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of 383
2-9
안전 및 주의 사항
2
주행 중에는 시동을 끄지 마십시오.
브레이크의 성능저하 및 스티어링 휠 조작이 불
가능하게 되어 매우 위험합니다.
주행 중 엔진 정지 금지 정차 또는 주차 중 휴대전화 사용 요령
OAE026003OAE026003ODH023010ODH023010
차내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면 AVN로 부터 잡음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AVN의 고장이 아닙
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전화를 AVN에서 될
수 있는 한 멀리 떨어져서 사용하십시오.
차내에서 휴대전화나 무전기 등을 사용할 경우
는 별도의 외부안테나 또는 핸즈프리가 장착된
차량은 핸즈프리를 사용하십시오. 무전기 자체
의 내부 안테나를 사용하시면 차량의 전기 장치
에 영향을 주어 안전운전에 나쁜 영향을 줄 수가
있습니다.
주행 중 휴대전화의 사용은 법으로 금지되
어 있습니다.
주행 중 운전자가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
은 매우 위험합니다.
휴대전화는 반드시 차량을 안전한 곳에 주·
정차시킨 후 사용하십시오.
경 고
Page 33 of 383
2-12
안전 및 주의 사항
주차할 때는 반드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은 후 변속레버를 「P」(주차)단에 놓고 바퀴에
고임목을 설치하십시오. 급경사 길에는 주차하
지 마십시오.또한, 습기가 많고 통풍이 잘되지 않
는 차고에 주차하지 마십시오.
주차 시 바퀴에 고임목 설치
OAE026008OAE026008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서 시동이 꺼졌을
때는 주위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아 차
를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시키십시오.
교차로나 철도 건널목을 건널 때
OAE066002OAE066002
•차량에 임의로 배선을 사용 시에는 차량의 성
능 저하 및 손상을 유발하여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AVN 또는 도난 경보 장치, 원격 시동
장치, 카폰이나 무전기 장착 시 임의로 배선
을 사용 시에는 차량의 손상 또는 화재가 날
수 있습니다.
편의장비 추가 장착 시 임의배선 사용 금지
OAE026010OAE026010
Page 35 of 383
2-14
안전 및 주의 사항
꼭 필요한 사항이 있을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
센터 또는 블루핸즈에 문의하십시오.
위험하지 않은 간단한 점검 및 정비 이외에는 반
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이용
차량 정비를 위하여 리프트/잭 이용시, 지정된 잭
업 위치에서 실시하십시오. 지정된 잭업 위치 외
리프팅을 할 경우 사이드실몰딩이 파손될 수 있
습니다.
사고예방을 위하여 리프트/잭 이용시, 반드시 안
전이 확보된 평탄한 곳에서 실시하십시오. 주차
브레이크를 걸고 변속레버를 자동변속기 차량은
「P」(주차)에 놓으십시오. 리프팅 미실시 바퀴에
고임목을 설치한 후 리프팅하십시오.
자세한 내용 은 6장 「타이어 펑크 시의 조치-예
비타이어」를 참고하십시오.
차량에 최적인 자사 순정부품을 사용해야만 안
전하고, 최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순정부품은 자사가 품질 및 성능을 보증하는 부
품입니다.
비순정부품의 사용은 차량의 성능 저하와 고장
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자가정비시 주의 사항 순정부품의 사용
ODH023024ODH023024ODH023023ODH023023
•스티커•포장
•홀로그램
OAE026013OAE026013
Page 36 of 383

2-15
안전 및 주의 사항
2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의 경우라도, 수시로
차량을 바꿔가며 운전을 할 때는 차량간의 페
달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페달을 오조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가속 페달과 브레이
크 페달의 위치를 오른발로 확인하십시오.
•동력발생장치와 제동장치는 별개의 장치이므
로, 오조작 및 차량의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라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차량은 멈추게
되므로 침착하게 행동하십시오.
•차가 눈이나 진흙, 모래 등에 빠져 움직이지
못할 경우 차를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해 과도
하게 가속 페달을 밟으면 타이어가 슬립되어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타이어가 슬
립되는 상태에서 지속적인 가속 페달을 밟는
것은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이때에는
견인 등의 다른 방법으로 조치하십시오.
•자동변속기 오일 교환 및 보충은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실시하
십시오. 비순정부품 오일의 사용은 변속기 고
장 및 성능의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
로 인한 자동변속기의 품질은 보증이 불가능
합니다.
•구입 후 1년 이내의 신차의 경우 실내에 인체
에 해로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s)이 존
재할 수 있으므로 탑승 시 항상 모든 창문을
열고 충분히 환기를 시키십시오. 특히, 날씨
가 무덥거나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곳에 장시
간 주차 시 차량 내부 온도가 높아질 경우 두
통이나 매스꺼움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운
전 중에는 가급적 외기 모드를 선택하여 차량
안쪽 공기를 환기시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VOCs는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의 약자입니다.
• 유리창에 썬팅을 할 경우(특히 금속성 썬팅지)
하이패스 시스템(ETCS) 통신불량 및 라디오
수신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과도한 차안조
도의 변화로 인해 전조등 자동 점등 장치가 오
작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썬팅작업시 작업용
액이 전기, 전자기기에 흘러 들어 기기 오작동
및 작동불량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과도한 썬팅을 할 경우, 야간 주행이나 우천
주행 시 시인성이 저하되어 예기치 못한 위험
을 초래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임의로 원격 시동 장치 등 전기, 전자장치를
장착하거나 무단으로 차량을 정비, 개조할 경
우에는 차량의 작동에 문제가 생겨 예기치 못
한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차내에서 전파를 사용하는 전화나 무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승객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
으며,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에 영향을 끼쳐 차
량이 오작동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잠시 차에서 떠나 있을 때라도 의외의 발진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시오.
•정차 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주
차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놓으십시오.
•차량내에는 고가의 소지품이나 귀중품을 넣
어 두지 마시고, 차량을 떠날때는 항상 모든
도어와 테일게이트를 잠그십시오.
•차량 유리에 액세서리를 부착하면 운전에 방
해되거나, 흡착부가 렌즈의 역할을 하여 차량
내부 부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는 차량출동 시 액세서리가 분리되어 상처
를 입는 등 예기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
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주의사항
Page 52 of 383

4-15
편의 장치
4 0경보 보류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경보가 울리지 않고 경
보를 보류합니다.
•리모컨키 또는 스마트키의 테일게이트 열림
버튼()을 눌러 테일게이트를 열 때
•스마트키가 감지되는 거리에서 테일게이트
핸들스위치를 눌러 테일게이트가 열릴 때
테일게이트가 열려 있더라도 도어나 후드 쪽은
경계 상태가 계속 유지되며, 테일게이트를 닫으
면 테일게이트도 경계상태가 됩니다.
0경계 및 경보 상태 해제
경계 및 경보 상태에서는 리모컨키 또는 스마트
키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 해제를 하십시오.
비상경고등이 2회 깜빡여 (스마트키는 확인음도
2회 울림) 경계 상태나 경보 상태가 해제됨을 알
려줍니다. 이때 약 30초 이내에 도어(테일게이트
포함)를 열지 않으면 다시 도어(테일게이트 포
함)가 잠기면서 경계 상태나 경보 상태가 됩니다.
•리모컨키 또는 스마트키의 도어 잠금 해제 버
튼()을 눌러 모든 도어가 잠금 해제될 때
•스마트키가 감지되는거리에서 앞좌석 도어 바
깥 손잡이에 있는 잠금/해제 버튼을 눌러 모든
도어가 잠금 해제될 때
0경보 상태
경계 상태에서 리모컨키 또는 스마트키(또는 도
어 바깥 손잡이의 잠금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도
어(테일게이트 포함)나 엔진 후드 등을 열면 약
27초 동안 비상경고등이 깜빡이고 경보음이 울린
후 10초 동안 멈추는 주기로 2회 반복합니다. 경
보를 한 후에도 경보 상태가 풀리지 않으면 경보
가 다시 시작됩니다.
주 의
•리모컨키 또는 스마트키를 분실했을 때
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나 블루핸즈
에 연락하십시오.
•경계 상태에서 일반 키(또는 비상 키)로
도어를 잠금 해제하고 연 경우 비상경고
등이 깜빡이고 경보음이 울리므로 경계
상태에서는 반드시 리모컨키 또는 스마
트키(또는 도어 바깥 손잡이의 잠금 버
튼)로 도어를 잠금 해제하고 여십시오.
경계 상태나 경보 상태를 해제할 수 없는
일반 키(리모컨키 차량) 또는 비상키(스
마트키 차량)로 도어를 잠금 해제하고
연 경우:
- 리모컨키 차량
시동을 「ON」 위치에 두고 30초 동안
기다리면 경보 상태가 해제되면서 시
동을 걸 수 있습니다.
- 스마트키 차량
스마트키로 시동버튼을 직접 누르면
경보 상태가 해제되면서 바로 시동이
걸립니다(브레이크 페달을 누른 상태).
Page 54 of 383
4-17
편의 장치
4
단, 키 홈이 얼어 열리지 않을 때 가볍게 두드
리거나 키를 간접적(손의 체온)으로 따뜻하게
하여 주십시오.
키나 잠금 버튼 또는 잠금 스위치로 잠금/잠
금 해제를 교대로 연속 작동하면 보호회로가
작동하여 일시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
니다. 차에서 내릴 때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
동시킨 후 시동을 끄십시오. 또 유리창을 닫
고 모든 도어를 잠근 뒤 내리십시오.
주 의
도어 및 도어 핸들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마
십시오. 파손될 우려가 있습니다.
OAE046004OAE046004
0차 안에서의 잠금/잠금 해제
▶잠금 버튼을 사용할 때
•도어를 잠글 때
도어 잠금 버튼(1)을 눌러 「잠금」 위치에 놓으
십시오. 도어가 잠기면, 도어 잠금 버튼의 빨
간 부분(2)이 보이지 않습니다.
•도어를 열 때
도어 잠금 버튼(1)을 당겨 「해제」 위치에 놓은
후 도어 핸들(3)을 당기십시오.
잠금잠금
해제해제
•운전석 도어는 도어 잠금 버튼(1)이 「잠금」
위치에 있어도 도어 핸들(3)만 잡아 당기
면 도어 잠금 버튼이 해제되면서 도어가
열립니다.
•키를 시동 스위치에 꽂아둔 상태나 스마
트키가 차 안에 있을 경우 도어를 열고 도
어 잠금버튼이나 중앙 도어 잠금 스위치
로 잠금하면 다시 해제되며 잠금되지 않
습니다.
•차가 움직일 때는 항상 도어를 잠가 주행
중에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십시오. 도
어를 잠가 두면 차가 정차 중이거나 서행
할 때, 타인이 도어를 열고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주 의
도어 및 도어 핸들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마
십시오. 파손될 우려가 있습니다.
Page 97 of 383
4-60
편의 장치
▶브레이크 경고등
브레이크 경고등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켜집
니다.
- 브레이크가 비정상인 경우
- 회생제동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 주차 브레이크가 잠겨 있는 경우
- 브레이크 액이 부족한 경우
주차 브레이크를 푼 상태에서 시동을 「ON」하면
경고등이 켜지며 브레이크에 이상이 없으면 시
동 후 꺼집니다.
엔진 시동 후 주차 브레이크를 푼 상태에서도 경
고등이 꺼지지 않으면 브레이크액의 양을 점검
한 후 부족하면 보충하십시오.
보충 후에도 브레이크 경고등이 계속 켜져 있을
경우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
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WAE-205WAE-205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는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그대로 주행해서는 안됩니다.
•브레이크가 비정상이거나 회생제동 기
능이 작동되지 않을 때 브레이크 경고
등 및 “브레이크를 확인하십시오.”가 켜
지고 경보음이 울립니다. 정상 상태보다
브레이크 페달 조작량이 길어지며 제동
거리가 길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반복하여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브레이
크 경고등이 일시적으로 들어올 수 있으
나 브레이크 페달을 멈춘 후 몇초 뒤 경
고등이 꺼진다면 정상입니다. 단 브레이
크 경고등이 들어온 상태에서의 제동은
평상시보다 제동거리가 길어질 수 있습
니다.
경 고 ▶회생제동 경고등
브레이크 계통에 이상이 생겨 회생제동이 작동
하지 않고, 브레이크 성능이 다소 떨어지는 경우
브레이크 경고등과 회생제동 경고등(노란색)이
동시에 점등됩니다. 이때는 안전하게 운행 후 자
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이 경우 정상 상태보다 브레이크 페달 조작량이 길
어 질 수 있으며 제동거리가 길어질 수 있습니다.
WAE-205WAE-205WAE-204WAE-204
Page 98 of 383
4-61
편의 장치
4
주 의
주행 전에 반드시 경고등이 꺼졌는지 확인
하십시오.
●주행중 브레이크 경고등이 켜지는 경우
브레이크 계통이 이상이 있다는 신호이므로
차를 안전한 장소에 정지시키십시오.
1. 만일 브레이크 제동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평상시보다 강
하게 밟아 차를 안전한 장소에 정지시켜
야 합니다.
2. 엔진 브레이크를 걸어 속도를 늦추고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면서 브레이크 페달
을 밟아 차를 정지시키십시오.
주차 브레이크를 급하게 조작하면 뒷바퀴
만 제동이 되어 차가 옆으로 돌아갈 우려가
있으므로 주차 브레이크 조작은 천천히 하
십시오.
경 고
주 의
주행중 경고등이 켜진 상태에서 정지할 경우
급제동을 하지 말고 서서히 정지하십시오.
▶전동 파워 스티어링
(MDPS)경고등
시동을 「 ON」 으로 하거나 전동 파워 스티어링
(MDPS)이 고장일 경우 경고등이 켜집니다.
주행중 경고등이 켜질 경우 전동 파워 스티어링 시
스템에 문제가 예상되므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블루핸즈에서 점검 및 정비를 받으십시오.
전동 파워 스티어링 경고등은 차량에 문제가 없
더라도 시동 「 ON」 상태에서 약 3초 동안 켜졌다
가 꺼집니다.
※ MDPS : Motor Driven Power Steering
WAE-206WAE-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