크를
확인하십시오. 브레이크 및 클러치 액 탱크에 브레
이크 액이 충분히 있거나 브레이크 액 보충 후에도
경고등이 소등되지 않으면 즉시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을 받으십시오.
WQT-242WQT-242WQT-238WQT-238
주 의
주행 전에 경고등이 꺼졌는지 확인 하십시오.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는 브레이크가 제
대로 작동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그대
로 주행해서는 안됩니다.
경 고
시동 및 주행
시동 스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시동 스위치 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엔진 시동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
엔진 정지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엔진 크랭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8
변속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9
가속페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0
클러치 페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0
브레이크 페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1
주행중의 브레이크 사용법 ...............................................5-11
주차 브레이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2
표준형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2
접이식 주차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3
더블 캡 차량 주차 브레이크 레버 조작방법 . . . . . . . . . . . . . . . . . . . . . .5-13
주차브레이크의 유격 ......................................................5-13
ABS(Anti-Lock Brake System) .........................................5-14
ABS 경고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4
주행중에 ABS 경고등이 점등되었을 때는 .......................5-15
배기 브레이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6
차체 자세 제어 장치(VDC) .................................................5-17
VDC 작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7
운전자 VDC 작동 정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8
표시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8
VDC 중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8
VDC OFF(작동 정지) 사용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9
엔진 공회전 (IDLE) 스위치 ................................................5-20
자동 정속 주행 장치(오토 크루즈) ......................................5-20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LDWS) ...........................................5-22
차선이탈 경보시스템 비작동 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4
언덕길 발진 보조 장치 ........................................................5-25
P. T . O 스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6
듀얼 파워 스위치 ...............................................................5-27
매연 필터 장치(DPF) 수동재생 스위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8
안전운전요령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9
야간운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9
여름철 운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0
겨울철 주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0
안전 운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5
악천후시, 험로에서의 주행 ..............................................5-36
고속도로의 주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7
화물적재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8
과적 주행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8
경제적인 운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39
최고속도 제한장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0
5
5-2
시동 및 주행
▶ACC
조향 핸들이 잠기지 않고 엔진에 시동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전기 장치를 작동할 수 있
습니다.
▶ON
엔진에 시동을 걸기 전에 경고등을 점검할 수
있고, 시동을 건 후에 모든 전기장치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엔진에 시동이 걸린 후 엔진이 정상적으로 작
동하는 상태임을 표시하는 위치입니다.
엔진에 시동이 걸린 상태가 아니면, 방전이
될 수 있으므로 시동 스위치를 「ON」 위치에
두지 마십시오.
0시동 스위치 위치
▶LOCK
키를 뽑고 조향 핸들을 좌우로 조금씩 움직이
면 조향 핸들이 고정되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기는 위치입니다.
키는 「LOCK」 위치에서만 뺄 수 있습니다.
시동 스위치를 「LOCK」 위치로 돌리고자 할
때는 「ACC」 위치에서 키를 안쪽으로 누른 상
태에서 「LOCK」 위치로 돌리십시오.
시동 스위치
OQT055001OQT055001
주 의
「LOCK」 에서 「ACC」 위치로 시동 스위치
가 돌려지지 않으면, 조향 핸들을 오른쪽이
나 왼쪽으로 조금씩 움직이면서 시동 스위
치를 돌리십시오.
5-3
시동 및 주행
5
▶S (START)
엔진에 시동을 걸고자 할 때 시동 스위치를 「S」
위치까지 돌리십시오. 시동이 걸리면 바로 키에
서 손을 떼고 10초 이상 「S」 위치에서 키를 잡
고 있지 마십시오.
키에서 손을 떼면 시동 스위치는 자동으로 「ON」
위치로 되돌아갑니다.
주 의
엔진 정지 중 시동 스위치를 장시간 「ACC」 나
「ON」의 위치에 두면 배터리가 방전됩니다.
•키에는 아래와 같은 열쇠고리를 사용하
지 마십시오. 운전시 무의식 중에 무릎
으로 열쇠고리를 밀면 열쇠고리 무게로
인해 키가 「ACC」 위치로 되어 엔진이
정지될 위험이 있습니다.
1. 지갑형 열쇠고리
2. 열쇠고리에 다량의 열쇠 장착
3. 열쇠고리에 무거운 액세서리 부착
등
•운전 중에는 올바른 자세로 좌석에 앉으
십시오.
경 고
OQT055002OQT055002
•운행중 키를 「LOCK」 또는 「ACC」 위치
로 놓지 마십시오. 조향 핸들, 브레이크 기
능과 방향 제어 능력이 상실되어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운행중 조향 핸들 사이로 시동 스위치
또는 각종 스위치를 조작하지 마십시오.
손이나 팔로 차량을 제어할 수 없게 되
어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운전석 주변에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놓
지 마십시오. 운전을 방해할 뿐만 아니
라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시중에서 임의 가공된 키를 사용하지 마
십시오. 시동시 키 리턴(START→ON)
이 되지 않아 시동 후에도 시동 모터가
계속 작동되어 시동 모터 손상 및 배선
의 과부하로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
니다.
경 고
5-5
시동 및 주행
5
주 의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초기 rpm(분당
엔진 회전수)이 다소 높을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엔진을 예열(공회전)시켜 엔진회전
이 정상범위로 떨어진 후에 출발 하십시
오.
•키를 10초 이상 「START」에 위치시키지
마십시오. 엔진이 한번에 시동되지 않을
때는 약 30초간 기다린 후 재시도 하십
시오.
•고속 공회전을 삼가 하십시오. 10분이상
고속 공회전시 배기장치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주 의
동절기에는 메인필터와 프리필터에 연료
히터 장치가 있어 히터 가열 시간이 필요합
니다. 시동 키를 「ON」 후 계기판의 예열 표
시등이 꺼진 것을 확인한 후 시동을 거십시
오. 공회전을 충분히 하여 결빙된 연료가 필
터에 내장된 히터에 의해 해동 된 후 차를
출발해야 합니다. 시동 후 곧바로 출발하게
되면 연료 필터내 결빙된 연료가 완전히 녹
지 않아 연료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엔진 출력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차량 출발 직후 급가속을 하지 마십시오.
•주행중 「ON」 위치 이외에는 절대로 돌
리지 마십시오.
「ACC」로 되면 엔진의 시동이 꺼지기
때문에 브레이크 배력 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브레이크의 기능이 매우 나쁘게 됩
니다.
「 ACC」로 되면 경고등 및 계기등이 작
동되지 않아 위험할 뿐만 아니라 전기
계통의 고장 원인이 됩니다.
키를 「LOCK」위치에 놓으면 조향 핸들
이 고정되어 위험합니다.
•차에서 떠날 때는 안전을 위해 키를 뽑
아 지참 하십시오.
•주위가 밀폐되어 환기가 되지 않는 공간
에서 장시간 엔진 시동을 걸어 두지 마
십시오. 배기가스에 의해 중독될 위험이
있습니다.
경 고
5-7
시동 및 주행
5
▶엔진의 시동이 어려운 경우
•연료 필터 내 연료가 빙결되어 시동이 안 걸
릴 수 있으므로 연료 필터 내 연료가 충분
히 데워질 때까지 시동 스위치를 「ON」 상
태로 기다렸다가 시동을 겁니다.
• 자동차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연
료 계통에 공기가 들어가 엔진의 시동이 걸
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시동이 걸리지 않
는 경우는 연료계통의 공기빼기를 해야 합
니다.
•10초 이내에서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 또는 15초 경과해도 엔진의 시동이
걸리지 않는 경우는 시동 스위치를 「OFF」
하여 잠시 멈추고 (약 30초) 다시 한번 엔
진의 시동을 걸어 주십시오.
• 엔진 시동의 불량여부는 엔진오일의 선정
에도 영향을 끼치므로 꼭 「추천 오일 제원
표」를 참조하시어 지정된 엔진오일을 사
용해주십시오.
주 의
•밀거나 견인에 의해 엔진의 시동을 거는
것은 위험하므로 하지 마십시오.
•연료가 완전히 소모되어 운전할경우, 엔
진 및 연료장치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
으므로, 항상 연료를 보충한 후 주행하
십시오.
0엔진 정지방법
1.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클러치 페달과 브
레이크 페달을 동시에 같이 밟고 계십시오.
2.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
에서 변속기 레버를 「N」(중립)으로 하십시
오.
3.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겨 놓으십시오.
4. 시동 키를 「LOCK」 위치까지 돌려 빼 주십
시오.
OQT055003OQT055003
5-14
시동 및 주행
급제동시나 미끄러운 도로에서 브레이크를 밟은
경우에 차륜은 회전하지 못하고 잠기게 됩니다.
이 경우 조향이 불가능하거나 차량이 회전하여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A B S는 이와 같은
경우 차륜이 회전하지 못하고 잠기는 것을 적절
히 제어하여 조향능력을 유지시켜 차체의 안정
성을 향상시켜 줍니다.
보통의 브레이크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만 하는 것으로 특별한 조작은 필요하지 않지
만 다음 사항에 주의해 주십시오.
(1) ABS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을 보조하는
장치입니다. A B S가 작동된 상태에서도 차량
자세의 안정이나 조향 핸들 조정성에는 한계
가 있으므로 과신하지 말고 안전 운전에 유의
해 주십시오.
(2) 모래길이나 눈길등의 도로에서는 ABS 비장
착차에 비해 제동거리가 길게 되는 수가 있으
므로 차간거리를 충분히 유지해 주십시오.
ABS(Anti-Lock Brake System)
주 의
ABS가 작동되면 브레이크 페달에 미약한
떨림 및 진동을 느끼거나 작동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이것은 ABS가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상은 아닙니다.
HHR3034HHR3034
주 의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위급상황에서
는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동거리는 정상적인 제동거리
보다 더욱 길어집니다.
•접이레버의 적색표시가 보이고, 주차브레
이크 표시등이 점등시는 주차브레이크가
작동상태입니다. 해제하지 않고 주행시
주차브레이크 라이닝 및 드럼이 손상되므
로 반드시 해제 후 주행하여 주십시오.
•출발하기 전에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해제하고 계기판 내에 브레이크 경고등
이 소등되었는지 확인 하십시오.
•주차 브레이크를 완전히 해제하였는데
도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이 켜져 있으면
브레이크 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것이므
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에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운
행하면 주차 브레이크 과열, 주차 브레이
크 패드의 과도한 마모의 원인이 될 수 있
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