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15
̰ LPI
차량 관리 요령
• LPG 충전 시에는 반드시 시동을 끈 상태에서
실시하십시오 .
• LPG 는 온도상승에 의한 압력상승이 있기 때
문에 열이나 직사광선을 피해야 합니다 .
• LPG 탱크에는 연료충전 밸브 (녹색 )(1), 연료
취출 밸브 (적색 )(2)가 달려 있으며 평상시에는
조작하지 않아도 됩니다 .
• LPG 는 공기보다 약 2 배 정도 무겁기 때문에
누출된 LPG는 낮은 장소에 체류하기 쉬우므
로 장시간 주차 시에는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밀폐된 장소를 피해야 합니다 .
• 장기간 (1 개월 이상 ) 주차 시나 LPG 누출 등 긴
급사항 발생 시에는 연료충전 밸브 (녹색 )(1),
연료 취출 밸브 (적색 )(2)를 잠그십시오 .
• LPG 에는 특유의 냄새를 섞어 제조하므로 차
내에 LPG 냄새가 날 경우 반드시 환기시키고
기밀점검을 하여 누출 확인 시에는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 정비를 의뢰
하십시오 .
• 기타 자세한 사항은 LPG 관련 내용을 참조하
십시오 .
- 5장
: LPI
차량 엔진 시동 및 정지 방법
- 6장
: LPI
차량 화재 시 응급조치
- 7장
: LPI
차량 정기 점검
OMD020021
̰트렁크 내
충전량을 늘리기 위해 과충전 방지 밸브를
제거하지 마십시오 .
LPG 를 85 % 이상 충전하면 외부의 온도 상
승 등으로 인하여 연료탱크의 내압이 상승
할 경우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
경 고
̰ LPG
충전은 85%
법규상 LPG 탱크에는 85 %까지 충전하도록 되
어 있으므로 무리하게 과충전하지 않도록 하십시
오 .
OMD020022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152012-07-05 오전 11:35:29
Page 24 of 371

안전 주의 사항
2-17
• 운전경력이 많은 운전자의 경우라도 , 수시로
차량을 바꿔가며 운전을 할 때는 차량간의 페
달 위치를 잘못 인식하여 페달을 오조작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가속 페달과 브레이
크 페달의 위치를 오른발로 확인하십시오 .
• 동력발생장치와 제동장치는 별개의 장치이므
로 , 오조작 및 차량의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라
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차량은 멈추게 되
므로 침착하게 행동하십시오 .
• 차가 눈이나 진흙 , 모래 등에 빠져 움직이지 못
할 경우 차를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해 과도하
게 가속 페달을 밟으면 타이어가 슬립되어 변
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타이어가 슬립
되는 상태에서 지속적인 가속 페달을 밟는 것
은 변속기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 이때에는 견
인 등의 다른 방법으로 조치하십시오 .
• 자동변속기 오일 교환 및 보충은 반드시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사에서 실시
하십시오 . 비순정부품 오일의 사용은 변속기
고장 및 성능의 저하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
로 인한 자동변속기의 품질은 보증이 불가능
합니다 . •
유리창에 썬팅을 할 경우 (특히 금속성 썬팅지
사용시 ) ETCS 미러(하이패스 ) 통신불량 및 라
디오 수신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 과도한 차
안조도의 변화로 인해 전조등 자동 점등장치
가 오작동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 썬팅작업시 작업용액이 전기 , 전자기기
에 흘러들어 기기 오작동 및 작동불량이 생길
수 있습니다 .
• 구입후 1 년 이내의 신차의 경우 차량 실내에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이 존재할 수 있으므
로 탑승시 창문을 열고 충분히 환기를 시키십
시오 . 특히 날씨가 무덥거나 직사광선이 내리
쬐는 곳에 장시간 주차시 차량 내부 온도가 높
아질 경우 두통이나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운전 중에는 가급적 외기모드로 선
택하여 차량 안쪽 공기를 환기시켜 신선한 공
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 VOC
는 Volatile Organic Compounds 의 약
자입니다 .
•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시동을 걸 때나 , 여름철
에 에어컨 등을 가동시킬 때는 평상시 보다 엔
진 회전수 (rpm)가 높아 , 차량을 움직일 경우에
는 평상시보다 차량이 빠르게 움직일 수 있으
므로 특히 주의하십시오 .
• 임의로 원격 시동 장치 등 전기 , 전자장치를 장
착하거나 무단으로 차량을 정비 , 개조할 경우
에는 차량의 작동에 문제가 생겨 예기치 못한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
• 차내에서 전파를 사용하는 전화나 무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승객의 건강을 해칠 수도 있
으며 , 차량의 전자 제어장치에 영향을 끼쳐 차
량이 오작동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십시오 .
• 잠시 차에서 떠나 있을 때라도 의외의 발진 위
험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엔진 시동을 끄십
시오 .
• 정차 중에는 반드시 브레이크를 밟고 주차 브
레이크를 걸어 놓으십시오 .
• 차량내에는 고가의 소지품이나 귀중품을 넣어
두지 마시고 , 차량을 떠날때는 항상 모든 도어
와 트렁크를 잠그십시오 .
• 차량 언더코팅을 위해 배기계 탈 /부착시 진동
흡진기 (배기계 행거 고무류 )의 정렬편차가 발
생되면 진동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언더코팅 후 진동흡진기 정렬상태를 반드시
확인하십시오 .
기타 주의 사항
MD-2-안전 및 주의 사항(1).indd 172012-07-05 오전 11:35:29
Page 80 of 371
/d동 및 주B 자-소0
▶
START (엔진 시동)
● 수동변속기 차량
/d동 버튼
,mOFF
,n,
,mACC
,n
"
Page 85 of 371
/d동 및 주B자-소자
※ 시동이 걸리6H 않을 때 조치 방법
좌. 변.$
Page 116 of 371
/d동 및 주B 자-4작
OMD0자속0속4OMD0자속0속4
▶ 시동을 거십시오행
4동으$
Page 129 of 371

6
비상시 응급 조치
6장 목차
주행 중 경고 .....................................................................................6-2
비상경고등 ......................................................................................... 6-2
주행 중 고장이 나면 ....................................................................... 6-2
교차로/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6-2
주행 중 펑크가 나면 ....................................................................... 6-2
주행 중 시동이 꺼진 경우 ............................................................. 6-3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6-3
노상에서 주행 중 고장이 난 경우 ...............................................6-3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비상 삼각대) ......................................6-4
엔진시동이 안걸릴 때 .................................................................... 6-5
시동모터가 회전하지 않을 때 ......................................................6-5
시동모터는 회전하나 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 .........................6-5
비상 시동 .......................................................................................... 6-5
배터리 방전 시 점프 스타트 요령 ...............................................6-5
밀기 시동 ............................................................................................ 6-6
엔진 오버히트(과열시) ................................................................... 6-6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 TPMS) ............................................ 6-8
저압 타이어를 감지하였을 때 ......................................................6-8
타이어 공기압 감지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경우 ...................6-9
타이어를 교체할 때 ....................................................................... 6-10
타이어 펑크시의 조치 ................................................................. 6-11
부속공구 ........................................................................................... 6-11
임시 타이어 분리·장착 ................................................................. 6-12타이어 교체 방법
........................................................................... 6-12
차량 견인 ....................................................................................... 6-18
견인 트럭으로 견인 시 ................................................................. 6-18
탈부착 견인 후크(앞) .................................................................... 6-18
견인차가 아닌 일반차량으로의 견인시 ................................... 6-19
사고 및 차량화재 시 응급조치 .................................................. 6-21
사고 발생 시 .................................................................................... 6-21
차량 화재 시 ................................................................................... 6-21
LPG 차량 화재 시 응급조치 ...................................................... 6-22
폭설 시 행동요령 ......................................................................... 6-23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12012-07-05 오전 11:45:25
Page 130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2
비상시 응급 조치
주행 중 경고 주행 중 고장이 나면
̰ 비상경고등
차량의
고장 , 예기치 못한 상황 등의 비상시 주위
차량에 경고등을 깜빡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비상경고등은 시동상태와 상관없이 작동하며 , 모
든 방향지시등이 일제히 깜빡입니다 .
비상경고등이 깜빡이는 동안 방향지시등은 작동
하지 않습니다 .
배터리의 방전과 다른 차량 운전자의 혼돈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 시에만 사용하십시오 .
주 의
̰ 교차로/건널목에서 시동이 꺼진 경우
교차로나
건널목의 한 가운데에서 시동이 꺼졌을
때는 변속레버를
「N
」(
중립 )에 위치시킨 후 주위
의 가까운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아 차를 밀어내
어 안전한 장소까지 이동시키십시오 .
̰ 주행 중 펑크가 나면
•
주행 중 펑크가 나면 비상경고등을 켠 후 스티
어링 휠을 꼭 잡고 차를 도로 가장자리로 안전
하게 이동시키십시오 . 이때 차량의 속도를 낮
추기 위해서 브레이크 페달보다는 엔진 브레
이크를 이용하십시오 . 속도가 떨어지면 가볍게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정지하십시오 .
• 동승자는 주행하는 차에 주의하여 내리십시오 .
• 가능한 경사가 없는 평평한 장소에 정차시킨
후 타이어 교체가 가능하다면 ,
「타이어
펑크시
의 조치
」
내용을 참고하여 타이어를 교체하시
고 , 상황이 좋지 않거나 교체 자신이 없다면 가
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비스협력
사에 연락하여 조치를 받으십시오 .
•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히 걸고 동시에 펑크난 타이어의 대각에 고임목을 괴십시오.
긴급할 때는 열차에 알려 사고를 방지하십
시오 .
경 고
7JBA1020OMD060001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22012-07-05 오전 11:45:25
Page 131 of 371
비상시 응급 조치
6-3
비상시 응급 조치
̰ 주행 중 시동이 꺼진 경우
•
적절한 조치를 하여 차를 안전한 곳으로 이동
시키십시오 . 브레이크 작동 상태가 나빠지므
로평상시보다 브레이크 페달을 세게 밟으십
시오 .
•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스티어
링휠 (조향 핸들 )조작이 상당히 무거우므로 평
소 보다 세게 조작하십시오 .
̰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경우
•
브레이크 제동력이 좋지 않을 때는 브레이크
페달을 완전히 밟고 , 엔진 브레이크 (기어 저단
변속 )와 주차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하여 속도
를 줄여 안전한 장소에 정차하십시오 .
• 정차 후 가까운 자사 직영 서비스센터 또는 서
비스협력사에 연락하십시오 .
브레이크 효과가 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의 주행은 위험하므로 절대로 운전하지 마
십시오 .
경 고OBH068022힘껏 조작
̰ 노상에서 주행 중 고장이 난 경우
•
운전 중 노상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는 도로
변에 차를 정지시키고 비상경고등을 켜서 제 2
의 사고를 방지하십시오 .
•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 도로에서는 차량 후
방 (주간 100 m, 야간 200m)에 고장 차량을 확
인할 수 있는 고장 자동차 정지표지판 (비상 삼
각대 )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
7JBA6021
MD-6-비상시 응급 조치(2).indd 32012-07-05 오전 11:45:26